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 교육 특강’ 1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 교육 특강’ 1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04-22 05:33 조회1,531회 댓글0건

본문

“우리 아이, 천재가 될 수 있을까?”
천재는 자기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것
 
천재란 무엇일까요?  다른 사람들 보다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  사전에 따라 조금씩 그 정의가 다르지만 천재의 경우 ‘타고 났다’와 ‘정신적 재능’이라는 면에서 일반적으로 영재와 다르게 구분하는 것 같습니다.  
 
‘타고난 정신적 재능’, 이 말은 과연 무엇을 뜻할까요?  정신적인 재능이라는 말은 쉽게 와 닿지 않으니 이 뜻을 이해하려면 실제 천재라고 알려 진 사람들이 살아왔던 모습을 비교해 보면 알 수 있지 않을까요?  
 
약 2300여년전 지구가 둥글다고 생각하고 해와 막대기의 그림자로 지구의 둘레를 계산한 에라토스 테네스,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중력이 무엇인지를 생각하며 정리해서 인공위성의 원리까지도 생각해 냈던 뉴튼, 사람이 빛의 속도보다 빨리 달리면 무엇을 보게 되는가를 생각하다 빛과 시간의 상대성을 정리한 아인쉬타인, 또는 가장 최근으로는 손으로 쓴 문자 체를 컴퓨터에 접목시켜 컴퓨터를 단순한 계산하는 기계가 아닌 디자인에 쓰일 수 있도록 한 스티브 잡스 – 이런 사람들이 천재라고 불리죠?  이 네 사람의 예를 살펴보면 천재라는 것은 보통 사람들이 하지 못했던 사고를 할 수 있는 사람을 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지 않을까요?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천재를 ‘사람들이 하지 못한 새로운 사고’를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주로는 ‘무엇을 많이 아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왜 그럴까요?  한 사람의 사고하는 방법, 즉 생각하는 방법은 다른 사람이 볼 수 없기 때문이 아닐까요?  
 
한 사람이 알고 있는 것, 즉 지식은 시험과 같은 도구로 볼 수 있고 측정할 수 있지만, 그 사람이 무엇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볼 수 없기에 지식으로라도 측정해서 구분하려는 것이 아닐까요?  그렇다면 과연 지식을 측정해서 한 사람의 사고 능력을 비교한다는 것이 얼마나 정확할까요? 
 
필자는 ‘한 사람이 생각하는 방법은 그 사람 고유의 것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측정할 수 없다’고 이야기합니다.  다시 말하면, 사람이 태어날 때 자신만의 고유한 사고의 방식을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천재의 사고 능력과 일반 사람들의 사고 능력의 차이는 어디서 올까요?  
 
왜 어떤 아이들은 뛰어난 사고 능력을 가지고 있고 또 어떤 아이들은 그렇지 않을까요?  
 
필자의 답은 간단합니다.  제 각각 다른 사고의 방법을 가지고 태어난 아이들, 아니 사람들 모두는 천재가 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자신만의 사고하는 방법을 얼마만큼 어떻게 계발하느냐에 따라 사고의 범위나 차원이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즉, 아이들이 자신이 하는 사고의 방법을 스스로 찾아서 계발해 나갈 수 있다면 누구든 천재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이미 자신만의 사고하는 방식을 찾고 계발하는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한 가지 질문을 던져 볼 수 있겠죠?  ‘이미 아이들이 그리고 사람들이 천재의 능력을 가지고 태어났다면 왜 모든 사람들이 천재가 될 수 없는 것일까?’와 같이요.
 
왜 일까요?  필자가 보는 이유는 바로 그 아이가 매일 매일 만나고 이야기하는 사람들, 즉 부모, 이웃, 친구 등에게 있습니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은 부모라고 필자는 이야기 합니다.  간단한 예를 하나 들어 이야기 해 볼까요?  한 부모가 아이에게 이렇게 이야기 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넌 옷이 그게 뭐니?’라고요.  간단해 보이고 자주 쓰는 것으로 보이는 이 말속에 내 아이의 천재성을 짓누르고 뭉개는 망치가 들어 있다고 이야기하면 여러분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실까요?  실제로 이 단순해 보이는 말 속에는 아이의 자존 감과 천재성을 짓누르고 뭉개는 망치가 들어 있습니다. 
 
 ‘넌 옷이 그게 뭐니’에는 ‘그 옷을 입겠다고 생각한 너의 사고는 틀렸어’라는 뜻이 포함된 것으로 보이지 않나요?  즉, 아이가 아이 스스로 사고하고 판단해서 결정한 것을 틀렸다고 비난을 하는 경우이니 아이가 어떻게 느낄까요?  
 
이런 망치로 인해 아이는 스스로 생각할 수 있다는 그리고 생각하려고 하는 힘을 잃어버리고 부모의 방식대로 생각하도록 강요당하고 있다고 보이지는 않은가요?
 
이 글의 제목을 저는 ‘우리 아이, 천재가 될 수 있을까?’라고 지었습니다.  
 
필자가 지금까지 관찰해 온 결과로는 많은 사람들이 ‘우리 아이 천재로 키울 수 있을까?’와 같이 부모가 아이를 만들어 간다는 생각으로 접근을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천재는 누구에 의해서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것이라고 필자는 이야기 합니다.  
 
그리고 많은 경우 부모가 아이의 천재성을 억누르고 있다고도 말합니다.  
 
‘넌 옷이 그게 뭐니’라고 이야기 하기 보다는 ‘내 생각에는 오늘 날씨가 추운 것 같은데 그 옷으로 괜찮을까?’와 같이 묻는다면 아이들은 스스로 자신만의 사고 방식을 계발해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 능력을 기를 수 있지 않을까요?
 
mdp.gif
글/민동필 박사
 
민동필 박사는 미국 워싱턴 주립 대학 (Washington State University)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뉴욕의 코넬 대학의 의과대학인 웨일 의과대학에서 박사 후 과정을 한 후 콜럼비아 대학에서 연구원으로 있다가 캐나다로 이민을 와 몬트리올의 캐나다 국립 연구소에서 연구원/콩코디아 대학의 겸임 교수로 연구활동을 했다.  현재는 밴쿠버에 거주하면서 생각하는 힘, 즉 두뇌를 계발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교육을 하고 있다.  
민동필 박사가 하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웹사이트를 참고할 수 있다..
 
PonderEd Education: http://www.the-lessons-of-life.ca/kr -한국어
http://www.the-lessons-of-life.ca/en - 영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28건 4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8 [과학 이야기] 아홉번 째 행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1570
47 빛의 성질에 관한 탐구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9 1569
46 큰 인기 몰고 있는 ‘포켓몬 고(Pokemon GO)’ 스마트폰 게임, 혹시 들어보셨나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1568
45 [CELPIP의 모든 것] 영주권과 시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3 1567
44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진정한 삶의 자유와 즐거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1 1549
43 [과학 이야기] 케플러 우주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1546
42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26) – 자유롭고 즐거운 삶을 향한 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1538
열람중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 교육 특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2 1532
40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3 1531
39 화성에 흐르는 소금 개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 1526
3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후쿠시마 유출물, 밴쿠버에 도착하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1525
37 생활 속의 자녀교육 (35) - 수학공부가 어려운 이유와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1 1524
36 생활 속의 자녀교육(36) – 자녀가 창의력을 늘릴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7 1520
3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 1519
34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교과서, 시험,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517
33 [CELPIP 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3 1505
32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개념을 연결하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1502
31 [과학 이야기] 컴퓨터 하드 드라이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1501
30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수학 공부, 왜 그리고 어떻게? (3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 1496
2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네팔 대지진(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7 1483
28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27) - 부부관계가 자녀교육에 영향을 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1464
2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34) - 자녀의 두뇌발달 가능성 및 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1463
26 생활 속의 자녀교육 (22) – 성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1459
2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9) - 컴퓨터와 게임 중독 증상 대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1453
24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현재의 불편함을 공부의 주제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1440
23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안다는 것과 실천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1402
22 [CELPIP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 1385
21 [과학 이야기]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1382
20 자녀가 집중력을 키워갈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372
19 [과학 이야기] STARSHOT, 불가능을 가능케 하는 인류의 노력 계속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372
1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30) - 배우는 방식이 다른 아이들의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1367
17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15) - 봉사활동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1358
16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공부는 본인의 의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1354
15 생활 속의 자녀교육- 공부에 재미를 붙일 수 있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1338
14 생존에 의존한 행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7 1323
13 자녀가 집중력을 키워갈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1318
12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글쓰기 능력'은 개인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1 1308
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더 이상 남의 일 아닌 지진(Earthquak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7 1276
10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7) - 기억력을 늘리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1274
9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11) - 자기소개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7 1265
8 생활 속의 자녀교육 (20) – 목표의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9 1261
7 석가의 출가로 보는 지혜의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1252
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237
5 생활 속의 자녀교육 (21) – 실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0 1226
4 생활 속의 자녀교육 (29) - 생존에 의존한 행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3 1213
3 [과학 이야기] LHC의 데이터 공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1203
2 대학 진학을 앞둔 학생들에게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1198
1 생활 속의 자녀교육 (33) - 자녀와 소통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7 1122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