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어우동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어우동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1-04-06 21:41 조회1,699회 댓글0건

본문


 

758783364_vQKSe5Vp_3325979ee6989d8d64ff8cfaeb9bf67a47fba67f.jpg

미인도(김홍도) 

 

조선 남성 심사는 이상하외다.

자기는 정조관념이 없으면서 처에게나

일반 여성에게 정조를 요구하고

또 남의 정조를 빼앗으려고 합니다.

(중략)

조선의 남성들아그대들은 인형을 원하는가,

늙지도 않고 화내지도 않고

당신들이 원할 때만 안아주어도 항상 방긋방긋

웃기만 하는 인형 말이오.

나는 그대들의 노리개를 거부하오.

내 몸이 불꽃으로 타올라 한 줌 재가 될지언정

언젠가 먼 훗날 나의 피와 외침이 이 땅에 뿌려져

우리 후손 여성들은 좀 더 인간다운 삶을 살면서

내 이름을 기억할 것이리라.

그러니 소녀들이여 깨어나 내 뒤를 따라오라 일어나 힘을 발하라

                                                                                  <나혜석의 이혼고백서’ 중에서>

 

<성종실록>에 따르면 어우동은 조선시대 성종 때 승문원 지사 박윤창의 딸이다그녀의 이름은 어을우동(於乙宇同)으로 표기되었으나대체적으로 어우동이라고 읽고 있다박어우동(朴於宇同, 1430(?)~1480)은 조선 전기의 왕족의 아내이자시인서예가작가기생무희였다본래는 양반가 출신 여성으로 남편에게 이혼당한 후 기녀가 되었으며조선 성종 때 조정의 고위 관료들이 연루된 성 스캔들 사건의 주인공이기도 하다시와 서화에 능하여 시문과 작품을 남겼으나 문란한 여성의 작품이라는 이유로 소각되거나 파괴되었다.


박어우동은 본래는 세종대왕의 형님인 효령대군의 손자인 태강수(泰康守이동(李同)과 혼인하였다하지만 그녀의 신혼생활은 순탄치 못하였다태강수 이동은 아내인 어우동을 버리고 기생 연경비를 사랑하였다하여 어우동은 남편과 이혼을 하려 하였으나나라에서는 이혼을 막고 다시 재결합하게 하였다. (조선 초까지 만해도 이혼 및 재혼 등이 가능했다하필 이 때의 왕은 성리학 이념을 공고히 하려고 하던 왕성종이었다성종은 남편에게 버림받은 어우동에게 자유를 주는 것이 아닌죽을 때 까지 그 남편을 따르라고 명한 것이었다어우동은 버림받으면서 기녀로 활동하였다시와 서화에 능하였다어우동은 창기처럼 생활하며 적극적으로 남자를 유혹하였다상대 남자는 종친이나 재상 같은 고위층에서부터 젊은 관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또 비단 양반 남성뿐만이 아니라 어우동은 노비(지거비)도 자신의 상대로 삼는 데 거리낌이 없었다.


宗簿寺에서 아뢰기를, “태강수 이동이 女妓 연경비를 매우 사랑하여 그 아내 박씨를 버렸습니다대저 종친으로서 첩을 사랑하다가아내의 허물을 들추어 제멋대로 버려서 이별하였는데한편 그 단서가 열리면 폐단의 근원을 막기 어렵습니다청컨대 박씨와 다시 결합하게 하고동의 죄는 성상께서 재결하소서.” 하니그대로 따르고동의 고신을 거두게 하였다

                                                                                                          <성종실록>

 

해가 가면서 어우동의 남성 편력은 더해갔고 어우동은 성문란 행태가 발각되어어우동의 연애 스캔들이 한성부내에 소문이 돌면서 진상을 요구하는 공론이 형성되었다김종직과 그가 이끄는 사림파 출신 사간원사헌부의 언관들과 훈구파에 의해 집중공격탄핵을 받고마침내 의금부로 잡혀가 조사를 받게 되었는데조사가 거듭될수록 조정대신들은 경악을 금치 못했다고 한다그리고 그밖에 어우동의 집에 한번이라도 출입한 경력이 있는 선비와 성균관유생들부녀자들까지 모두 체포되어 의금부와 한성부형조 등에서 국문을 당했다사사로이 시문을 주고받고그의 가야금거문고그림 재주를 보고 출입했던 이들 조차 체포되어 간통범이라는 의심을 받고 지탄을 받았다.

 

의금부에서 아뢰기를, “박강창홍찬 등이 어을우동을 간통하고도 굳이 숨기고서 자복하지 않고어을우동이 어유소(이조판서), 노공필(대사헌), 김세적(부호군), 김칭정숙지김휘지거비를 간통하고도 은휘하고서 승복하지 않으니청컨대 형벌을 가하고어유소 등을 아울러 국문하소서.” 하니박강창홍찬어을우동 등은 형을 가하고어유소노공필김세적은 아직 추문하지 말고김칭정숙지김휘는 먼저 추문하여 아뢰라고 명하였다

                                                                                                   <성종실록>

 

유찬이 또 아뢰기를, “지거비의 주인 밀성군은 태강수와 당숙질 사이인데지거비가 협박하여 그 처인 어을우동을 간음하였으니죄악이 매우 중합니다그런데도 도형을 속바치도록 명하셨으니어떻게 악을 징계하겠습니까?” 하였으나들어주지 않았다

                                                                                                    <성종실록>

 

어우동의 간통 상대로는 실록에 언급되어 있는 사람들만 17명이었다당시 간통죄에 의한 처벌은 대명률에 의거하여 곤장으로 70 ~ 100대를 치도록 되어있다물론 돈을 내면 곤장조차 맞지 않고 풀려날 수 있었다.

 

결국 성종(재위 14691494)은 극형을 주장한 신하들의 편을 들어 아무리 종친이라 해도 일벌백계(一罰百戒)를 위해서 극형에 처해야 한다고 하여결국 어우동은 왕실의 종친이기도 한 효령대군의 손자인 태강수 이동과 결혼하여이혼한 뒤였는데도 왕족의 아내였다는 이유로 간통죄로 처형(교수형)되었다곤장형이 아닌 사형을 내린 것부터 엄청난 과잉처벌이었다.

 

승정원은 어우동의 죄를 대명률의 남편을 배반하고 도망하여 바로 개가한 것에 비정해 교부대시絞不待時(늦가을 까지 기다리지 않고 즉시 형을 집행하는 것)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어우동의 사형이 결정되던 성종 11년 10월 18일 마지막 논의에서 영의정 정창손은 인주는 살리기를 좋아하는 것[好生]으로써 덕을 삼아 율 밖의 형벌을 써서는 안 된다며 다시 한 번 사형불가를 주장했으나 도승지 김계창은 종실의 처로서 종친과 간통하고또 지거비는 일찍이 종의 남편이었는데도 간통하였으니마땅히 극형에 처하여야 한다.’며 사형을 주장했다.

 

두 사람의 말을 들은 성종은 이렇게 정리했다.

 

지금 풍속이 아름답지 못해여자들이 음행을 많이 자행한다만약에 법으로써 엄하게 다스리지 않는다면 사람들이 징계되는 바가 없을 텐데풍속이 어떻게 바르게 되겠는가옛사람이 이르기를, ‘끝내 나쁜 짓을 하면 사형에 처한다고 했다어우동이 음행을 자행한 것이 이와 같은데중전(사형)에 처하지 않고서 어찌하겠는가?”

 

정창손이 다시 한 번 “(사형수에 대해복심覆審하는 까닭은 죄수를 위해 살릴 길을 구하는 것이라며 사형을 감할 것을 주장했으나김계창이 다시 형벌이란 시대에 따라서 가볍게도 하고 무겁게도 하는 것이라며 사형을 고수했고성종이 옳다며 김계창의 손을 들어주면서 어우동의 사형은 확정되었다

어우동은 확정 당일 사형에 처해졌습니다원래 조선은 만물이 생장하는 춘분부터 추분까지는 사형을 집행하지 않았다대역 등의 중죄에만 이를 기다리지 않는 부대시不待時의 형을 시행했는데형벌에도 없는 사형을 시키며 당일 집행한 것은 극히 예외적이었다남성 지배이념에 맞서 독립생활과 자유교제를 실천한 대가는 이처럼 가혹했다성종실록의 사신은 그의 사형을 주장한 김계창에 대해 이렇게 평가했습니다.

 

사신은, “김계창은 임금의 뜻을 헤아려 깨닫고 힘써 영합하기만 하였다소위 시대에 따라서 가볍게도 하고 무겁게도 한다.’는 것이 어찌 율 밖의 형벌을 말함이겠는가감히 이 말을 속여서 인용하여 중전을 쓰도록 권하였으니이때의 의논이 그르게 여기었다라고 논평하였다

 

박강창을 비롯한 17명의 남자들에게는 대부분 무혐의 처리가 되었다심지어 관직이 있던 남자들의 경우 복직까지 이루어졌다.

 

그리고 어우동 사건은 조선 조정을 수년 동안이나 들끓게 한 조선조 최대의 섹스 스캔들로 남았다.

 

어우동 사건은 성종 11(1480) 6월 13일 방산수 이난의 간통사건으로 실록에 처음 등장한 후, “음행을 자행하여 풍속을 문란하게 한 부녀를 율법에 의해 다스릴지 극형을 내릴지를 논한 내용이 16번이나 언급될 정도로 조정 내에서 뜨거운 논쟁을 일으켰다열두 명의 대신 중 여덟 명이 극형을 반대하고 네 명이 찬성했음에도 성종의 강한 의지에 따라 어우동만 교형에 처해지고 사건과 관련된 남자들은 비교적 가벼운 처벌을 받으며 종결되었다이는 2년 후 폐비 윤씨가 실덕(失德)을 이유로 사사되는 사건과 함께성리학의 나라를 세우려는 성종대의 사회 분위기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민간에까지 회자됨으로써 용재총화(?齋叢話)』 『송계만록(松溪漫錄)』 등에 실려 어우동이라는 이름이 대중에 각인되는 결과를 낳았다.

 

어우동은 추포된 후 3개월 만에 죽음으로 최후를 맞고마침내 왕실의 족보인 선원록(璿源錄)에서 이름이 삭제됐다정사품의 혜인(惠人)’이라는 봉작을 버리고 스스로 지은 이름 현비(玄非)’로 새 삶을 선택했던 그녀는 누구의 딸도 아내도 어미도 아닌순정한 여성으로 살았고그 속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기 위해 몸부림쳤던 한 여인의 절박한 외침을 읽을 수 있다.

 

이름만 들어도 누구나 고개를 흔들 만큼 파격적이고 흥미로운 인물로서 소설영화드라마 등에 자주 등장하는 어우동이지만그간의 시각을 극복하고 한 사람으로서 그녀가 살아낸 삶의 궤적을 추적해 보고자 했다신분과 지위로 포장되지 않은 인간의 맨얼굴의 어우동을 통해독자들은 사회적 한계가 인간의 욕망을 어떻게 억압하는지진정 우리가 추구해야 할 삶의 가치가 무엇인지를 되돌아볼 수 있을 것이다.

 

1480년 어우동의 처형과 1482년 폐비 윤씨의 죽음에는 일치하는 부분이 많다처형된 시점이 비슷하고두 사람을 처형시킨 인물은 모두 성종이었다. 15세기 후반 성종 시대는 성리학의 이념을 국가와 사회 곳곳에 전파시켜 나가려는 때였다이러한 시대에 남성의 권위에 도전하는 여인이 나타났다왕실에서는 윤씨가민간에서는 어우동이 그 주인공이었다어우동과 폐비 윤씨는 성리학의 이념이 본격적으로 구현되면서 남성 중심 사회로 나아가는 15세기 조선 사회의 시대적 희생양은 아니었을까?

 

경희도 사람이다그다음에 여자다그러면 여자라는 것보다 먼저 사람이다.”


                                                                                                      <나혜석의 소설 경희’ 중에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4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0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2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06
104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마지막회 – 개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084
1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082
10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지원 회사·일자리 완전히 알고 가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079
10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2072
100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071
9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057
98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접근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2045
97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재외국민 특례 방심하지 말고 미리 준비하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044
96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어휘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2036
9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035
9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033
9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2024
9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최종 승부는 프로의 열정…나를 판매하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022
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017
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2 2010
8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이유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1998
88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973
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확한 진단의 양면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966
8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창덕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956
8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1952
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3 1948
8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9 1942
8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인공지능의 번역능력과 인간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941
8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덜 익은 햄버거의 용혈성 요독 증후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1929
8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 1921
79 [공부의 주제를 선택하는 방법]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답을 찾는 훈련을 할 수 있는 공부의 주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921
7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1917
7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호기심이 줄어드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1907
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키시니, 그 장대한 여정의 마지막을 불사르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902
75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인터뷰하고 싶게 짧고 강렬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3 1902
74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부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900
7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정신문화와 물질문화의 균형을 이룬 실학 댓글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889
7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0 1889
7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1877
7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깨닫는 것’ -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876
69 [김바울의 교육칼럼] 아이엘츠 리딩 시작하시는 분들 위한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1875
6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 1874
67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특례, 수시 전문 입시컨설팅 그룹 리사운드입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861
66 [김바울의 교육칼럼] 아이엘츠 리딩 고득점을 원하는분들을 위한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1858
65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 고교 재학생이라면 이것부터 알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1855
6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854
63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3 1848
6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운현궁 – 조선말, 왕실문화를 거닐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845
6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후삼국시대-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1840
6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깨달음’은 내 안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826
5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1825
5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를 마음대로 내리게 할 수 있다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823
5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아버지를 아버지라고 부르지 못한 노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1812
5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나라 안의 나라, 개항장 인천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1805
55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791
5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7 1790
5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1728
5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4대 사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1725
5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내가 지식으로서 알고 있다는 생각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722
5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부처님의 향기로 가득한 정암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1720
49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읽기와 쓰기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1720
48 [김바울 교육컨설팅] 특례교육컨설팅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1713
4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복궁-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1709
열람중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어우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700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