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30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을 통한 기억력 vs. 방법을 포함한 기억력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6월 30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을 통한 기억력 vs. 방법을 포함한 기억력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3-06-22 14:27 조회697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을 통한 기억력 vs. 방법을 포함한 기억력

   

◆ 최근 들어서 한국의 수능에 대한 논란으로 인해 지난 번 이야기를 다시 생각해 보게 됐어요. 물고기를 잡는 방법에 대해 일반적으로 알려진 내용을 가르치고 그것에 대해 문제를 내면 학생들이 대부분 비슷한 수준을 보일 테니 분별하기 어려울 수 있겠다는 생각이요. 따라서 능력을 구분하기 위해 듣도 보도 못한 아주 먼 오지에만 살고 있는 물고기를 잡는 방법에 대해 문제를 내면 정답을 찾을 수 있는 학생의 수가 적은만큼 학생들이 수준을 나눌 수 있지만, 그렇게 접하기 어려운 물고기에 대한 문제를 낸다면 다른 학생들로서는 불공평하게 느끼는 것도 사실일거라는 생각도 들어요. 실제로 사교육을 통해 배우지 않으면 어려울 것 같거든요. 한편으로는 정보를 많이 기억해야만 높은 성적을 올릴 것 같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꼭 지식이 많아야 할 것 같지도 않고, 도대체 왜 이런 혼돈이 발생하는 것일까요? 앞서 기억력의 종류에 대해서 이야기 하셨는데 혹시 연관이 있나요? 

   

- 예. 기억력의 종류와 연관이 있어요. 지난 번 이야기처럼 사람들이 배운 지식을 오래 기억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원인과 결과를 연결해서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에요. 그러니까 새로운 낚시 방법으로 고기를 잡았을 때 ‘잡았다/못 잡았다’라는 결과와 연결해서 기억을 하는 방법이죠. 

   

◆ 그러면 잡았을 때, 그러니까 성공했을 때의 기쁨과 성취감으로 배운 낚시 방법을 더 잘 기억할 수 있겠네요? 

   

- 아니요. 꼭 그렇지 않아요. 내가 원하는 것을 얻었을 때 그 과정에 따라 기억이 오래 갈수도 있고 쉽게 지워질 수도 있어요. 실패도 마찬가지고요. 

   

◆ 조금 더 정확하게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 우선 전제 조건을 명확하게 하고 이야기를 이어갈게요. 

   

◆ 성공과 실패에도 전제조건이 필요한가요? 

   

- 물론이죠. 두 경우 모두 ‘배운 것을 사용하는 경우’라는 조건이 필요해요. 후에 이야기 하겠지만 만일 내가 스스로 낚시 방법을 찾았다면 이야기는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흐르니까요. 

   

◆ 그러니까 광어 낚시를 예로 들자면 누군가로부터 광어를 잡는 방법을 배워서 고기를 낚는 경우라고 볼 수 있겠네요? 

   

- 맞아요. 이 경우 배운 방법을 그대로 적용해서 낚시를 한다고 가정했을 때 낚시를 하는 사람의 두뇌에서 벌어지는 현상에 따라 기억력이 차이가 나요.

   

◆ 두뇌에서 벌어지는 현상이라면 무엇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따른 차이라는 뜻인가요? 

   

- 정확해요. 먼저 고기를 잡는데 성공한 경우 낚시를 하는 과정에서 그저 고기가 미끼를 물기를 바라면서 낚시를 하면 후에 남는 것은 고기를 잡았을 때의 쾌감과 잡은 고기를 요리해 먹었을 때의 즐거움이 거의 모든 것이라고 볼 수 있어요. 이런 경우에는 후에 혼자 광어낚시를 할 때 잡을 확률이 낮고 심지어는 지난 번 어떻게 낚시를 했었는지 조자 기억을 하지 못할 때가 많아요. 

   

◆ 비유하자면 시험이 끝나고 나면 잊어버리는 것과 같네요? 

   

- 예. 많은 학생들이 자신이 배운 내용이 시험에 나오기를 바라면서 공부를 했고 또 시험에 비슷한 문제가 나와서 정답을 찾을 수 있었음에도 시험이 끝나면 잊어버리는 것과 같죠. 

   

◆ 왜 그런가요? 

   

- 원인과 결과가 연결이 안됐으니까요. 

   

◆ 예? 시험에 나올만한 내용을 공부했고 또 시험에 나와서 맞췄다면 원인과 결과가 연결된 것 아닌가요? 광어낚시 방법을 배워서 광어를 잡았다면 원인과 결과가 서로 연결된 것과 같이요. 

   

- 아니요. 그렇지 않아요. 원인과 내가 원하던 결과가 연결된 것이지 원인과 원인에 대한 결과가 연결됐다고는 볼 수 없어요. 

   

◆ 내가 원하던 결과라도 결국 낚시 방법이라는 원인이 있어 얻은 것이잖아요. 

   

- 물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었다는 결과와는 연결이 됐지만 낚시의 대상은 광어이니 광어가 빠진 연결은 논리적인 연결이라고 볼 수 없죠. 

   

◆ 무슨 얘기죠? 

   

- 광어를 잡는 방법은 광어가 미끼를 물도록 만드는 방법이에요. 그러니까 광어가 왜 미끼를 물었는지를 생각하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지에만 생각이 갇혀있으면 광어가 미끼를 물었던 이유는 생각하지 못하기 때문에 후에 낚시 방법까지 모든 과정이 기억에 남지 않는다는 거죠. 끝에 남는 것은 광어 낚시에 성공을 해서 맛있는 식사를 했다는 정도의 기억만 두뇌에 남게 되거든요. 

   

◆ 결국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하는 욕심은 기억력에도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뜻이군요? 그러면 기억을 오래 할 수 있는 방법은요? 

   

- 같은 방법으로 낚시를 해서 광어를 낚았다고 했을 때 그 방법을 오래 기억해서 다음에 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광어가 왜 물었는지 그 이유를 함께 찾아서 기억하는 방법이에요. 

   

◆ 조금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자면요? 

   

- 미끼는 어떤 것을 쓰고 있고 어느 정도의 깊이에 미끼가 위치해 있는지 등을 관찰하고 그 관찰을 바탕으로 광어가 미끼를 물도록 만드는 요소를 찾는 거죠. 그리고 이유와 함께 결과를 기억하는 방법이에요. 

   

◆ 알 것 같아요. 그러니까 광어낚시 방법을 단순히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방법 하나하나에 이유를 찾고 연결해서 기억한다는 뜻이죠? 

   

- 맞아요. 그래서 다른 사람들이 보면 낚시를 하는 모습에 차이가 없죠. 하지만 두뇌는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볼 수 있어요. 동상이몽의 끝판왕이라고 할 수 있죠. 

   

◆ 눈은 낚싯줄이 내려간 같은 곳을 바라보지만 생각은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흐르고 있으니 그렇게 표현할 수 있겠네요. 정리하자면 원인과 결과를 연결하는 과정에는 방법도 포함되어 있어야 기억이 오래 지속되고 또 방법을 기억하기 위해서는 이유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는 뜻인 것 같은데 가끔은 기억력 자체가 뛰어난 사람들도 있잖아요? 이런 사람들은 모두 방법을 이유와 함께 기억하기 때문인가요? 

   

- 꼭 그렇지는 않아요.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하는 욕망에서 발달하는 기억력도 있어요. 하지만 이런 기억력에는 한계가 있죠. 

   

◆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하는 욕망에서 발달하는 기억력이라뇨? 어떤 기억력인가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6건 6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6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1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516
6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네팔 대지진(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7 1516
66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형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를 수 있는 공부 방법의 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6 1520
663 민동필 박사, 자녀교육을 위한 안내서 영문판 제작 밴쿠버 중앙일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522
662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개념을 연결하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1528
66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인을 넘어선 지도자 2 (중도, 방법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1535
66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1537
659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수학 공부, 왜 그리고 어떻게? (3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 1537
658 [과학 이야기] 컴퓨터 하드 드라이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1538
65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호기심은 두뇌 발달의 시작, 하지만 답을 찾는 방법을 익히지 못하면 호기심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1 1543
65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7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1544
65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영재는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으로 이룰 수 있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1546
654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 1550
65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1551
6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후쿠시마 유출물, 밴쿠버에 도착하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1551
65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을 발휘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1553
650 생활 속의 자녀교육(36) – 자녀가 창의력을 늘릴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7 1556
649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교과서, 시험,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556
648 [CELPIP 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3 1559
6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10월의 마지막 날 밤. 할로윈(Halloween)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1560
64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공부에 미치는 영향 3 - 가르치는 사람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560
645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3 1561
644 생활 속의 자녀교육 (35) - 수학공부가 어려운 이유와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1 1561
64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7 1563
642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26) – 자유롭고 즐거운 삶을 향한 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1567
64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왕조실록, 세계 천문학계 보물됐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1568
64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궁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568
639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 교육 특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2 1570
638 화성에 흐르는 소금 개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 1572
637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진정한 삶의 자유와 즐거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1 1579
636 화려하고 웅장한 성당 그리고 예수의 가르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1579
635 [과학 이야기] 케플러 우주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1582
63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5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1587
63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 두뇌에 대한 이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1595
63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를 서술에서 배제하는 훈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1596
63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명대사(유정)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1602
630 큰 인기 몰고 있는 ‘포켓몬 고(Pokemon GO)’ 스마트폰 게임, 혹시 들어보셨나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1602
62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두뇌는 동물의 두뇌와 어떻게 다른가?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8 1606
628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속의 자녀교육- 대학교육의 이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607
627 [CELPIP의 모든 것] 영주권과 시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3 1607
62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자아를 완성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 1609
625 빛의 성질에 관한 탐구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9 1610
624 [과학 이야기] 아홉번 째 행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1611
623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배우는 사람 (아이들)의 이해력을 탓하는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1623
6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경험보다 더 효과적인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 1635
62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도 (방법)은 결과가 아닌 사고의 과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2 1637
620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1638
61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과 선택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1640
61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플루엔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1647
61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좋은 글쓰기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1648
61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자녀교육, 불편한 진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1649
61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기계화 되어가는 학생들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0 1652
614 [과학 이야기] 항균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1658
613 [CELPIP 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7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658
612 다이아몬드와 흑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1661
6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물의 기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 1666
61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키우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667
60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과 동물의 삶은 다르지 않다?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1667
608 [김바울 교육컨설팅] 특례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1667
60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음식, 편식,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1670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