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의적 사고력을 막는 교육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8월 1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의적 사고력을 막는 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3-08-03 06:34 조회688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의적 사고력을 막는 교육


◆ 지금까지 창의적 사고력을 발휘하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로 새로운 문물 또는 기술에 대한 권력자들의 두려움이라고 했잖아요? 자신들이 가진 권력을 잃어버릴 수 있다는 두려움으로 인해 새로운 기술을 생각해낸 사람들을 도태시켜오는 과정에서 창의적 사고력을 억압했기 때문에 지금의 사람들이 창의적 사고력을 발휘하기 어렵다는 것이 첫 번째 이유라고 하셨는데 그러면 두 번째 이유는 무엇인가요? 


- 교육이요. 교육이 창의적 사고력을 억압하는 또 다른 요소에요. 


◆ 뭐 지식을 가르치는 교육이 두뇌발달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다는 점은 이해할 수 있는데 창의적 사고를 억압한다고까지는 생각해보지 않았네요. 왜 그렇죠?  


- 권력자들이 권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가 뭘까요? 


◆ 사람들의 지지를 얻기 때문이겠죠. 


- 그러면 사람들은 왜 지지를 할까요? 


◆ 그 사람이 자신들의 삶을 개선시켜줄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 아닐까요? 


- 그러면 그 믿음은 어디서 올까요? 


◆ 글쎄요? 자신에게 득이 되는 것이 있으니까 그렇게 믿는 것 아닐까요? 


- 왜 득이 된다고 생각할까요?  


◆ 예를 들어 국가가 부유해지고 강해지면 나도 잘 살 수 있고, 잘 살 수 있으면 행복할 수 있다는 믿음은 당연한 것 아닌가요? 


- 당연하게 보이죠. 그런데 돈이 늘었다고 정말 행복할 수 있을까요? 


◆ 꼭 그런 건 아니지만 그래도 돈이 있으면 행복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일단 그럴 수 있다고 가정하고 다음 질문을 해 볼게요. 그런 희망은 어디서 왔을까요? 


◆ 당연히 내가 바라는 것이니까 내 생각이죠. 


- 그럴까요? 그러면 돈이 있으면 행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나’는 가난한 사람은 행복할 수 없다고 생각해야할 것 같은데 맞나요? 


◆ 꼭 그렇다고 할 수도 없죠. 돈이 없어도 행복할 수 있으니까요. 또 돈 없이도 행복하다는 사람들도 있고요. 


- 그러면 돈이 있어야 행복할 수 있다는 내 생각과 돈이 없어도 행복할 수 있다는 내 생각은 한 사람의 생각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 조금 복잡한데 무슨 말씀을 하시려는 건가요? 


- 대부분의 교육은 지식의 전달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요. 그런데 왜 지식에 매달리는지에 대한 이유는 아직 그 누구도 밝혀낸 적이 없죠. 혹시 들어본 적 있으세요? 


◆ 당연히 있죠. 예를 들면 졸업해서 직장을 잡으려는데 그 회사가 반도체 회사라면 반도체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하니까 학교에서 반도체에 대한 지식을 배워야 하는 것 아닌가요? 


- 직장을 잡기 위해 지식을 배운다는 것이 창의적 사고력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그리고 만일 반도체를 배우고 졸업한 학생이 다른 길을 선택하면 배운 지식은 어떤 소용이 있을까요? 


◆ 글쎄요? 쓰지 않으면 소용이 없기는 하지만..... 


- 그러면 사용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는 지식을 배우는 것에 매달리는 이유가 충분히 밝혀졌다고 할 수 있을까요? 


◆ 그렇지는 않은 것 같기는 하네요. 그러면 왜 지식에 매달리죠?  


- 지식은 이미 알려진 것이죠. 반도체 기술에 비유하자면 반도체가 이미 존재하기 때문에 배울 수 있어요. 그러면 반도체를 배워 세상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기술을 만들어 낼 확률이 얼마나 될까요? 


◆ 완전히 창의적인 기술은 만들기는 어려울 것 같기는 해요.


- 그러면 이제 왜 교육이 지식에 매달리는지 짐작할 수 있겠어요?  


◆ 예? 전혀요. 설명이 필요해요. 


- 지식을 충실히 배운 사람은 배운 기술을 사용하면서 기존에 존재하는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어요. 


◆ 그야 당연하죠. 그러려고 배우는 것인데요.  


- 그런데 회사는 새로운 기술을 만들어가며 생존해요. 말 그대로 창의적 사고죠. 


◆ 그래서요? 


-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일지의 여부는 피라미드식 사회구조의 위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담당하죠. 어떤 기술을 어떻게 만들고 또 어떤 기술을 버릴 것인지에 대한 결정이죠.  


◆ 예. 동의해요. 


- 그러면 지식을 충분히 배운 사람이 창의적 사고력을 발휘해도 윗선의 눈에 차지 않으면 버려지겠죠? 


◆ 물론이죠. 그래서요? 


- 회사에서 생존을 해야 할 직원이 창의적 사고력을 발휘해도 위에서 받아들이지 않으면 소용이 없는데 노력을 해서 창의적으로 무엇을 생각하려 할까요?  


◆ 아닐 것 같아요. 대부분 그냥 배운 지식을 사용하면서 회사에 보탬이 되고자 할 것 같아요. 


- 바로 그 점이에요. 사회는 지식을 강조함으로서 사회가 필요로 하는 기술자들을 교육을 통해 양성하려고 하죠. 동시에 창의적 사고의 결과를 검열함으로서 미래에 자신의 회사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경쟁자를 미리 제거해서 미래를 선점하고자 해요. 바둑으로 따지자면 바둑의 고수는 하수들의 수를 미리 볼 수 있기 때문에 예방을 하고 막을 수 있어요. 한 마디로 훤히 꿰뚫어 볼 수 있어 반란군의 싹을 알아보고 자를 수 있죠. 그런데 바둑이 아닌 장기나 체스와 같은 새로운 게임을 하자고 도전하는 사람이 있으면 쉽게 덤비지 못하고 공존할 수밖에 없어요. 애플이 새로운 기술로 컴퓨터 시장에 도전장을 내 놓았을 때 처럼요. 


◆ 그러니까 지식을 강조하는 교육은 결국 기득권층이 자신들이 가진 것을 더 단단히 하고 경쟁자의 싹을 자르려는 의도에서 만들어진 현상이라는 뜻인가요? 


(8월 26일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이 기억력과 공부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한 무료 공개강좌가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http://kr.PonderEd.ca에서 확인하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8건 6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6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논리적이지 않은 논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1514
66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인을 넘어선 지도자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9 1525
66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네팔 대지진(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7 1534
665 민동필 박사, 자녀교육을 위한 안내서 영문판 제작 밴쿠버 중앙일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534
66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1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537
66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형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를 수 있는 공부 방법의 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6 1539
662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개념을 연결하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1544
66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1547
66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인을 넘어선 지도자 2 (중도, 방법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1547
659 [과학 이야기] 컴퓨터 하드 드라이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1548
65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수학 공부, 왜 그리고 어떻게? (3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 1552
65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영재는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으로 이룰 수 있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1557
65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7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1558
65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호기심은 두뇌 발달의 시작, 하지만 답을 찾는 방법을 익히지 못하면 호기심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1 1560
6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후쿠시마 유출물, 밴쿠버에 도착하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1561
65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을 발휘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1562
652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 1562
651 생활 속의 자녀교육(36) – 자녀가 창의력을 늘릴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7 1568
65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공부에 미치는 영향 3 - 가르치는 사람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568
64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1570
648 [CELPIP 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3 1571
6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10월의 마지막 날 밤. 할로윈(Halloween)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1573
646 생활 속의 자녀교육 (35) - 수학공부가 어려운 이유와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1 1573
64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26) – 자유롭고 즐거운 삶을 향한 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1577
64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7 1578
643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교과서, 시험,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579
642 화성에 흐르는 소금 개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 1582
641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3 1584
64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왕조실록, 세계 천문학계 보물됐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1586
639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진정한 삶의 자유와 즐거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1 1587
638 [과학 이야기] 케플러 우주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1595
637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 교육 특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2 1597
636 화려하고 웅장한 성당 그리고 예수의 가르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1598
63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5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1601
63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를 서술에서 배제하는 훈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1609
63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 두뇌에 대한 이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1610
632 [CELPIP의 모든 것] 영주권과 시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3 1618
631 빛의 성질에 관한 탐구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9 1619
63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궁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620
62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두뇌는 동물의 두뇌와 어떻게 다른가?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8 1621
62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명대사(유정)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1621
627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속의 자녀교육- 대학교육의 이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621
62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자아를 완성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 1621
625 큰 인기 몰고 있는 ‘포켓몬 고(Pokemon GO)’ 스마트폰 게임, 혹시 들어보셨나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1622
624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배우는 사람 (아이들)의 이해력을 탓하는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1630
623 [과학 이야기] 아홉번 째 행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1633
622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1646
62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도 (방법)은 결과가 아닌 사고의 과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2 1651
6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경험보다 더 효과적인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 1652
61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과 선택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1659
61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플루엔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1659
61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좋은 글쓰기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1659
61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자녀교육, 불편한 진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1665
615 [과학 이야기] 항균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1669
614 다이아몬드와 흑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1672
613 [CELPIP 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7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673
61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기계화 되어가는 학생들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0 1679
611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음식, 편식,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1681
61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키우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682
60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물의 기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 1683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