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내가 지식으로서 알고 있다는 생각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내가 지식으로서 알고 있다는 생각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7-06 08:51 조회1,752회 댓글0건

본문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내용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개념을 다룬 강의를 유튜브에 올렸습니다. (링크: https://youtu.be/ito6vBvZ1w4) 필자의 유튜브 강의 또는 7월 12일과 19일에 밴쿠버 중앙일보 대회의실에서 열리는 필자의 무료 공개강좌를 통해 전체적인 내용을 접하신 후 칼럼의 내용을 적용하여 공부하신다면 공부의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공개강좌에 대한 내용은 밴쿠버 중앙일보 Business&Money에 게재된 광고를 참고해 주세요.

내가 지식으로서 알고 있다는 생각이 공부 미치는 영향

설명이 쉽도록 현실적이지는 않지만 아래의 예를 먼저 살펴보고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복어라는 물고기에 대해 아는 것이 없는 A라는 사람이 낚시를 하다가 복어를 한 마리 잡아놓았습니다. 옆에 있던 A와 마찬가지로 복어에 대한 지식이 없는 B라는 사람이 ‘그 물고기를 내가 매운탕 해 먹어도 될까?’라고 하자 선뜻 내어줍니다. 복어를 끓여먹은 B는 잠시 후 목숨을 잃습니다. 얼마가 지난 후 낚시꾼 A가 또 복어를 잡습니다. 옆에 있던 C라는 사람이 ‘그 물고기 내가 먹어도 될까?’라고 묻습니다. 그러자 A가 ‘그거 독이 있어서 먹으면 죽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C는 고집을 피워 물고기를 얻어갑니다. 그리고 회를 선호해서 살만 발라 회로 먹습니다. 물론 죽지도 않습니다.

위의 예에서 A가 말한 ‘복어는 독이 있어서 먹으면 죽어!’라는 말을 ‘맞다’고 할 수 있을까요? B와 C의 경우가 다르기에 참이라고도 또 거짓이라고도 말하기 어렵습니다. 즉, ‘맞다/틀리다’를 이야기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맞다/틀리다’ 또는 ‘이건 이렇다/저건 저렇다’와 같이 자신의 관점으로 단정을 내려 무엇을 설명하게 되면, 경우에 따라 받아들여질 수도 또는 반발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즉, 관점에 따라 동의를 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으로 나뉘어 벌어지는 갑론을박으로 인해 갈등도 생길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관점의 차이를 극복하고 어느 한 쪽의 손을 들어주는 방법으로 어떤 사회는 ‘민주주의’라는 다수를 따르는 방법을 또 어떤 사회는 독재와 같이 권력자의 의견을 관철시키는 형태를 선택하여 자신들의 사회를 유지해 가고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소수의 의견도 또 독재자와 다른 의견도 경우에 따라서는 시간이 흐를수록 점차 그 세력을 늘려갈 수 있기에 사회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갈등이라는 시한폭탄을 안고 살아가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한 마디로 ‘맞다/틀리다, 이건 이렇다/저건 저렇다’와 같이 단정적으로 결론을 내린 형태의 서술이 부부 사이, 부모와 자녀사이, 그리고 사회 구성원 사이의 갈등과 그로인한 분란을 일으키는 불씨라는 것이 필자의 관점입니다. 따라서 내가 살아가는 삶 속에서 갈등과 분란을 줄이는 한 방법이 바로 내가 표현하는 말 중에서 단정적으로 이야기하는 표현들을 줄여가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맞다/틀리다, 이건 이렇다/저건 저렇다’와 같은 표현을 줄여가는 것이 단지 갈등을 줄이는 역할만을 하는 것일까요? 이것을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과 연관 지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경험이나 배워서 익힌 지식을 바탕으로 ‘맞다/틀리다, 이렇게 해야 한다/저렇게 해야 한다’와 같이 단정적으로 이야기 하는 순간 그 사람은 자신의 생각과 다른 즉, 반론을 제기하는 사람이 있는 경우 그 사람에 대한 반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위의 예에서 만일 복어를 먹고도 죽지 않은 C가 A를 보고, ‘봐, 나 죽지 않았지?’라고 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A의 반응은 어떨까요? 사람에 따라서는 '어떻게 죽지 않았지?‘라는 생각으로 받아들이고 자신의 사고를 넓혀가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지만 아마도 자신이 틀렸다는 생각으로 인해 부끄러워하거나 ’복어는 독이 있다‘라는 자신의 생각을 관철시키기 위해 다양한 핑계를 가져다 대는 경우가 더 많을 것으로 필자는 생각합니다. 이것은 무엇을 뜻할까요?

단정적으로 이야기한다는 것은 곧 자신의 생각을 자신이 만든 작은 상자에 가두는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필자는 이야기합니다. 즉, 자신의 말로 인해 스스로의 생각이 갇힐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했을 때 자신의 사고를 가두지 않고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열어둘 수 있을까요? 같은 상황에서 이번에는 A가 아래와 같이 표현했다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지난번에 B라는 사람이 같은 물고기를 매운탕으로 끓여 먹고 죽었어. 내가 보기에는 독이 있는 것 같아.’

여기서 차이는 단순히 자신이 겪은 사실만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표현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 사람이라면 아마도 반론을 제기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따라서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을 익히려면 ‘내가 경험 또는 배워서 지식으로 안다’는 생각을 지우고 구체적인 서술과 함께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훈련을 하시라고 필자는 제안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4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0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2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31
1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113
1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2109
102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마지막회 – 개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104
101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지원 회사·일자리 완전히 알고 가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104
100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095
9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089
9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088
97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재외국민 특례 방심하지 말고 미리 준비하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081
96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어휘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2073
95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접근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2063
9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2054
9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053
9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최종 승부는 프로의 열정…나를 판매하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047
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047
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2 2032
8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이유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019
88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009
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확한 진단의 양면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999
8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창덕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989
8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1981
8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인공지능의 번역능력과 인간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967
8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3 1967
8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9 1961
8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덜 익은 햄버거의 용혈성 요독 증후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1961
80 [공부의 주제를 선택하는 방법]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답을 찾는 훈련을 할 수 있는 공부의 주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960
7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키시니, 그 장대한 여정의 마지막을 불사르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956
7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 1948
7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호기심이 줄어드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1947
7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1942
75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부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939
7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0 1931
73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인터뷰하고 싶게 짧고 강렬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3 1925
7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정신문화와 물질문화의 균형을 이룬 실학 댓글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913
7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 1903
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1900
6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깨닫는 것’ -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898
68 [김바울의 교육칼럼] 아이엘츠 리딩 시작하시는 분들 위한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1897
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운현궁 – 조선말, 왕실문화를 거닐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895
66 [김바울의 교육칼럼] 아이엘츠 리딩 고득점을 원하는분들을 위한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1892
6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후삼국시대-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1888
64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특례, 수시 전문 입시컨설팅 그룹 리사운드입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884
6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881
62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 고교 재학생이라면 이것부터 알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1881
61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3 1880
6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1866
5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깨달음’은 내 안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854
5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를 마음대로 내리게 할 수 있다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851
5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아버지를 아버지라고 부르지 못한 노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1850
5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나라 안의 나라, 개항장 인천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1837
5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7 1830
54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823
5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4대 사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1782
5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1774
51 [김바울 교육컨설팅] 특례교육컨설팅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1754
열람중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내가 지식으로서 알고 있다는 생각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753
4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복궁-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1753
48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읽기와 쓰기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1752
4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부처님의 향기로 가득한 정암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1745
4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어우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731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