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하와이 노동 이민 - 2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하와이 노동 이민 - 2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9-09-25 11:59 조회3,449회 댓글0건

본문

834189a33613b8f5db11aecbcdaea0de_1569437929_9462.JPG
사탕수수 노동자(하와이 주 자료보관소 소장 사진) 

 

이렇듯 인천 출신의 이민 1세대들은 가혹한 노동에 혹사당하고도 하루에 남자가 1불 25센트여자가 50센트에서 65센트를 받는 것이 고작이었다그럼에도 이들은 이 돈을 큰돈으로 여기고 저축하거나 본국으로 송금하면서 망향의 애틋한 심사를 달래고 있었다그러나 대부분 노총각이었던 이민 1세대들은 종일 농장에서 일하다가 밤이 되면 농막에 모여 잠드는 일밖에 달리 정을 붙일 일이 없었다개중에는 자연히 향수병에 걸려 이리저리 떠돌아다니기도 하고술과 노름으로 수중의 돈을 몽땅 날리는가 하면심지어는 아편에 탐닉하는 사람까지 나타났다점차 사탕수수 농장을 둘러싼 촌락의 풍기가 문란해지고 급기야 사회 문제로까지 대두되었다.

 

농장주 측이나 하와이 이민국은 풍기 문란의 주요 원인이 결혼 적령기를 넘어선 홀아비들 때문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이들의 결혼을 장려하게 되었다또한 사회 각계도 실상을 인식하면서 사진 혼인법을 후원하기에 이르렀고마침내 미국 정부의 동의를 얻어내는 데 성공했다그 결과 소위 사진 신부(picture bride)에게 입국이 허락되고영주권이 주어지게 된 것이다이 때 최초로 하와이를 찾은 사진 신부는 1910년 11월 28일 호놀룰루에 발을 내디딘 최사라 씨로 그녀는 이래수 씨의 신부가 되었다. 1910년부터 1924년 10월 까지 하와이에 도착한 사진 신부는 951명이었고미 본토에서도 151명의 신부가 하와이로 건너왔다이들은 사탕수수 농장의 홀아비들과 가정을 이루게 됐고 가정을 가지게 됨에 따라 한인 사회는 점차 안정을 되찾아갔다.

 

이즈음 한국이 일본에게 국권을 빼앗기자 이민 1세대들이 분연히 일어나 독립 운동에 투신하였다는 것은 하와이 이민사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대목의 하나다비록 초기 미주 한인 사회의 3대 거목이었던 도산 안창호우남 이승만그리고 박용만 장군의 지도 노선이 각기 달라 분열상을 보이기도 했지만이민 1세대들은 독립 정신을 크게 떨쳤다.

 

하와이를 거점으로 하는 민족 운동이 본격적으로 발흥돼 대한국민회는 그 조직을 미 본토에까지 확산하고샌프란시스코에서 대한국민회 중앙 총회를 결성회장에 안창호부회장에 박용만 장군이 취임했다박 장군은 다시 하와이로 건너와 국민보의 주필로서 대한국민회를 실질적으로 운영하면서 민족 운동의 싹을 키우기 시작했다이승만이 하와이 민족 운동에 투신한 것은 1914년 태평양 잡지사를 창설한 이후의 일이다이승만은 3년 뒤 상해임시정부가 발표한 교민단조직령에 따라 하와이교민단을 결성하고 민족 운동 자금을 마련키 위해 노력했으나 미전역을 강타한 경제 공황을 맞이하게 되었다이민 1세대들 역시 경제 사정이 심각해졌다이승만은 교민단의 회비 징수가 어려워지자 상해임시정부의 재정을 지원하기 위해 5달러에서 5백 달러에 이르는 공채 증서를 발행했다이민 1세대들은 국도의 경제난 속에서도 14,021달러의 자금을 교민단을 위해 내놓았다.

 

이렇듯 이민 1세대들은 한 푼 한 푼 아껴 하와이와 중국 등지에서 펼쳤던 독립 운동에 큰 도움을 주었다.

 

그뿐만이 아니었다광복이 되자 하와이 이민들이 가장 먼저 한 일은 이민의 출발지요고향인 인천에 대학을 세우자는 것이었다그들은 수십만 불의 거액을 보내 인하공과대학의 건립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이승만이 결정적으로 기여한 점도 있었지만 인천 시민들도 큰 자긍심을 갖게 되었다인천과 하와이의 혈연적 유대를 잊지 않기 위하여 그 이름을 인하라 한 것도 그렇거니와 오로지 민족의 앞날을 걱정하여 건립한 민족대학이라는 점에서도 인하공대는 인천 사람들의 사랑을 한 몸에 받았던 것이다.

 

하와이 이민은 대한제국의 허가를 받아 공식적으로 시행된 것이지만 이민자의 모집과 수송 등초기 하와이 이민을 추진하는 데 있어 인천에 있던 한 기독교회가 깊숙이 개입되어 있다는 사실과 그것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서는 별로 주목되고 있지 않았다교회의 미국인 목사가 나서서 신도들을 이민 대열에 끌어들인 것은 종교적인 이유도 잇었지만 선교와 무역이 거의 동일시되던 당시 풍토의 산물이기도 했던 것으로 보인다신도들의 경우는 이민의 동기가 신앙이라는 종교적인 이유로 돌려지면서 사회경제적 동기는 은폐되지만항만 노동자 20여 명의 출항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그들은 항만 내 최하층의 노동현장에서조차 중국인 노동자 등에 의해 구축당하고 있었던 것이다.

 

처음 하와이 땅을 밟은 이민자들의 삶은 고달픈 것이었지만그들은 기독교 신앙이라는 정신적 일체감으로 어려움을 이겨갔는데 이 과정에서 인천 내리교회 출신 이민자들의 역할은 특기할만하다이들은 최초의 정치적 결사와 현지 교회의 설립을 주도함으로써 초기 하와이 한인사회가 구심점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초석을 놓았다정치와 종교를 독점함으로써 그로 야기된 분규에 의해 시련을 겪기는 했지만이러한 노력들이 일제하의 민족운동과 해방 후의 조국 재건 운동에 밑거름이 되었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데쉴러 당시 주한 미국공사였던 H.N.Allen(알렌)이 조선정부와 하와이농장주협회 사이에서 하와이 이민을 적극적으로 주선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의료선교사로 조선에 부임했던 그는 갑신정변이 일어났을 때 민씨 척족의 거두인 민영익을 치료해준 것을 계기로 고종과 친분관계를 맺었는데뒤에 인천에서 이민회사를 설립하는 David W. Deshler(데쉴러)의 도움으로 주한 미국공사가 되었다데쉬러는 알렌과 같은 오하이오 주 출신으로서 그를 아꼈던 계부 George K. nash(내쉬)는 오하이오 주 대법관을 거쳐 1899년에는 공화당 출신의 주지사로 당선된 정계의 실력자였다그리고 역시 1896년에 오하이오 출신의 Mckinley(맥킨리)가 대통령이 되자 내쉬는 알렌의 주한 미국공사 임명 운동에 앞장서서 이를 성공시켰던 것이다이 때문에 알렌은 데쉴러가 한국에 와 있는 동안 그의 사업을 적극적으로 도왔다.

 

알렌은 데쉴러가 이민 모집과 운송에 권한을 갖게 하여 경제적인 이득을 획득하게 했다. 1902년 10월 초에 하와이 농장주 협회의 E. F. Bishop(비숍)은 농장주협회가 출자한 25,000불을 가지고 인천에 도착하여 알렌과 데쉴러와 이민에 관해 협의했다알렌이 1902년 3월 말 미국에서 귀임하여 고종을 알현하고 한국인의 하와이 이민을 제의하자 혹심한 기근으로 민생해결책을 마련하지 못해 고심하던 대한제국 정부도 적극적인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정부는 일본의 이민보호법을 참고하여 관계법령을 준비하고 11월 15일에 데쉴러에게 이민의 모집과 운송에 관한 일체의 권한을 부여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7건 6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6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보 교환 수단의 미래- 양자 통신이란 무엇인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319
66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를 세우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316
66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2316
66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자연과학과 철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2314
66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99년만에 찾아온 토탈 이클립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314
66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측정의 기준-단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10
66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배론 성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306
66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4 2302
65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가르치는 사람이 갖춰야 할 조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2300
65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2290
65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284
6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목성 탐사위성 주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282
655 [이근백의 캐나다 생활 이모저모] 한 가족된 지구촌, 은퇴 이후 삶 - 어디가 좋을까 이근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275
65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273
6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양자 컴퓨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2272
65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유명 기업보다 내가 필요한 회사 찾아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272
65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9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2 2272
65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6 · 25 전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267
6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크리스마스에 잠든 여성 천문학 거장 베라 루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262
648 불의 고리(Ring of Fir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2262
647 [과학 이야기] 펜싱에 숨어 있는 신비로운 과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2260
64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천체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259
64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뉴튼과 사과나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56
64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은 경쟁의 최전선에서 상대와 겨룰 수 있는 힘의 원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1 2251
64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보살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247
64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오퍼튜너티 - 긴 탐사여정을 마치고 영원히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44
64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2242
64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2. 백제 금동 대향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238
63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 중급단계 주제를 다루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2229
63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절두산(切頭山) 순교성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227
63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교육방법과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222
63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2 2221
63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성 내부의 숨은 비밀을 밝혀줄 탐사선, 인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219
63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1 (공을 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211
63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는 사람의 이해력을 탓하는 교육자의 이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2210
63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2205
63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 발명품 25가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203
630 [이근백의 캐나다 생활 이모저모] 곤경 처한 사람들의 다른 선택, 인간 본성에 대한 고민 다시 해 이근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201
62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훈련과정 보충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훈련의 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196
62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2196
62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2194
62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인간의 여섯 번째 그리고 일곱 번째 감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189
62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187
62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복궁-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2185
62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185
6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1. 백제의 무령왕릉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184
62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원초적 본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180
6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7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6 2178
61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2178
618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미리 준비하기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77
61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9 2174
616 새롭게 개정된 AP Physics 시험제도, 어떻게 바뀌었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174
61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승정원일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167
614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객관식, 주관식, 논술, 그리고 자녀교육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166
61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8 2165
61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9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0 2165
61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구체적인 공부 방법을 나누겠습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165
61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Atomic Spectru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162
60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158
60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157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