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이야기] 전기 뱀장어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과학 이야기] 전기 뱀장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6-06-30 12:43 조회2,482회 댓글0건

본문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기 뱀장어가 만든 전압, 600 볼트 넘어 - 이것을 활용한 발전기도 불가능하지 않아

 

1800년 2월 남아메리카 대륙을 탐험중이던 19세기의 가장 유명한 탐험가 알렉산더 폰 훔볼트(Alexander von Humboldt, 1769-1859)는 드디어 학창 시절부터 호기심을 갖고 있던 동물의 신체에 흐르는 전기에 관한 실험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갖게 됩니다.

 

아마존 지역을 탐험하던 중 전기뱀장어를 발견한 것입니다. 훔볼트의 부탁에 의해 원주민들이 말을 미끼삼아 전기뱀장어를 잡는 장면은 후에 그의 학술지에 자세히 설명되었고, 이는 후에 자주 삽화로 이용될 정도로 유명한 장면이 됩니다.

 

현재도 훔볼트에 대한 위인 전기에는 빠짐없이 그림으로 소개되는 장면 소개에 따르면, 원주민들이 말과 노새들을 얕은 흙탕물에 풀어놓자 전기뱀장어들이 물위로 뛰어오르며 말과 노새들을 감전시켰고, 끝내 두 마리 말이 감전되어 쓰러져 익사될 정도의 전기를 사용한 뱀장어들이 심하게 방전되어 더이상 강한 전기를 내지 못하고 지쳐있을 때 손쉽게 뱀장어를 건져올렸다고 묘사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훔볼트의 설명은 당시를 극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과장된 표현일 뿐, 정확한 사실 묘사는 아닐 것이라는 것이 지난 200여년간 과학계의 해석이었습니다. 

 

왜냐 하면 전기뱀장어가 상대방을 감전시킬 수 있는 것은 전기가 통할 수 있는 물속에서의 일일 뿐, 물밖에서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중론이었습니다.

 

이러한 의구심은 훔볼트의 주장을 증명해줄 만한 증거도 딱히 발견되거나 실험적으로 증명된 적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적어도 지난 6월 21일에 발표된 미국의 반더빌트 대학교(Vanderbilt University) 생물학과의 케니스 카타니아(Kenneth C. Catania)교수 연구팀의 전기뱀장어에 대한 이색 연구결과가 알려지기 전까지는 말입니다.

 

연구진의 발표에 따르면 뱀장어는 물위로 뛰어오르지만 꼬리 끝부분은 물속에 머무르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공격상대도 몸의 일부분이 물속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에, 뱀장어의 몸, 공격대상의 신체 일부분, 그리고 물이 연결되어 하나의 전기회로를 완성할 수 있고, 그로 인해서 물에서 뛰어오르는 전기뱀장어가 말의 다리부분을 공격했다는

 

훔볼트의 목격담이 진실임을 뒷받침할 수있는 연구결과를 확인하게 된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물밖으로 올라와 상대를 공격했을 때, 방출되는 전기를 집중시킬 수 있어, 사실상 더 강한 감전충격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고 연구팀은 논문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럼 도대체 전기뱀장어는 어떻게 전기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일까요?

 

전기뱀장어는 생김새가 뱀장어와 비슷하여 전기뱀장어라고 불리지만, 뱀장어와는 아예 ‘과’가 다른 김노투스과(Gymnotidae)에 속한 담수어로 김노투스과에 속한 물고기들은 모두 전기를 방출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그 중 전기뱀장어는 현존하는 생물중 가장 강한 전압의 전기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실, 동물 세포에서 전기가 만들어지는 것은 이들만의 특성이 아니라 모든 동물세포에서 가능한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동물세포에는 많은 양의 전해질, 즉 이온(ion)들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 이온들의 분포가 세포막을 경계로 차이가 나게 되면 약 수십 밀리 볼트(mV)정도의 적은 전위차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동물도 자체적으로 전기를 발생시키지만  전기뱀장어와는 비교 할 수 없을만큼 작은 전압의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 뿐입니다. 즉 전기뱀장어에 대한 학술적 가치는 전기를 만들 수 있는 능력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높은’ 전압의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가에 있다고 보는 것이 옳습니다.

 

전기뱀장어의 몸통은 대부분 1미터를 넘으며 종종 2미터가 넘을 정도로 긴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이 몸통의 약 4분의 3에 해당하는 부분이 모두 꼬리로, 이 꼬리는 횡문근(橫紋筋,힘줄과 살이 가로줄로 나란히 연결된 근육으로 주로 척추동물의 뼈를 움직이는 근육)이 변화된 납작한 형태의 세포들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있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이는 건전지를 일렬로 연결시킨 직렬연결과 유사한 형태로 각 세포들에서 만들어진 전위차가 세포가 나열 된 만큼 쌓여 전체적으로 매우 강한 전기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입니다. 

 

이때 연결되는 전기판세포는 약 5 천여 개가 넘으며, 이렇게 만들어진 전압은 최대 600볼트(V)가 넘기 때문에, 사람이나 심지어 소와 같은 커다란 동물도 감전으로 죽게 만들 수 있는 강력한 무기가 되는 것입니다.

 

더욱 흥미로운 점은 이렇게 강한 전압을 만들어내 상대방에게 큰 피해를 주지만, 정작 자기 자신은 전기회로의 일부분이 됨에도 불구하고 전혀 감전되지 않는 다는 것입니다. 이는 뱀장어의 전기판세포가 모두 일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140여개의 나누어진 갈래구조, 즉 병렬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자신의 몸속에는 밖으로 내보내는 전력의 1/140정도의 전기 충격만이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기뱀장어들을 가두어 기르면서 이들이 방출하는 전기를 발전기처럼 사용할 수는 없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이론적으로 불가능한 바는 아니지만, 현실적으로 시행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습니다.

 

우선, 전기뱀장어 잡는 방법에서 설명드렸듯이 전기 뱀장어는 지속적으로 동일한 양의 전기를 만들어 내지 못합니다. 몸속에 충전하고 있는 전기를 사용해 버리면, 다시 충분한 양의 전압을 만들어내는 대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를 일정하게 관리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러한 제어 장치가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뱀장어가 방출하는 전기의 전압차 역시 매번 많은 차이를 갖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서 안정적인 전기를 공급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모두 기술적인 문제들이기에 언젠가는 전기뱀장어를 이용한 가정용 발전기라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닐 것입니다. 

 

실제로 생체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만들어내고자 하는 노력은 많은 분야에서 다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가장 최첨단 연구 과제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석준영.gif

석준영(비센 학원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28건 4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자아를 완성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 1595
47 [CELPIP의 모든 것] 영주권과 시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3 1587
46 빛의 성질에 관한 탐구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9 1587
45 큰 인기 몰고 있는 ‘포켓몬 고(Pokemon GO)’ 스마트폰 게임, 혹시 들어보셨나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1585
44 [과학 이야기] 케플러 우주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1570
43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진정한 삶의 자유와 즐거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1 1563
42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 교육 특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2 1556
41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26) – 자유롭고 즐거운 삶을 향한 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1555
40 화성에 흐르는 소금 개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 1549
39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3 1547
38 생활 속의 자녀교육 (35) - 수학공부가 어려운 이유와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1 1542
3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후쿠시마 유출물, 밴쿠버에 도착하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1541
36 생활 속의 자녀교육(36) – 자녀가 창의력을 늘릴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7 1541
3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교과서, 시험,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538
34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 1536
33 [CELPIP 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3 1535
32 [과학 이야기] 컴퓨터 하드 드라이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1516
31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개념을 연결하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1516
30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수학 공부, 왜 그리고 어떻게? (3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 1514
2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네팔 대지진(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7 1500
2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34) - 자녀의 두뇌발달 가능성 및 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1481
27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27) - 부부관계가 자녀교육에 영향을 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1479
2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9) - 컴퓨터와 게임 중독 증상 대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1474
25 생활 속의 자녀교육 (22) – 성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1470
24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현재의 불편함을 공부의 주제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1464
23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안다는 것과 실천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1434
22 [CELPIP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 1398
21 [과학 이야기]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1397
20 [과학 이야기] STARSHOT, 불가능을 가능케 하는 인류의 노력 계속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393
19 자녀가 집중력을 키워갈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387
1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30) - 배우는 방식이 다른 아이들의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1385
17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15) - 봉사활동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1371
16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공부는 본인의 의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1367
15 생활 속의 자녀교육- 공부에 재미를 붙일 수 있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1357
14 생존에 의존한 행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7 1349
13 자녀가 집중력을 키워갈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1335
12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글쓰기 능력'은 개인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1 1322
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더 이상 남의 일 아닌 지진(Earthquak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7 1294
10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7) - 기억력을 늘리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1291
9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11) - 자기소개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7 1281
8 생활 속의 자녀교육 (20) – 목표의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9 1275
7 석가의 출가로 보는 지혜의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1266
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260
5 생활 속의 자녀교육 (21) – 실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0 1246
4 생활 속의 자녀교육 (29) - 생존에 의존한 행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3 1232
3 [과학 이야기] LHC의 데이터 공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1219
2 대학 진학을 앞둔 학생들에게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1216
1 생활 속의 자녀교육 (33) - 자녀와 소통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7 1146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