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2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2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0-06-24 07:58 조회1,531회 댓글0건

본문


19. 숙종(1661~1720 / 1674~1702) = 인경왕후 김씨

                                             = 인현왕후 민씨

                                             = 인원왕후 김씨

                                             = 희빈 장씨 ― (20. 경종)

                                             = 숙빈 최씨 ― (21. 영조)

                                             = 명빈 박씨

 

20. 경종(1688~1724 / 1720~1724) = 단의왕후 심씨

                                             = 선의왕후 어씨

 

21. 영조(1694~1776 / 1724~1776) = 정성왕후 서씨

                                             = 정순왕후 김씨

                                             = 정빈 이씨 ― 효장세자(진종)

                                             = 영빈 이씨 ― 사도세자(장조효장세자)

                                                                 = 혜빈 홍씨

                                                                    ― (22. 정조)

                                                                 = 영빈 엄씨

                                                                     ― 은언군

                                                                        ― 전계대원군

                                                                            ― (25. 철종)

                                                                 = 숙빈 임씨

                                                                    ― 은신군

                                                                        ― 남연군

                                                                            ― 흥선대원군

                                                                                ― (26. 고종)

                                                                = 귀인 박씨

                                                                   ― 은전군

 

22. 정조(1752~1800 / 1776~1800) = 효의왕후 김씨

                                             = 의빈 성씨 ― 문효세자

                                             = 수빈 박씨 ― (23. 순조)

 

23. 순조(1790~1834 / 1800~1834) = 순원왕후 김씨

                                                ― 효명세자(익종) = 신정왕후 조씨

                                                                           ― (24. 헌종)

                                                                           ― (26. 고종)

                                               ― (25. 철종)

 

24. 헌종(1827~1849 / 1834~1849) = 효현왕후 김씨

                                             = 효정왕후 홍씨

 

25. 철종(1831~1863 / 1849~1863. 강화도령) = 철인왕후

 

26. 고종(1852~1919 / 1863~1907) = 명성황후 민씨 ― (27. 순종)

                                             = 귀인 엄씨 ― 이은(영친왕)

                                             = 귀인 이씨 ― 이선(완친왕)

                                                             ― 이육

                                             = 귀인 장씨 ― 이강(의친왕)

                                             = 귀인 정씨 ― 이우

                                             = 귀인 양씨 ― 덕혜옹주

 

27. 순종(1874~1926 / 1907~1910) = 순명효황후 민씨

                                             = 순정효황후 윤씨

 

왕의 정통성 문제는 대단히 중요했는데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부왕으로부터 승계를 했느냐의 문제다이것은 왕실의 직계(直系)방계(傍系)냐의 문제로도 볼 수 있다아버지가 왕위에 있었던 경우는 직계 왕손으로서 더욱 정통성이 있는 것으로 인정받았다그렇지 않은 경우아들은 즉위 후에 부를 왕으로 추존했다성종은 자신의 부 의경세자를 덕종으로 추존했고인조는 그의 부 정원군을 원종으로 추존했다.


둘째적자(嫡子)서자(庶子)냐의 문제다정식 왕비에게서 태어났으면 적자(嫡子)이다적자 중에서 맏아들을 원자(元子)라고 하는데원자는 세자로 책봉되는 순서를 밟게 된다적자들은 모두 왕자시절에 대군으로 호칭된다예를 들면 우리 귀에 익숙한 양녕대군효녕대군충녕대군영창대군 등으로 불린다그러나 왕비가 아닌 후궁(後宮)에게서 태어난 왕자는 말하자면 서자(庶子)인데그냥 군()으로 부른다예를 들면 연산군광해군신성군임해군 등이다당연히 대군에게 정통성이 더 인정된다광해군의 경우에는 뒤늦게 태어난 원자(아직 세자에 책봉되지 않은임금의 맏아들영창대군 때문에 하마터면 왕이 되지 못할 뻔했다영창대군은 인목왕후 김씨 소생으로 선조의 14명의 아들 중에 유일한 적자로서 대군으로 불렸다선조가 말년에 이미 세자로 있던 광해군을 폐하고영창대군을 세자로 하려다가 갑자기 죽는 바람에 성사되지 못했다이것이 빌미가 되어 나중에 광해군은 영창대군을 죽이고 그의 모친인 인목대비마저 유폐시키게 되는데이는 결국 인조반정(仁祖反正)의 한 원인이 되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5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글쓰기 방법 - Rephrase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55
4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7 · 4 남북 공동 성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1665
4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6 · 25 전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245
4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발견에 공헌한 3인에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378
4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이유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013
4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한민국 정부 수립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3057
3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물은 당연히 섭씨 100도씨에서 끓는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8672
3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호기심이 줄어드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1934
3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윤봉길 의사와 이봉창 의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2907
3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키시니, 그 장대한 여정의 마지막을 불사르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942
3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깨달음’은 내 안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850
3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275
3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 7대 브로이 공작, 루이 빅토르 피에르 레몽 드 브로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745
3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답을 찾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587
3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중근의 동양 평화론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2391
3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기하고 위험한 액체 질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4298
29 화려하고 웅장한 성당 그리고 예수의 가르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1568
2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제자리를 맴도는 주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678
2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확한 진단의 양면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995
2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항일 의병 운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8 10395
2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두산정계비, 간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4896
2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줄다리기 승패는 신발이 좌우한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6524
23 공부가 쉬운 주제가 가진 이면 - 욕심, 그리고 욕심을 넘어서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1708
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독립 협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706
2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99년만에 찾아온 토탈 이클립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298
20 [공부의 주제를 선택하는 방법]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답을 찾는 훈련을 할 수 있는 공부의 주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954
1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정신문화와 물질문화의 균형을 이룬 실학 댓글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907
1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인공지능의 번역능력과 인간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963
1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를 마음대로 내리게 할 수 있다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847
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과 이순신 댓글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4416
1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천재들의 공통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3812
1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불변의 진리였던 플로지스톤-진리가 아니었던 진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3915
1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아버지를 아버지라고 부르지 못한 노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1849
1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를 서술에서 배제하는 훈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1585
1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조실록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3712
1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기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403
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관찰 후 서술의 필요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1697
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2409
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덜 익은 햄버거의 용혈성 요독 증후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1952
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관찰력을 늘리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3414
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병자호란과 남한산성 십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2779
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내가 지식으로서 알고 있다는 생각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748
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156회] 꿈이 알려준 과학적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793
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깨닫는 것’ -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896
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창덕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988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