[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1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1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0-09-14 07:55 조회2,245회 댓글0건

본문


 

<문학>

분야

시기

책이름

지은이

내 용

설화

소설

수필

15

금오신화

김시습

한문 단편 소설우리나라를 배경으로 우리 나라 사람을 등장인물로 하여 풍속사상 등 을 표현하였다귀신용왕 등 비현실적 소 재로 별세계를 부정하고 현실적인 삶이 중 요함을 강조하였다.

16

패관잡기

어숙권

조선 시대 여러 설화풍속 및 양반 관리들 과 관련된 일화 등을 모아 해설을 붙였다.

화사

임제

사회 부조리를 꿈이나 의인화하여 풍자적으 로 비판하였다.

 

분야

시기

지은이

내 용

시조

15

정도전

원천석

김종서

맹사성

새 사회를 만들고자하는 희망과 좌절

왕조 교체에 대한 감회와 유교적 충절

외적을 물리치고 강토를 개척하는 호방한 패기

자연 속에서 즐겁게 살아가는 생활

16

이황

정철

황진이

자연과 어우러져 성리 철학을 공부하는 즐거움

쉽고 적절한 비유로 유교적 윤리관을 가르침

기발한 비유와 빼어난 언어로 사랑을 노래함

 

 

분야

시기

제목

내 용

악장

15

용비어천가

목조에서 익조도조환조태조태종에 이르는 6대의 행적을 중국 고사에 비유하여 건국의 정당성을 노래한 서사시

월인천강지곡

석가모니의 생애를 소설적인 구조로 노래한 서사시

가사

16

태평사

 

관동별곡

 

왜적을 물리쳐 승리한 일과 태평성대를 축원함.

 

관동팔경과 금강산을 유람하며 경치와 옛 이야기감회 등을 노래함.

 

◉ 동문선

 

요즘 문()을 말하는 사람이 말한다. ‘송은 당이 아니고당은 한이 아니다한은 춘추전국이 아니고 춘추전국은 요순 하주가 아니다.’ 참으로 바른 말이다(줄임)

 

우리나라(조선)는 여러 임금이 대를 이어 백년이나 인재를 길렀다그 동안 나온 인물들이 모든 정성을 다하여 문장을 지었다이 문이 살아있는 듯 용솟음치니 옛날 어떤 문에 못지않다이것은 바로 우리의 문이다송원의 문이 아니고 한당의 문도 아니다바로 우리나라의 문이다.

 

마땅히 역대 문과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해야 할 것이다없어져 전하지 않게 된 까닭을 알지 못하겠다왜 김태현이 지은 [문갑]이 간략한 데도 최해가 지은 [동인문]에 빠진 것이 오히려 많아졌을까기록으로 남지 못하였으니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줄임)

 

우리들은 상감께서 시킨 대로 삼국 시대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시와 문장을 뽑았다이치에 맞고 깨끗하고 바른 글과 백성을 다스리고 가르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가려 종류대로 나눠 일백삼십 권으로 정리하였다책이 다되어 위에 바치니 책이름을 [동문선]이라고 하였다.

<동문선>

 

동문선은 1478(성종 9)에 서거정강희맹양성지 등이 삼국 시대에서 조선 초까지 우리나라 문학 작품들을 집대성한 책이다수록된 작가는 김인문설총을 비롯하여 이색정도전권근 등 약 500인이고작품은 시와 조칙교서비답표전축문 등 55종 4,302편이다작품을 뽑은 기준은 유교 질서에 맞고 통치에 도움이 되는 것’ 이지만 꼭 지켜진 것은 아니다고려 시대 최씨 무신 정권을 찬양하거나 도교불교에 대한 작품도 적지 않게 실려 있기 때문이다그 까닭은 편찬자들이 우리 문학 전통이 중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독자적인 것으로 후세에 길이 남겨야 한다는 태도를 가진 것에서 찾을 수 있다.

 

◉ 금오신화(이생규장전)

 

어느 날 이생이 나무 그늘에서 쉬다가 우연히 담장 안을 엿보았다이름 난 꽃들이 활짝 피고 벌과 새들이 다투어 재잘거리고 있었다꽃 숲 사이로 보이는 작은 누각을 구슬발이 반쯤 가려 있고 비단 장막이 낮게 드리워져 있었다그 속에 한 아리따운 아가씨가 수를 놓다가 턱을 고이고 앉아 노래를 불렀다. “저기 가는 저 총각 어느 집 도련님일까푸른 옷깃 넓은 띠가 늘어진 버들 사이로 비치네.” 이생이 이 소리를 듣고 기쁨과 흥분을 이기지 못하여 참을 수가 없었다학교에서 돌아오는 길에 흰 종이에 시를 써서 기와 쪽에 매달아 담 너머로 던졌다. “좋은 인연되려는지 나쁜 인연이 되려는지 부질없는 이내 시름 하루가 일 년 같아라임과 맺을 높은 사랑 어느 날에 이를거나

 

아가씨가 몸종 항아를 시켜 편지를 주워 보았다읽고 또 읽고 기쁨을 이기지 못하여 종이쪽지에 두어 자 적어 밖으로 던졌다. “그대는 의심치 마소서황혼에 만나기를 약속하리.”

<이생규장전>

 

<이생규장전>은 연애 소설이다죽음도 갈라놓지 못한 굳은 사랑을 주제로 한 이 이야기는 단순한 사랑 이야기는 아니다이 소설에서 김시습은 여자로서 지켜야 할 도리를 끝까지 다한 최 낭자를 통해 성리학적인 가치관을 강조하고 있다. 


저자가 생육신인 것을 고려하면 넌지시 세조가 어린 조카에게 왕위를 빼앗은 것을 꼬집고 있는 것 같다. 이는 <취유부벽정기>에서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은 폭력으로써 백성을 위협해서는 안 된다. 덕망이 없는 사람이 힘으로 왕위에 올라서는 안 된다. “ 고 한 것에서 좀 더 분명히 드러난다.


 


◉ 패관잡기


 


『서얼 자손에게 과거와 벼슬을 못하게 한 것은 우리나라 옛 법이 아니다. 경제육전을 살펴보면 영락 13년(1415)에 우대언 서선 등이 말하였다. ‘서얼 자손에게는 높은 벼슬을 주지 말고 그것으로 적서를 구별하자.’ 이로 미루어 보면 그 전에는 서얼에게도 높은 벼슬을 주었다. 이때부터 과거를 정반에게만 허가하였고, 경국대전을 편찬한 다음 비로소 제한을 두었다. 지금부터 백 년이 채 못 된다. 세상 천지에 땅에 자리 잡고 나라라고 부른 것이 어찌 백만을 헤아리겠는가마는, 벼슬길을 막는 법이 있다는 것을 아직 듣지 못하였다. 향리, 수군 따위 천인이 과거보러 가서 가문 내력을 말하면, 근거로 삼을 만한 본관이 없을 것이다. 떠돌이에게 시집가기도 하고 도망친 사람에게 장가들기도 하였을 텐데 누가 양민과 천인임을 가릴 수 있겠는가. 사대부 아들로서 오직 외가가 하찮아서 대대로 벼슬길이 막히어 비록 뛰어난 재주와 쓸 만한 그릇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끝내 머리를 숙이고 들창 밑에서 죽고 말아 차라리 향리나 수군만도 못하니 불쌍하도다.』


<패관잡기>


 


패관잡기는 어숙권이 중종 말경에 엮은 것으로 보인다. 명나라에 간 사신들과 요동, 일본, 대마도, 유구(오끼나와) 등과 관련된 이야기, 풍속 등을 자세히 기록하였을 뿐 아니라 그 시대 관리, 학자, 시인들이 남긴 언행과 재인, 기예, 축첩, 동요 등에 관한 사실들을 듣고 본 그대로 기록하였다. 이 책에서 어숙권은 적서 차별에 대한 부당성을 지적하고 있는데, 아마도 자신이 서자 출신으로 겪은 서러움도 배여 있는 듯하다.


 


◉ 원생몽유록


 


『복건을 쓴 사람이 한숨을 내뿜으며 말했다. “옛날 요임금, 순임금이나 탕왕, 무왕은 만고의 죄인인 줄 아옵니다. 후세 여우같은 자들이 임금 자리를 물려주는 것을 빙자하여 신하로서 임금을 해치고도 정의와 명분을 내세웠으니 말입니다. 일천 년 동안 이 같은 풍조가 도도히 흘러 내려와 이제는 구할 길이 없게 되었습니다. 아아! 네 임금이야말로 도둑의 시초라 하겠습니다.”』


<원생몽유록>


 


원생몽유록은 임제가 지은 한문소설이다. 그는 이 소설에서 성리학적 명분론을 비판하고 사회 부조리를 고발하고 있다. 이런 자세는 그가 남겼다는 유명한 유언에 잘 나타나 있다. ‘이 세상 여러 나라가 모두 천자가 일컬어 보지 않는 나라가 없다. 오직 우리나라만 못해 보았다. 이런 보잘 것 없는 나라에서 태어났다가 죽어가는데 슬퍼할 것이 있겠느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4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0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중국에서의 항일 운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4559
1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역사상 세번째 여성 노벨 물리학 수상자가 된 워털루 대학 스트릭런드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714
103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공부와 삶 – 공부가 어려우면 삶도 고통의 연속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668
10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한민국 임시 정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3147
101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를 다루는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2695
10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2461
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에 가까운 산 정상이 왜 더 추운 걸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12395
98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를 다루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2448
9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2500
96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 중급단계 주제를 다루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2365
9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2255
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도박의 비밀을 알면 성공적인 인생을 살 수 있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4001
93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 중급단계 주제를 다루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2186
9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2205
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042
90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단계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943
8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491
8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기초단계 공부 방법 마무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42
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을 향한 인류 첫 탐사 - 파커 탐사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07
8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확장을 통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6 2777
8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6 3797
8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확장을 통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029
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잉글리쉬 베이 밤하늘을 수놓은 불꽃놀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097
8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독도는 우리 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600
8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나만의 정의를 바탕으로 주제를 확장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2476
8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두산정계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3808
7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서술을 종합하여 나만의 정의를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431
7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11
7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동학 농민 운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4403
7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종이 땡땡땡, 서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504
7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바꾼 질문에 부합하는 서술을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416
7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앤트맨처럼 작아지는 것이 실제로 가능할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4530
7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과거시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739
7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5감과 6하 원칙을 바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꾸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550
7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승정원일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130
7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지식의 한계를 확인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774
6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곰탕 폭발의 미스테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4942
6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몽유도원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44
6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선택 그리고 정의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08
6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 훈민정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938
6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 방법의 기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3503
6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선크림 방지법 -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할 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3062
6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17
6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4663
6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 혜허의 수월관음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998
6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434
5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중력이라는 이름의 코끼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42
5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설화문학과 패관문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10
5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546
5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3671
5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두뇌 속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2658
5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452
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라돈 침대 - 위험한 것일까? 안전한 것일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789
5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2 (두뇌의 작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299
5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1 (공을 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182
5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덕 대왕 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28
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왜 남북은 서로 시간이 다를까-남북회담을 계기로 알아보는 국제표준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795
4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1960
4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주 감은사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484
4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06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