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깨달음’은 내 안에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깨달음’은 내 안에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9-21 09:32 조회1,827회 댓글0건

본문

‘깨달음은 내 안에 있다’는 말을 아마도 한번쯤은 들어 보았을 것입니다. 자신이 깨달아간다는 뜻으로, 자신의 삶을 자신이 주체적으로 살아야 한다는 의미로 혹은 공부는 자기 자신이 하는 것이지 다른 사람이 대신 해줄 수 없다는 의미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하겠지만 필자는 이 문구를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과 연관 지어 이야기 해 볼까 합니다. 

지난 주 칼럼에서 간단하게나마 다루었듯 학생들의 경우 스스로 답을 찾기보다는 답이 주어지기를 기다리거나 또는 답을 찾는다 해도 ‘이건 이렇다/저건 저렇다’와 같이 단답형을 원하는 경우가 더 많다는 것이 필자가 필자의 수업을 듣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해서 내린 결론입니다. 하지만 주변을 둘러보면 필요한 정보를 스스로 탐색해서 찾기보다는 해당 정보를 가진 사람을 찾아 쉽사리 얻으려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음을 비춰보면 주어지는 ‘답‘을 찾으려 하는 것이 비단 학생들만의 이야기는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인지 이른바 다른 사람들을 가르치거나 또는 마음의 상처를 치유한다는 사람들이 ‘이건 착한 일’, ‘저건 나쁜 일’, ‘이렇게 해야 한다’, ‘저런 건 하면 안 된다’, ‘이건 이런 거다’, ‘저건 저런 거다’와 같이 자신들이 내린 정의를 바탕으로 할 것과 하지 말 것을 결정해 답을 주는 방식으로 전달하는 공개 강의나 글 등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어떤 공개 강의의 경우 강사가 자신의 정답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심지어 ‘멍청한 놈’, ‘말 귀 안 알아먹을래’, ‘이런 무식한 것’과 같이 듣는 사람들의 이해력이나 지식의 부족을 탓하거나 ‘배은망덕한 짓’, ‘정신병적인 행동’ 등과 같이 강의를 듣거나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을 비하하는 말도 함께 사용하는 경우마저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러니 하게도 이러한 강의 등을 듣는 사람들 중 일부는 자신들을 비하하는 위와 같은 말을 들으면서도 고개를 끄덕이며 동의하기도 합니다. 사람에 따라서 실제로 그러한 의견에 동의하기 때문에, 가끔은 그저 강연자의 사회적 위치 혹은 학식이 나보다 위라는 생각에, 또 때로는 그냥 그 자리에 있었는데 다른 사람들이 끄덕이기에 동의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할 것입니다. 이유야 어찌 되었건 이러한 모습은 필자가 거쳐 온 학교교육을 포함한 사회전반에 걸쳐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교육방법, 어딘가 익숙하게 느껴지지 않나요

      필자는 그 익숙함을 동물을 길들이는 방법에서 찾습니다. 

사람들이 동물을 길들일 때, 동물이 조련사의 말과 일치하게 움직이면 좋아하는 먹이를 그렇지 않으면 질책과 함께 벌을 주는 방법으로 할 것과 하지 말 것을 뚜렷하게 알도록 길들입니다. 이때 동물들은 인간의 논리적인 사고를 받아들이기 어려우므로 동물들이 조련사의 의도를 정확하게 알아들을 수 있도록 논리적인 긴 설명이 아닌 ‘해/하지 마’와 같은 짧은 단어를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인간이 왜 근거를 대고 이유를 충분히 설명하여 설득하는 논리적 접근이 아닌 동물 길들이는 법과 유사한 단답형의 답을 주는 방식의 교육을 하는 것일까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여기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눠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첫 번째는 배우고자 하는 사람이 스스로 답을 찾는 시도를 하기 보다는 단답형의 답이 주어지기를 바라는 것이 원인일 수 있고, 두 번째로는 가르치는 사람의 논리적 사고의 부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 짧은 몇 마디로 정리되어 자신이 쉽게 알아들을 수 있는 답을 바라는 사람들이 배울 때 그러한 방법으로 지식을 전달하거나 가르치는 사람을 찾게 되고, 더불어 가르치는 사람은 간단명료한 답을 찾는 사람들의 욕구를 얼마나 충족시킬 수 있는가가 자신들의 인기에 반영이 되므로 논리적인 긴 설명보다는 사람들이 원하는 단답형의 답을 주려고 하는 꼬리에 꼬리를 물고 돌아가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 방법이 지식을 빠르고 명확하게 전달하는 한 방법으로서는 그 효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방법은 가르치는 사람에게는 ‘나는 지식이 있어 가르칠 자격이 있는 사람’이라는 생각과 함께 스스로를 사회계층면에서 배우는 사람들보다 상위라고 의식을 심어 주게 되고, 배우는 사람에게는 가르치는 사람이 답을 주기를 바라는 의존성을 유발해 사회계층에서 자신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나아가 이렇게 위와 아래라는 상대적 사회계층이 형성되면 상위계층은 자신들의 위치를 바탕으로 하위 계층을 무시하는 흔히 말하는 ‘갑질’과 같은 행위를 할 수 있으며 하위계층에 속했다고 스스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그러한 무시를 당하면서도 반항하지 못하고 심하면 당연하게까지 받아들이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지난 주 칼럼에서 언급한 것처럼 ‘스스로 답을 찾는다는 것’은 누군가에게 의존하여 답을 얻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서 답을 찾는 과정이기에 말 그대로 ‘깨달음은 내 안에 있다!’는 말을 바탕으로 스스로 깨달아가는 방법을 익히는 방법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4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0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2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07
104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마지막회 – 개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085
1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082
10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지원 회사·일자리 완전히 알고 가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079
101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074
10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2072
9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060
98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재외국민 특례 방심하지 말고 미리 준비하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046
97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접근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2045
96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어휘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2037
9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036
9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034
9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2024
9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최종 승부는 프로의 열정…나를 판매하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022
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018
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2 2012
8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이유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1999
88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975
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확한 진단의 양면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967
8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창덕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957
8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1955
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3 1949
8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9 1943
8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인공지능의 번역능력과 인간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941
8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덜 익은 햄버거의 용혈성 요독 증후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1930
80 [공부의 주제를 선택하는 방법]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답을 찾는 훈련을 할 수 있는 공부의 주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922
7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 1921
7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1917
7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호기심이 줄어드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1907
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키시니, 그 장대한 여정의 마지막을 불사르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903
75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인터뷰하고 싶게 짧고 강렬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3 1902
74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부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902
7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0 1891
7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정신문화와 물질문화의 균형을 이룬 실학 댓글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889
7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1877
70 [김바울의 교육칼럼] 아이엘츠 리딩 시작하시는 분들 위한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1877
6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깨닫는 것’ -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876
6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 1874
67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특례, 수시 전문 입시컨설팅 그룹 리사운드입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862
66 [김바울의 교육칼럼] 아이엘츠 리딩 고득점을 원하는분들을 위한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1860
6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856
64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 고교 재학생이라면 이것부터 알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1855
63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3 1849
6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운현궁 – 조선말, 왕실문화를 거닐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846
6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후삼국시대-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1842
열람중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깨달음’은 내 안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828
5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를 마음대로 내리게 할 수 있다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826
5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1826
5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아버지를 아버지라고 부르지 못한 노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1813
5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나라 안의 나라, 개항장 인천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1806
55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793
5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7 1792
5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4대 사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1730
5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1728
5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내가 지식으로서 알고 있다는 생각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723
50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읽기와 쓰기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1721
4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부처님의 향기로 가득한 정암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1720
48 [김바울 교육컨설팅] 특례교육컨설팅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1715
4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복궁-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1709
4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어우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701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