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6월 2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3-06-15 16:22 조회706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

   

◆ 기억력이 생존본능과 관계가 있다는 것은 충분히 이해가 될 것 같아요. 살아남기 위해 피해야 할 장소나 음식 등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지 못하면 생존을 이어갈 수 없을 테니까요. 그런데 이러한 기억력은 공부를 위한 기억은 아니잖아요? 공부에서의 기억은 어떤 건가요?

   

- 공부에서의 기억은 생존과는 거리가 조금 있어요. 생존본능으로 수학문제를 풀 수는 없으니까요.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이 발달하면서 기억력도 새로운 형태로 발전해 왔거든요. 

   

◆ 그게 어떤 형태인가요?

   

- 원인과 결과를 연결해서 기억을 하는 형태에요. 그러니까 식물의 씨앗을 심으면 식물이 자란다는 것과 같이 원인과 결과를 연결해서 기억하는 것이죠. 

   

◆ 계절도 원인과 결과에 포함되겠네요. 봄에 씨앗을 뿌리면 가을에 수확을 할 수 있다는 것도 계절의 변화라는 원인과 식물이 자라 열매를 맺는다는 결과가 있으니까요. 

   

- 맞아요. 인간이 정착해서 농사를 지을 수 있었던 이유도 원인과 결과를 기억하는 기억력 때문이라고 볼 수 있어요. 

   

◆ 공부에 있어서도 원인과 결과를 연결하면 기억력도 늘어날 수 있겠네요? 

   

- 그렇죠. 과학의 경우 번개가 번쩍 한 후 몇 초에 소리가 들리면 거리가 얼마정도 떨어졌는지를 예측하는 것도 원인과 결과를 알 때 예측할 수 있는 정보죠. 또 역사에서 예를 들어 반란이 일어난 경우 원인이 무엇인지를 찾아내면 반란에 대한 정보가 조금이라도 더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수 있어요. 하지만 학교 공부에 적용하기에는 한계도 있어요. 

   

◆ 어떤 한계가 있나요? 

   

- 수학문제와 같은 것들은 원인과 결과만을 가지고 문제를 풀 수 없으니까요. 각 과목마다 원인과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내용도 많지만 그 이상을 요구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보시면 될 거에요. 

   

◆ 생각해보니 그러네요. 수학문제를 단순히 원인과 결과로 풀 수는 없어 보이네요. 그러면 수학문제를 풀 때 필요한 기억력은 어떤 건가요? 공식을 기억하는 방법이 따로 있나요? 

   

- 아니요. 공식을 기억하는 방법은 원인과 결과를 기억하는 방법으로 기억할 수 있어요. 

   

◆ 조금 전에는 원인과 결과를 연결해서 기억하는 방법으로는 수학문제를 풀 수 없다고 하셨잖아요? 말이 안 되잖아요. 

   

- 원인과 결과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기억하는 기억력으로는 수학문제를 풀 수 없다고 했기 수학공식을 기억하지 못한다고 하지 않았는데요. 

   

◆ 아, 그 두 가지가 다른 건가요? 

   

- 예. 수학공식을 기억하기 위해서는 그 공식이 어떻게 만들어 졌는지 원인을 찾으면 공식을 상대적으로 쉽게 기억할 수 있어요. 하지만 수학문제를 풀 때 기억한 공식만 있으면 다 풀 수 있던가요? 

   

◆ 아니요. 사실 공식만 가지고는 풀 수 없었던 것 같아요. 문제를 푸는 방법을 생각해야 하니까요. 

   

- 바로 그 부분이에요. 낚시를 할 때 고기를 잡기위해서 낚시 방법을 생각해야 하듯이 수학 문제를 풀 때에도 문제를 풀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야 하죠. 

   

◆ 하지만 방법이 기억력과 어떤 관계죠? 기억력은 찾아놓은 정보를 기억하는 거잖아요. 그러니까 지식을 기억하는 거요. 방법은 지식이 아니잖아요. 

   

- 방법을 찾는 과정은 지식이 아니죠. 하지만 한 번 찾아놓으면 지식이 될 수밖에 없어요. 예를 들어 낚시를 하는데 광어를 잡기 위해서 새우, 오징어, 지렁이와 같은 것들은 미끼로 쓰면 된다는 것을 하나씩 실험해 보면서 광어가 반응하는 미끼에 대한 정보, 즉 지식을 찾았다고 가정해 볼게요. 이렇게 광어낚시 방법을 찾고 나면 다음에 또 같은 내용을 실험을 해 가면서 찾을 필요가 있을까요? 

   

◆ 없죠. 그냥 알고 있는 미끼를 이용해서 낚시를 하면 되니까요. 

   

- 바로 그 점이에요. 굳이 새롭게 방법을 찾을 이유 없이 그냥 찾아놓은 방법으로 낚시를 하면 돼요. 수학문제도 마찬가지로 내가 문제를 푸는 방법 하나를 찾아놓았는데 비슷한 문제가 나오면 그 방법을 적용해서 문제를 풀면 되죠. 

   

◆ 그러니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도 기억을 해야 학교공부가 수월하다는 뜻이군요. 

   

- 맞아요. 하지만 한 가지 문제가 있어요. 

   

◆ 어떤 문제요? 

   

- 시험문제를 내는 쪽에서 사람들이 잘 알려진 문제풀이 방법을 시험에 적용하도록 그냥 두지 않는다는 거죠. 

   

◆ 무슨 이야기죠? 이해가 가지 않아요. 

   

- 예를 들어 광어를 잡을 때 사용하는 미끼에 대한 정보를 찾아놨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많은 사람들이 이 방법으로 광어를 잡아요. 그러면 시험문제로 광어를 잡는 방법을 물으면 어떻게 될까요? 

   

◆ 광어 낚시를 해 본 사람들이라면 거의 다 답을 맞히겠죠?

   

- 그러면 학생들의 기억력을 구분할 수 있을까요? 

   

◆ 없겠네요. 그러니까 문제가 쉬워서 많은 학생들이 높은 성적을 받아도 문제고 문제가 어려워 낮은 성적이 나와도 문제겠네요. 

   

- 예. 그래서 난이도 조절이라는 이야기가 나오죠.

   

◆ 그러면 방법을 기억하는 기억력은 원인과 결과를 연결해서 기억하는 것과 어떤 관계가 있나요? 

   

- 둘 다 같은 맥락에서 파생된 방법이에요. 다만 방법을 기억하는 기억력은 원인과 결과를 연결하는 것 말고도 한 가지 두뇌능력을 더 필요로 하죠. 

   

◆ 어떤 두뇌능력인가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7건 6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1783
66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과 동물의 삶은 다르지 않다?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1672
665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 3 우선순위 파악하기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1722
66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2048
66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2208
66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2057
66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사고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1791
660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부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950
65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887
65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사고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 1966
657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1. 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2404
65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을 발휘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1555
65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5 1428
65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444
65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1945
65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274
651 [김바울의 교육칼럼] 아이엘츠 리딩 고득점을 원하는분들을 위한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1895
65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2767
64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2 신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 3487
64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에 치우치면 사고력을 키울 수 없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2419
64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를 능동적으로 움직이도록 만드는 목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1488
64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434
64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키우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672
644 [김바울의 교육칼럼] 아이엘츠 리딩 시작하시는 분들 위한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1901
64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 두뇌에 대한 이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1600
64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의 토지 제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 2458
64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홀로 선다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1788
64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의 집단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7 1760
63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2 2040
63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행복이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1132
63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2 (칭찬과 벌을 통한 교육은 배우는 사람을 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1340
63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1869
63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1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521
63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공부에 미치는 영향 3 - 가르치는 사람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560
63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1540
63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공부에 미치는 영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2 1707
631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ESSAY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7 1443
63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 공부에 미치는 영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1929
62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0 1939
62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쉽지만 쉽지 않은 영재의 두뇌능력, 그 이유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1984
627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3 1881
62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영재는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으로 이룰 수 있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1550
62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운현궁 – 조선말, 왕실문화를 거닐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907
6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두뇌는 동물의 두뇌와 어떻게 다른가?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5 1723
623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읽기와 쓰기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1760
6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두뇌는 동물의 두뇌와 어떻게 다른가?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8 1610
6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시대의 중앙 정치 조직과 지방 행정 조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3 5434
6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 1817
619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어휘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2075
61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1506
61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주자학과 양명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9 4173
61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하는 사람과 집착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1246
615 [김바울의 교육칼럼]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수업 환경, 능동적인 공부법으로 극복해 보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897
614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829
613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026
61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과 선택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1643
611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미리 준비하기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80
61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2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35
60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박사방 사건과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1984
60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3164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