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2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2

페이지 정보

작성자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3-06-07 10:26 조회818회 댓글0건

본문

1178908027_YdBSiVy6_134fa62a59d0bdab25cca5221dd10f46540ffbd8.png


전반적인 라이팅 파트에 있어서 고득점 전략에 이어 좋은 라이팅 점수를 받을 수 있는 팁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이엘츠 시험은 paper-based tes 로 컴퓨터로 타이핑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답안지 작성하는 부분도 매우 중요한 평가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깔끔하면서도 분명한 필체(legible)가 아무래도 보기 힘들고 뚫어지게 쳐다봐야 알 수 있는 필체(illegible)보다 나을 것 입니다. 모든 답안지를 hand-writing 으로 작성해야 하는 아이엘츠에 있어서는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아울러 문단의 형식이나 구둣점도 사소해 보이지만 완성도 있는 에세이 라이팅에서 신경 써야 할 요소입니다. 따라서, 아래의 라이팅을 위한 팁들을 숙지하시어 평소에 연습하실 때도 적용하시어 올바른 방식을 습관화하시기 바랍니다.

 

습관처럼 아무 곳에나 ,(comma)를 찍거나 문장이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period)를 찍지 않는 등의 오류들을 범하는 학생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이런 사소한 실수이지만 습관화 되어 버리면 나중에 고치기 정말 어렵습니다. 이러한 오류들은 미리 숙지하시고 아예 범하지 않는 것이 현명한 방법일 것 입니다.


 

 

# Hint for Good Writing

 1. 외양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 실제 시험장에서는 연필과 지우개는 사용할 수 있지만 볼펜이나 샤프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용지 왼쪽과 오른쪽에 여백 주기에 주의해야 합니다. 즉, 답안지 줄이 끊어진 곳에서 다음 줄로 줄 바꿈하고 종이 끝까지 활용하지 않습니다.

- 문단의 형식에 있어서는 Traditional과 Modern 둘 중에 하나 만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혼용 안 됩니다!

* Traditional Method: 문단이 바뀌는 것을 들여쓰기를 통하여 나타내고 줄 띄우기를 하지 않습니다.

* Modern Method: 들여쓰기를 하지 않는 대신 줄 띄우기를 하여 문단의 구분을 나타냅니다.

>> 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서 쓰는 것이 좋지만, 실제는 Modern Method를 선호합니다.


1178908027_4rmpoKDk_4c9b0696553c4b32d6e4b25ffad980104ca26b5c.png


- 줄 간격 두 배(double spacing) 는 안 됩니다.

- 단어가 너무 긴 경우는 여백까지 사용하지 말고 줄을 바꿔 쓰시기 바랍니다.

- 본인의 글자 크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각 단어들 띄어쓰기 분명히 하시고, 각 줄 마다 10-12자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 필기체가 익숙하지 않으면 인쇄체를 쓰시기 바랍니다.

- 교정에 대한 감점은 없고 오류 수정에 대한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2. 기본 구두법(punctuation)은 매우 중요합니다.

- 마침표는 문장의 마지막에만 사용합니다. 반대로 문장의 마지막에 마침표를 안 찍으셔도 안 됩니다. (눈에 보이지도 않게 찍지마시고 자신있게 찍으십시오.)

- 문장의 첫 글자, 고유명사는 항상 대문자로 쓰셔야 합니다.

- 쉼표에는 뒤에 추가적인 정보가 있어야 합니다.

- 접속사 뒤에는 절대로 쉼표를 찍어서는 안됩니다.

     * 대표적인 실수 >> While, ….

- 접속사와는 달리 연결사의 역할을 하는 부사 뒤에는 항상 쉼표를 찍는 습관을 들이시기 바랍니다.

     * However, / On the other hand, / Accordingly, / Thus, / Yet, / Still,


The population of rivers, which is often caused by chemical waste and fertilizer, is causing enormous problems for fisherman, especially in Britain.

 

- 세미콜론은 나열된 것들 안에서 하부그룹을 구분하는데 사용 되어집니다. 하지만 문법적으로는 두 개의 밀접한 관련이 있는 두절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고 이때는 세미콜론 대신 마침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Chemical waste from factories is still drained into river systems; it is hard to believe that this practice is still allowed by law in some areas.

 

- 콜론은 뒤에 나오는 것이 중요함을 알릴 때 사용합니다.

The environment is important for the following reasons:

 

- 공식적인 글에는 축약형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 don't(x)   >>   do not(O)

- IELTS에는 느낌표, 물음표와 같은 감탄 부호, 의문 부호 또한 피하도록 합니다.



3. 주어진 과제를 골든 룰에 따라 정확히 적어야 합니다.

- 주어진 주제를 일관되게 적어야 합니다.

- 최소 어휘 수를 충족 시켜야 합니다. (-5%까지는 okay)


 

4. 공식적인 문체의 글을 써야 합니다.

- 구어체나 속어의 사용은 금물입니다.

- thing이란 단어(something,anything, nothing)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보다는 좀 더 사실적인 어휘가 좋습니다.

I like computer games and something like that. (x)

- etc, and so on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신 최소 3개의 예시 나열이 좋습니다.

They sat for the test, passed, and failed to use their qualifications.

- I, We의 사용은 피하는 게 좋고 대신 수동태의 활용을 권장합니다.

We consume a lot of water everyday.   è   A lot of water is consumed everyday.


 오류들을 피하여 여러가지 다양한 주제들에 대하여 실제로 라이팅을 많이 해 보시는 것이 남았습니다. 라이팅 섹션에 있어서는 정해진 시간 내에 2개의 task를 써내야 하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시간적 여유가 많지는 않습니다. 이에 따라 여러 주제들에 대하여 미리 브레인 스토밍을 해서 적절한 supporting ideas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것이 좋은 무기가 될 것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실제 시험에 들어가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팁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6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6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2023
66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2149
66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2012
66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사고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1760
660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부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910
65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864
65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사고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 1914
657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1. 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2336
65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을 발휘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1529
65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5 1397
65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423
65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1921
65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248
651 [김바울의 교육칼럼] 아이엘츠 리딩 고득점을 원하는분들을 위한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1866
65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2722
64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2 신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 3413
64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에 치우치면 사고력을 키울 수 없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2376
64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를 능동적으로 움직이도록 만드는 목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1465
64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386
64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키우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630
644 [김바울의 교육칼럼] 아이엘츠 리딩 시작하시는 분들 위한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1881
64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 두뇌에 대한 이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1557
64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의 토지 제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 2409
64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홀로 선다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1729
64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의 집단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7 1720
63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2 2019
63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행복이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1101
63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2 (칭찬과 벌을 통한 교육은 배우는 사람을 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1309
63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1832
63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1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480
63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공부에 미치는 영향 3 - 가르치는 사람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533
63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1520
63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공부에 미치는 영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2 1682
631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ESSAY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7 1414
63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 공부에 미치는 영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1893
62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0 1899
62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쉽지만 쉽지 않은 영재의 두뇌능력, 그 이유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1942
627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3 1858
62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영재는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으로 이룰 수 있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1522
62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운현궁 – 조선말, 왕실문화를 거닐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855
6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두뇌는 동물의 두뇌와 어떻게 다른가?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5 1696
623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읽기와 쓰기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1729
6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두뇌는 동물의 두뇌와 어떻게 다른가?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8 1586
6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시대의 중앙 정치 조직과 지방 행정 조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3 5349
6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 1786
619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어휘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2048
61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1476
61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주자학과 양명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9 4073
61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하는 사람과 집착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1218
615 [김바울의 교육칼럼]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수업 환경, 능동적인 공부법으로 극복해 보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872
614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800
613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981
61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과 선택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1628
611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미리 준비하기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52
61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2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10
60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박사방 사건과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1949
60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3100
60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타인의 인정이 가치판단의 기준이 되도록 만드는 교육의 문제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994
60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2 2195
60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114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