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바꾼 질문에 부합하는 서술을 만들기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바꾼 질문에 부합하는 서술을 만들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07-19 09:35 조회2,420회 댓글0건

본문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에 대한 칼럼을 시작할 때 언급했듯, 이제부터는 이번 칼럼처럼 지난 칼럼들을 옆에 두고 함께 읽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체계적인 두뇌 훈련을 하고자 하는 분들께 지난 칼럼들도 보관해 두시라고 다시 한 번 제안합니다.

 

앞서 질문들을 추려냈다면 이제는 추려낸 질문에 대한 답을 서술하는 과정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을 서술하는 과정도 질문과 마찬가지로 관찰한 현상을 있는 그대로 구체적으로 서술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예를 먼저 살펴보고 계속하겠습니다.

 

1) ‘어떻게’를 이용한 질문: 사과는 어떻게 땅으로 떨어지는가?

 

- 서술: 성인 두 배 정도의 키높이 사과나무에 달려있던 맛있게 익은 빨간 사과가 툭 소리와 함께 땅으로 떨어졌다.

 

2) ‘무엇’을 이용한 질문: 중력은 무엇을 땅으로 떨어지게 하는가?

 

- 서술: 중력은 사과, 돌, 나무 등과 같이 무거운 물체를 땅으로 떨어지게 한다.

 

3) ‘언제’를 이용한 질문: 언제 사과는 땅으로 떨어지는가?

 

- 서술: 비바람이 세게 불거나 또는 사과가 빨갛게 익었을 때 땅으로 떨어진다.

 

4) ‘어디서’를 이용한 질문: 사과는 어디로 떨어지는가?

 

- 사과는 땅으로 떨어진다.

 

필자의 서술을 읽고 아마도 이 공부의 방향이 어디를 향하는지 조금은 의아해 할 분들도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각각의 질문에 부합하는 서술을 적고나니 진행방향이 주제인 중력으로부터 조금씩 멀어져가는 것처럼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과정에서는 이 방법을 통해 나무가 가지치기 하듯 개념을 확장하는 과정과 함께 나아가 확장된 개념을 다시 연결하여 합치는 과정도 포함합니다. 필자가 간혹 언급했듯 천재들의 사고가 일반인들과 다른 점은 동떨어진 개념을 연결시키는 능력이라고 했습니다. 후에 다루게 될 개념을 확장하고 다시 합치는 과정이 바로 서로 동떨어진 개념을 연결하는 방법을 익히는 훈련 과정입니다. 예로서 지금은 중력을 이야기하지만 ‘언제’를 이용한 질문에 대한 서술에서 보듯 빨갛게 익은 사과가 땅에 떨어지는 현상은 사과나무가 중력을 이용하여 어떻게 번식을 하는지 즉, 중력과 사과나무와 같은 식물들의 번식 방법이라는 두 개의 동떨어진 개념을 연결하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은 현재로서는 쉽지 않기에 우선 주제에 초점을 맞춰 공부하는 방법에 집중하겠습니다.

 

자, 이제 필자의 서술을 바탕으로 서술하는 방법과 이유를 하나씩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상대성을 이용한 서술의 구체화

 

위 1)의 질문에 대한 서술에서 필자는 ‘성인 두 배 정도의 키높이 사과나무’라는 표현을 썼습니다. 이는 독자로 하여금 쉽게 사과나무의 높이를 짐작할 수 있도록 상대적 비교를 통해 표현한 것입니다. 하지만 이 또한 농구 선수들의 평균 신장이 일반인들보다 크다는 것을 고려해보면 듣는 사람이 생각하는 신장의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에 상대적 높이를 구체적으로 서술하는 방법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표현의 경우 ‘한국인의 평균 신장’ 또는 ‘약 3-4미터 정도의’와 같이 좀 더 구체적인 상대적 표현으로 바꾸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고 넘어가겠지만 거리나 무게 등을 측정하는 모든 단위도 상대적 개념입니다.)

 

이 글을 읽는 독자 분들 중에는 ‘굳이 이렇게까지 장황하게 표현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떠올리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물론 지식의 습득에 초점을 맞춘 공부에서는 장황하고 구체적으로 표현할 이유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사고력은 주어지는 지식을 습득하여 익히는 방법이 아니라 내가 스스로 지식을 습득하는 방법을 익히는 방법입니다. 지난 주 예고한 것처럼, 후에 다루겠지만 서술에서 더해지는 개념 (단어) 하나의 차이가 답을 찾을 확률을 0%에서 100%로 바꿀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추상적 개념의 배재

 

위의 서술에는 맛있게 익은, 무거운 등 필자가 굵게 밑줄을 그은 단어들이 있습니다. 이 단어들은 추상적 개념에 속합니다. 이 중에서도 ‘맛있게 익은’이라는 문구를 예로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과연 ‘맛있다’라는 것은 무엇을 뜻할까요? 아마도 이 질문에 쉽게 답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이러한 추상적 개념은 김치나 치즈라는 음식의 역사에서 볼 수 있듯 지역, 식생활, 문화, 시대 등에 따라 상당히 다른 관점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어 또한 후에 추상적 개념을 주제로 공부하는 방법을 통해 다루겠지만 현재로서는 공부에 장애가 될 수 있으므로 철저하게 배재하라고 필자는 제안합니다.

 

다음으로는 앞서 질문을 만들 때와 같이 아래 필자가 제시하는 질문을 바탕으로 서술을 검수하고 교정합니다.

 

- 서술에 추상적 개념이 포함되어 있는가? 있다면 추상적 개념을 제외하고 다시 서술하기

 

- 상대적 개념을 사용하여 서술하였는가? 예) ‘빨갛다’는 단어를 서술에 사용한 경우, ‘~보다’ 또는 ‘~만큼’ 등과 같이 비교를 할 수 있는 대상을 포함하였는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5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24 [과학 이야기] 전기 뱀장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2466
72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2465
7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452
721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를 다루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2448
72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2 2447
71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7년도 과학계 10대 이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446
71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439
71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서술을 종합하여 나만의 정의를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433
71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성자 별의 충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2425
71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7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424
71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장승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422
열람중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바꾼 질문에 부합하는 서술을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421
7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울진 봉평비, 영일 냉수리비, 포항 중성리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2420
7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드레스 색깔의 차이(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2416
71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의 토지 제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 2409
709 [과학 이야기] 양성자 빔 암 치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2405
70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이력서 심사 30초면 결판…첫눈에 들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405
7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살인 한파를 몰고 온 '폭탄 사이클론' 그레이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404
70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짜가 아닌 가짜뉴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401
70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분과 고분 벽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 2387
70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386
7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탄소연대 측정(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2386
70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최초의 한국 철도 – 경인선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2385
701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기초과정의 공부 방법을 응용하여 사고가 갇힌 상태를 스스로 확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2384
70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이 부족한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7 2383
699 이공계열 단과대학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377
69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에 치우치면 사고력을 키울 수 없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2376
69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2376
6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기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373
6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로운 거미줄의 세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2368
694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 중급단계 주제를 다루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2368
69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중근의 동양 평화론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2362
69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2358
6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보살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354
69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발견에 공헌한 3인에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352
68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 2349
68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질문의 종류와 기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347
6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럭체인과 비트코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345
686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1. 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2336
68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구조 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334
68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볼라 바이러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330
6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초끈 이론(Superstring theory)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329
682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2326
681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면접편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 2324
68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19
679 [ 과학 이야기] 에펠 탑의 과학자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7 2310
678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우선순위만 잘 알아도 합격합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05
67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2 (두뇌의 작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300
67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2299
6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야외 박물관 경주 남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298
67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강화도 조약(1876, 조·일 수호 조규, 병자 수호 조약)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2297
67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과 분별 (내 탓)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9 2293
67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동양의 파르테논, 종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292
67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달의 뒷면에 착륙한 인류 최초의 탐사선 ‘창어4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2289
6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숨겨진 세기의 발명가 – 테슬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2286
66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1 2286
668 자녀교육 – 답을 찾을 수 있는 질문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2280
6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2277
66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방법을 바탕으로 자녀 등 학생을 가르치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276
6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자연과학과 철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227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