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발달에 장애가 되는 지식의 정확도를 묻는 시험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발달에 장애가 되는 지식의 정확도를 묻는 시험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2-05-19 11:20 조회934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발달에 장애가 되는 지식의 정확도를 묻는 시험


◆ 학교에서 벌어지는 부정행위는 새로울 것이 없지만 UBC와 같은 상위권 학교에서 그렇게 많은 학생들이 부정행위를 했다는 것에 조금 놀랐을 뿐인데 이러한 부정행위를 학교가 학생들에게 지우는 짐 때문이라고 하셨잖아요? 이유가 무엇인가요? 


- 시험에서 부정행위가 벌어지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어요. 하나는 학생 스스로 답을 찾지 못해서인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답을 손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을 경우죠. 


◆ 두 경우가 다르지 않아 보이는데 굳이 구분을 한 이유가 뭐죠? 


- 높은 성적을 받기 위해 부정행위를 한다는 것에는 차이가 없을 수 있어요. 하지만 원인은 완전히 다를 수 있죠. 


◆ 원인이 달라서라는 것이 어떤 의미인가요?


- 부정행위를 하는 학생들의 관점에서 문제를 보면 차이가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교육을 제공하는 측의 관점에서 바라봤을 때 차이가 있어요. 


◆ 교육을 제공하는 측이라면 학교나 교수들의 관점인가요? 


- 그렇죠. 학교는 교수들을 고용하고 또 학교가 나아가는 전체적인 방향을 제시하니까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수들은 실제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평가를 하니까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죠. 


◆ 그러면 학교나 교수들이 학생들의 부정행위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 먼저 학교에서 교육의 방향이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의 양상’과 같이 직장을 잡는 것에 맞춰져 있으면 교수를 고용할 때에도 해당분야의 지식을 가진 사람들을 고용하죠. 그래야 사회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가진 학생들을 배출할 수 있을 테니까요. 


◆ 이해는 가요.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력이 예를 들어 인공지능 쪽이라면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이 있는 학생들이 직장을 잡을 확률이 높을 테니까요. 그런데 이것이 부정행위와 어떤 관계가 있나요? 


- 예를 들어 인공지능에 대한 것을 가르치는 교수가 시험문제를 냈는데 그 시험문제가 지금까지 접해본 적 없는 내용이라고 가정해볼게요. 그래서 인터넷을 검색해도 답을 찾을 수 없어요. 그러면 어떤 현상이 벌어질까요? 


◆ 학생들이 답을 찾기 위해 생각하고 또 생각하겠죠. 


- 그렇죠. 그리고 하나 덧붙이면 맞는 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로서는 누구의 생각이 옳은지 확인할 수 없어요. 


◆ 그러면 맞는 답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부정행위를 하지 않을 거란 뜻인가요? 


- 아니요. 부정행위가 있겠죠. 어떻게든 백지를 제출하지 않으려는 학생들이 있을 테니까요. 하지만 이러한 부정행위는 너무도 쉽게 드러날 뿐 아니라 학생들로서도 부정행위를 할 의미를 크게 찾을 수 없어서 부정행위의 유혹에 쉽게 빠지지 않죠.


◆ 그럴 수 있겠네요. 그러면 두 번째의 경우는 무엇인가요? 


- 시험문제가 이미 알려진 지식의 정확도를 묻는 경우에요. 


◆ 지식의 정확도를 묻는 시험문제라면 예를 들어 세계 제2차 대전이 시작된 때는 언제인지를 묻는 문제와 같은 것들을 뜻하나요? 


- 맞아요. 이러한 시험문제는 인터넷이나 책을 검색하면 답을 쉽게 찾을 수 있어요. 


◆ 하지만 시험은 정해진 시간과 공간에서 벌어지는 것이잖아요. 학생들이 인터넷 검색을 하지 못하게 하면 막을 수 있는 것 아닌가요? 


- 그렇죠. 그래서 시험감독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끊임없이 나오죠. 


◆ 그러면 시험감독을 철저히 하면 되기 때문에 교수나 학교에 원인이 있다고 하신 건가요? 


- 아니요. 이러한 시험은 학생들에게 실제로 짐을 지우기 때문이에요. 


◆ 어떻게요? 


- 학생들이 스스로 답을 찾으려고 공부하기보다는 알려진 답을 찾는 공부를 하기 때문이죠. 


◆ 잘 이해가 가지 않는데 조금 더 설명을 해 주시겠어요? 


- 앞서의 예를 다시 살펴보면 세계 제2차 대전이 시작된 시점은 정해져 있어요. 바꿀 수도 없죠. 이러한 문제에서 스스로 답을 찾기 위해 공부할 것이 남아있을까요? 


◆ 답이 정해져 있으니까 외우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을 것 같은데요. 


- 그렇기 때문에 답을 찾고자 사고력을 발휘하려 하기보다는 단순히 답을 찾아 외워서 기억하는 공부를 하죠. 


◆ 정확하게 기억을 하고 있어야 답을 정확하게 찾을 수 있으니까 당연하다고 생각이 되는데 이게 왜 학생들에게 짐이 되나요? 


- 이유를 통해 원인과 결과를 찾아가면서 답을 찾는 논리적 사고가 결여된 상태에서 주어진 답을 찾아 외운다는 것이 두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생각해 보신 적 있나요? 


◆ 아니요.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 결과에 매달려 해답만을 찾거나 답이 주어지기를 기다리는 수동적인 공부방법이 습관이 되죠. 


◆ 수동적일지는 몰라도 새로운 정보를 얻어 지식에 대한 갈망을 해소할 수 있으니까 좋은 것 아닌가요? 만족과 만족을 통해 행복함을 느낄 수 있잖아요. 


- 맞아요. 만족과 행복을 얻을 수는 있죠. 하지만 답을 찾아 지식을 익히는 공부방법에 주로 의존해서 공부해 온 사람이 불확실한 미래 또 답이 없는 미래를 마주하면 어떤 현상이 벌어질까요? 


◆ 음, 당황하고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모를 것 같네요. 


- 그렇죠. 공부를 하는 이유는 논리적 사고로 미래에 벌어질 현상을 조금이라도 더 정확하게 예측해서 대비하기 위함이죠. 이러한 두뇌능력을 갖추려면 미지의 세계를 탐색할 수 있는 두뇌능력이 필요해요. 그런데 대학에서조차 지식의 정확도를 묻는 시험으로 학생들의 사고를 가두고 있는 경우가 많거든요. 그러니까 학생들은 답을 찾으려 부정행위를 하고요. 악순환이라고 봐야죠. 나아가 이러한 접근법은 학생들로 하여금 권력에 스스로 복종하도록 만드는 역할도 해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8건 4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야나기 무네요시-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809
열람중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발달에 장애가 되는 지식의 정확도를 묻는 시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935
78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야나기 무네요시-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8 1291
78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일반 대학과 직업기술에 초점을 둔 대학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988
78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를 위해 목표를 세우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974
78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회암사터-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948
78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의 발달의 시작은 목표 지향적 사고로부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1028
78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내 두뇌에 존재하는 여러 다른 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930
78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회암사터-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1142
77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아는 것이 정말 힘일까? (공부에는 독이 될 수 있는 ‘나는 알고 있다!’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953
77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최고의 두뇌와 경쟁할 수 있는 두뇌 능력을 키우는 공부 방법 (지식의 개념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929
77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회암사터-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978
77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를 향한 첫 걸음, 지식의 개념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1 970
77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의 재건축, 왜? 어떻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5 930
77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라인들의 근친혼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1071
77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유와 근거로 지식의 재건축을 통한 기억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9 957
77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를 가두는 교수법 vs. 열어주는 교수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969
77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바보 온달(? ~ 59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974
77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논리적인 사고를 통해 개념을 정립하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1015
76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의 종류 그리고 기억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1141
76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육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1155
76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의 초석; 스스로 내리는 정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1016
76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언어에 갇혔는지를 확인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0 1022
76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동여지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1494
76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에 갇히면 이해력과 창의력은 멀어질 수밖에 없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1025
76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해력과 사고력을 늘리는 공부 vs 지식을 익히는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1046
76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양명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1114
76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을 보면 학습능력이 보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1 905
76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정서적 안정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077
75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를 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6 969
75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떡잎부터 차이나는 공부머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1033
75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후삼국시대-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974
75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예습을 통해 학교 공부를 준비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953
75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공부의 효율을 늘리는 공부 방법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986
75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후삼국시대-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1913
75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과 개념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1085
75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4대 사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1811
75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회가 필요로 하는 사람은 지식인이 아닌 창조적 사고능력을 지닌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1016
75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경쟁의 시작은 새로운 지식으로부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1014
74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새로운 지식을 배워가는 공부는 미래를 보장해 줄 수 있다. 하지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1091
74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내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1195
74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해를 통해 지식을 배우는 과정에는 생각이 필요하지 않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 932
74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동물의 두뇌를 벗어나지 못한 인간의 모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953
74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칠지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1403
74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의 두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946
74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방법을 목표로 설정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971
74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우리나라의 신석기 시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1159
74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하는 것이 목표가 된 경우의 두뇌작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4 1181
74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아날로그 정보처리 방식이 가진 장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 1018
73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우리나라의 구석기 시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1099
73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아날로그 vs. 디지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30 988
73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는 모든 것은 허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5 1058
73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목조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3280
73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5감을 통해 들어오는 정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6 1227
73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혜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987
73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지로 요를 삼고 창공으로 이불을 삼아 - 암태도 소작쟁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1301
73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조적 사고력을 넘어서는 인간의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041
73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인과 결과는 꿰어진 구슬처럼 연결되어 있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991
73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1227
72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자유에 대한 갈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00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