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엘니뇨와 BC주 가뭄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엘니뇨와 BC주 가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07-23 12:05 조회2,510회 댓글0건

본문

일상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날씨 생태계, 점점 예측 어려워져

--------------------------

 

밴쿠버를 포함한 캐나다 서부 지역이 지독한 가뭄으로 인한 물부족으로 시달리고, 매일같이 발생되는 산불로 큰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피부가 타는 듯한 고온으로 낮에는 햇볕에 서 있기가 힘들 정도입니다. 잔디에 물 주는 것이 금지됨은 물론 또 세차 마저 자제할 것을 권고할 정도로 가뭄이 심각한 상황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상 고온현상은 6년만에 다시 찾아온 엘니뇨(El Niño) 현상의 부작용 중에 하나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엘니뇨(El Niño)란 5 ~ 6년 주기로 찾아오는 적도 부근 태평양지역에서 생기는 특이한 기후현상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적도보다 조금 남쪽에 위치한 남미의 페루와 호주 사이의 태평양지역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크리스마스 전후로 자주 생겨난다고 해서 ‘아기 예수’라는 의미의 스페인어 엘니뇨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 

 

원래 이 지역은 남동풍이 적도 방향으로 강하게 부는 바람이 부는 지역으로 이 강풍을 예전에는 오랜 세월 뱃사람들이나 무역상들이 이 이 바람에 많이 의존했다고 하여 무역풍(trade wind)이라고 합니다.

 

이 바람의 영향으로 따뜻한 수온을 갖는 표층부의 바닷물이 호주쪽으로 이동을 하게 되기 때문에 페루 서해안 근처에는 서쪽으로 이동한 물의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해 심해에서 차가운 물이 올라오게 됩니다.

 

원래 물은 수온이 낮을 수록 산소 함유량이 높은 성질을 갖기 때문에, 차가운 물이 위로 올라옴으로써 페루 서해안 근처에 물고기들이 살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져 거대한 어장을 형성하게 됩니다.

 

또한 호주쪽으로 밀려간 따뜻한 물과 무역풍은 호주 근처에서 도달하여 거대한 구름을 형성하게 되고, 이로부터 많은 양의 비가 호주 동부와 뉴질랜드 지역에 내리게 되는 것이 일반적인 적도부근 태평양의 기후형성의 원인입니다.

 

그러나 엘니뇨가 시작되면, 여러가지 복합적 이유에 의해서 무역풍이 급격히 약화되고, 이로 인해서 남미 서해안지역의 따뜻한 물이 호주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됩니다.

 

상부의 물이 이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심해의 차가운 물이 위쪽으로 올라오지 못하게 되며, 그 결과 태평양 동부지역의 수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현상을 초래하게 됩니다.

 

이렇게 엘니뇨가 시작되면 태평양 지역의 수온이 평균보다 약 섭씨 0.5도 이상 상승된 상태로 5 ~ 6개월 이상 지속되고, 그 결과 여러가지 생태계의 이상현상 및 이상 기후현상을 유발시키게 됩니다.

 

0.5도정도의 온도차이가 별거 아닌 것으로 느껴지실 수도 있지만, 실제 빙하기의 평균 온도가 현재의 평균 온도와 비교해서 약 6 ~7도 정도의 차이밖에 나지 않는다는 것을 생각하시면 0.5도 정도의 온도차이도 매우 심각한 온도변화임을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밴쿠버 지역이 요즘과 같이 덥고 건조한 이유는 이러한 엘니뇨 현상과 함께 거대한 고기압 기단이 자리잡고 움직이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원래 엘니뇨만 일어난다면, 태평양쪽에서 불어오는 수분을 많이 머금은 구름이 밴쿠버 해안을 올라오면서 비를 내리기 때문에, 평소보다 더 많은 비가 내려야 하는 것인데, BC주 지역에 멈춰있는 거대한 고기압 기단이 이를 방해하고 있기 때문에, 온도는 상승하지만 비마저 오지 않는 최악의 가뭄 시나리오를 겪고 있는 것입니다.

 

올해 엘니뇨가 시작된다는 것은 이미 수개월전부터 전세계의 기상 연구소들에 의해 예측되었으며, 현재 태평양의 수온 상승 정도를 보았을 때, 1997-1998년에 발생하여 전 세계에 엄청난 자연재해를 유발하였던 ‘수퍼 엘니뇨’에 버금가는 위력의 엘니뇨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는 걱정스러운 예측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이 엘니뇨 현상에 의해 남부 태평양뿐만 아니라 중북부 지역, 그리고 밴쿠버의 앞 바다까지 그 수온이 급격히 상승된 상황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물은 고온일수록 산소 함유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바다의 수온이 올라간다는 것은 수중 생태계에 직접적인 위협요소가 되는 것으로, 많은 수중 생물이 폐사되기도 합니다.

 

또한 엘니뇨 현상에 의해 이상고온, 그리고 이상 강우량은 미 중부의 곡물, 남미 지방의 커피 생산량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옥수수 등의 곡물 및 커피의 가격이 상승하는 경제적 문제점을 야기시키기도 합니다. 

 

물론 엘니뇨현상이 무조건 나쁜 영향만을 가져오는 것은 아닙니다. 고온현상으로 인해 겨울이 조금 더 포근한 날씨를 갖을 수도 있고, 또 강한 무역풍으로 인해 형성되는 허리케인이 평소보다는 적게, 그리고 약하게 형성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올해 미 남부 허리케인 다발 지역에 엘니뇨의 영향으로 허리케인이 예년보다 그 수나 강도가 적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엘니뇨는 이렇게 남미지역에서 발생된는 기후현상이지만, 그 영향은 거의 전 세계에 미치고 있습니다.

 

밴쿠버 지역이 가뭄에 시달리는 것 뿐만 아니라, 현재 한국 지역을 강타하고 있는 거대한 태풍들 역시 엘니뇨 현상에 의해 고온을 유지한 적도지역의 태평양에서 만들어진 저기압기단의 영향에 의한 것입니다.

 

또 호주, 뉴질랜드 지역은 가뭄을 경험하게 되기도 하며, 겨울이 되면 전체적인 고온현상때문에 평소에 눈이 내리던 지역에 눈 대신 비가 내려 겨울스포츠를 즐기기 힘들어질 수도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이러한 엘니뇨현상은 앞으로도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석준영.gif

석준영 (비센학원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5건 5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25 [보석 이야기] 2016년은 로즈 골드(rose gold) 골드가 대세 !! 박한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3931
724 [알기 쉽게 풀어 보는 한국사 수업] 추모(주몽)의 아들 온조가 세운 세운 백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56
72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1. 백제의 무령왕릉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158
7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2. 백제 금동 대향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222
7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3. 익산 미륵사지 석탑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867
72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4. 신라의 건국 이야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1743
719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나무를 나무라고 부르는 이유 그리고 자녀교육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1668
71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네가 알아서 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1889
71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꿈의 소재 그래핀이 열어가는 무한한 가능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5003
7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5. 불국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2885
71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음의 질량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4512
714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안 돼! 하지 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1764
71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6. 경주 석굴암 본존 불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4533
7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7. 신라의 황룡사 9층탑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4109
7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당신의 뇌를 깨우는 모닝커피 한 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09
71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구체적인 공부 방법을 나누겠습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151
70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건강식품도 독이 될 수 있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749
708 [알기 쉽게 풀어 쓰는 한국사 수업] 28. 왕오천축국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4920
707 [알기 쉽게 풀어 쓰는 한국사 수업] 29. 상정고금예문과 직지심체요절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5146
70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트레스로 인한 어지럼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070
70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개념을 연결하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625
70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듣기 훈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4668
7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에서 실행되는 실험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4205
70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30.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해인사 장경판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3918
70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알파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095
70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세상을 두려워 해야 하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137
699 [알기 쉽게 풀어 쓰는 한국사 수업] 31. 고려 시대 여성의 지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5251
698 [알기 쉽게 풀어 쓰는 한국사] 32. 한국의 전통 건축 이해하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3628
69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주제의 핵심요소 찾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1787
6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파리기후협정이 뭐길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138
695 엘리트 어학원 미국대학 입시 전략 설명회 및 장학생 시상식 안슬기 수습기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1750
69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공부의 원동력 = 호기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1855
69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측정의 기준-단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01
692 [알기 쉽게 풀어 쓰는 한국사] 33. 조선 왕릉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3030
69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육하원칙을 바탕으로 하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843
69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보 교환 수단의 미래- 양자 통신이란 무엇인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295
68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동양의 파르테논, 종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321
6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창덕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988
68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깨닫는 것’ -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896
6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156회] 꿈이 알려준 과학적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793
68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내가 지식으로서 알고 있다는 생각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748
6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병자호란과 남한산성 십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2779
68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관찰력을 늘리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3414
68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덜 익은 햄버거의 용혈성 요독 증후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1952
6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2409
68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관찰 후 서술의 필요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1697
67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기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403
67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조실록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3712
67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를 서술에서 배제하는 훈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1585
67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아버지를 아버지라고 부르지 못한 노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1849
67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불변의 진리였던 플로지스톤-진리가 아니었던 진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3915
67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천재들의 공통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3812
67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과 이순신 댓글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4416
67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를 마음대로 내리게 할 수 있다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847
67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인공지능의 번역능력과 인간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963
6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정신문화와 물질문화의 균형을 이룬 실학 댓글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907
669 [공부의 주제를 선택하는 방법]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답을 찾는 훈련을 할 수 있는 공부의 주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954
66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99년만에 찾아온 토탈 이클립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298
6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독립 협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706
666 공부가 쉬운 주제가 가진 이면 - 욕심, 그리고 욕심을 넘어서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1708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