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5감과 6하 원칙을 바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꾸기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5감과 6하 원칙을 바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꾸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07-12 09:52 조회2,583회 댓글0건

본문

 

 

앞서 적은 것처럼, 주제의 정의를 묻는 질문과 지식의 한계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사고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두뇌를 자극했다하더라도 답을 찾지 못하면 사고력을 발휘하는 두뇌영역은 다시 잠이 들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다음 단계는 답을 찾을 수 있도록 두뇌를 훈련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전제할 것은, 앞서 언급했듯 정의를 묻는 질문 (예, 중력이란 무엇인가?)의 경우 바로 답을 못하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이러한 질문이 ‘지구는 왜 사과를 끌어당기나?’와 같이 호기심에서 떠오르는 질문으로 이어졌을 때 또한 막혀서 답을 찾기 어려우므로 여기서는 정의를 묻는 질문을 호기심에서 떠오르는 질문에 포함하여 다루겠습니다.

 

호기심에서 오는 질문과 같이 어느 순간 문득 떠오르는 질문들 중에서 답을 찾기 어려운 것들은 6하 원칙 중 이유나 근거를 묻는 ‘왜?’라는 단어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이유나 근거를 묻는 질문의 경우 질문은 쉽지만 답을 찾기 어려운 이유는 일상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로서 부모가 자녀에게, 선생님이 학생에게, 또는 직장 상사나 판·검사가 부하직원이나 피고인에게 던지는 ‘너 이걸 왜 이렇게 했어?’와 같이 이유를 묻는 질문들은 이를 통해 상대가 스스로 자기가 한 일에 대한 이유나 근거를 대도록 만들고 그것을 바탕으로 잘·잘못을 가리고자하는 접근법이라 볼 수 있습니다. 즉, 권력을 가진 자는 굳이 자신들의 언행에 이유를 댈 필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이유나 근거를 묻는 질문에 대한 답이 조금이라도 권력자의 의도에 어긋나는 경우 벌칙이 따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유나 근거를 묻는 질문을 하기는 쉽지만 답을 내놓아야 하는 입장에서는 결과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이러한 질문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현상은 진화의 과정에서 뿌리 깊게 유전자에 새겨져 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권력자나 지식인같이 사회적 지위가 높은 경우가 아니면 호기심에서 이유나 근거를 묻는 질문을 떠올리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떠올린다 하더라도 그 답을 찾으려 시도하기보다는 머릿속에서 질문을 털어내려는 방향으로 흐른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두뇌가 답을 찾기 어려운 이유나 근거를 묻는 질문에 얽매이지 말고 질문의 형태를 바꿔 답을 찾을 수 있어야 다음 단계의 공부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아래는 질문을 바꾸는 과정을 간단하게 단계별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5감과 6하 원칙을 이용하여 질문을 바꾸기

 

질문을 바꾸는 첫 단계는 우선 답을 찾기 어렵더라도 ‘왜?’라는 질문을 포함한 모든 6하 원칙과 함께 인간의 5감을 통해 받아들인 정보를 바탕으로 질문을 만드는 것입니다.

 

중력의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을 이어보겠습니다.

 

우선 중력은 5감 중 시각을 주로 이용해 관찰할 수 있는 자연현상입니다. 따라서 시각에 초점을 맞춰 6하 원칙을 이용하여 아래의 예제와 같은 질문을 가능한 많이 만들어 봅니다.

 

‘왜’를 이용한 질문: 왜 사과는 땅으로 떨어지는가?

 

‘어떻게’를 이용한 질문: 사과는 어떻게 땅으로 떨어지는가?

 

‘무엇’을 이용한 질문: 중력은 무엇을 땅으로 떨어지게 하는가?

 

‘언제’를 이용한 질문: 언제 사과는 땅으로 떨어지는가?

 

‘어디서’를 이용한 질문: 사과는 어디로 떨어지는가?

 

‘누가’를 이용한 질문: 누가 사과를 땅으로 떨어뜨리는가? 등

 

이렇게 질문을 만드는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구체적인 서술이 질문에 포함되었는지의 여부입니다. 예를 들어 ‘왜’가 들어간 질문을 만들 때 ‘땅으로’라는 부분을 빼놓고 ‘왜 사과는 떨어지는가?’라고 질문을 만들어도 의사소통에는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과정에서는 당연해서 필요가 없다고 생각되는 ‘땅’이라는 단어가 빠짐으로서 다음 사고과정으로 넘어가기 어려운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후에 중력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또 한 가지 고려해야할 중요한 요소는 짐작, 추측, 또는 기대감이 질문에 포함되었는지의 여부입니다.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의 핵심은 자연현상, 사물 등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위의 예 중에서 ‘누가’를 이용한 질문을 던지는 경우 만일 질문을 하는 사람이 ‘아이가 나무 막대기로 사과가 달린 가지를 두들겨서 사과를 땅으로 떨어뜨린다.’와 같은 현실에서 벌어질 수 있는 현상이 아닌 ‘보이지 않는 신과 같은 존재의 힘이 사과를 땅으로 떨어뜨린다.’와 같은 짐작 또는 추측에서 질문을 만들었다면 이는 확인할 수 없는 상상이나 환상으로만 가능한 내용이기에 이러한 짐작이나 추측을 바탕으로 질문을 만드는 경우 5감을 통해 들어오는 정보를 왜곡할 수 있습니다.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꿨다면 다음은 아래 필자가 제시하는 질문들을 바탕으로 만들어 놓은 질문들을 다시 한 번 검수하는 과정을 이어갑니다.

 

1) 만들어진 질문이 구체적인가?

 

2) 질문이 5감을 통해 받아들여진 정보를 있는 그대로 서술하여 만든 것인가?

 

3) 질문이 추측, 짐작, 또는 기대심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는 않은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4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0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중국에서의 항일 운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4573
1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역사상 세번째 여성 노벨 물리학 수상자가 된 워털루 대학 스트릭런드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737
103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공부와 삶 – 공부가 어려우면 삶도 고통의 연속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693
10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한민국 임시 정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3171
101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를 다루는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2710
10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2481
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에 가까운 산 정상이 왜 더 추운 걸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12436
98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를 다루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2459
9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2522
96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 중급단계 주제를 다루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2379
9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2270
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도박의 비밀을 알면 성공적인 인생을 살 수 있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4033
93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 중급단계 주제를 다루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2210
9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2229
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079
90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단계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960
8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519
8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기초단계 공부 방법 마무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68
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을 향한 인류 첫 탐사 - 파커 탐사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24
8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확장을 통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6 2794
8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6 3815
8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확장을 통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062
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잉글리쉬 베이 밤하늘을 수놓은 불꽃놀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114
8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독도는 우리 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628
8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나만의 정의를 바탕으로 주제를 확장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2496
8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두산정계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3847
7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서술을 종합하여 나만의 정의를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450
7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34
7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동학 농민 운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4438
7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종이 땡땡땡, 서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533
7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바꾼 질문에 부합하는 서술을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435
7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앤트맨처럼 작아지는 것이 실제로 가능할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4552
7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과거시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759
열람중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5감과 6하 원칙을 바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꾸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584
7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승정원일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156
7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지식의 한계를 확인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792
6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곰탕 폭발의 미스테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4962
6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몽유도원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65
6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선택 그리고 정의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20
6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 훈민정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959
6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 방법의 기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3522
6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선크림 방지법 -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할 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3113
6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38
6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4693
6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 혜허의 수월관음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3021
6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459
5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중력이라는 이름의 코끼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67
5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설화문학과 패관문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40
5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561
5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3708
5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두뇌 속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2682
5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470
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라돈 침대 - 위험한 것일까? 안전한 것일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807
5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2 (두뇌의 작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322
5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1 (공을 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196
5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덕 대왕 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48
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왜 남북은 서로 시간이 다를까-남북회담을 계기로 알아보는 국제표준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16
4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1976
4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주 감은사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511
4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080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