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접하는 도박의 맛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9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접하는 도박의 맛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3-08-26 06:46 조회638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접하는 도박의 맛


◆ 지식을 전달하는 교육이 아이들에게 족쇄를 채우고 빨리 달리라고 채찍질을 하는 것과 같다고 하셨는데 아이들 중에는 졸업 후 학교에서 배운 것을 바탕으로 자신의 길을 찾아가는 경우도 있잖아요. 이런 현상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 교육은 다수의 학생들을 가르치는 시스템이죠? 그러면 전체의 10% 또는 5%가 교육을 통해 자신의 길을 찾아갔다고 가정했을 때 교육의 효율은 이 학생들에게만 적용이 된다고 봐야겠죠. 그렇다면 나머지 90%-95% 학생에게는 효과가 크지 않았다고 볼 수 있고요. 이런 상황에서 졸업 후 학교에서 배운 것을 바탕으로 자신의 길을 간 한생들이 과연 학교 교육을 통해 그렇게 됐다고 볼 수 있을까요?


◆ 결국 학교 교육이 천재들을 양성해 낼 수 없듯 실제로는 많은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으로 자신의 길을 간다는 뜻인가요? 


- 100%는 아니라도 많은 경우 그렇다고 봐야죠. 


◆ 그러면 아이들에게 족쇄를 채우고 채찍질을 하는 경우의 예를 하나 더 들어주실까요? 


- 지식을 가르치는 방법은 ‘A+B=C’와 같은 접근법이죠. 즉, ‘이런 문제는 이렇게 풀어야 해!’ 또는 ‘이건 이렇게 하는 거야!’와 같이요. 


◆ 대부분 그렇게 가르치죠.


- 이렇게 배우면 학생이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 배웠으니 잘 기억하면 되겠죠. 그래야 시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을 테니까요. 


- 이런 교육을 통해 아이들이 스스로 판단을 내릴 수 있을까요? 


◆ 어렵겠죠. 배운 대로 따라서 하는 것 말고는 따로 판단을 내릴 것이 없잖아요. 


- 그러면 아이가 배운 것을 바탕으로 스스로 판단을 내리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 자신이 배운 것에 당면한 상황을 비교해보고 비슷한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 같아요. 


- 만일 상황이 비슷하지 않다면요? 


◆ 상황이 다르다면 판단을 내리기 어렵겠죠. 


- 판단을 내리기 어려운 상태에서 판단을 내려야만 하는 상황이라면 어떻게 하게 될까요? 


◆ 흔히 말하는 것처럼 찍는 방법이 있을 것 같아요. 시험을 볼 때에도 답을 모르면 찍잖아요. 가끔 동서남북 방향을 놓고 찍기도 하고요. 


- 배운 것과 비슷한 상황에서는 배운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그렇지 않으면 찍는다는 것이 뜻하는 바가 무엇일까요? 


◆ 배운 대로 따라한다는 것은 시키는 것을 따라하는 것이니까 잘 길들여진 동물들과 다르지 않은 것인가요? 또 모르는 것은 찍어서 판단한다는 것은 곧 도박과 같은 결정을 내린다는 뜻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은데요. 


- 결국 마약을 찾는 경찰견이 길들여진 대로 마약을 찾으면서 삶을 살아가듯 그저 가르쳐준 대로 살아가고 또 도박판에서 일확천금을 꿈꾸듯 도박과 같은 결정으로 살아가는 모습이 결국 교육의 결과로 만들어지는 학생들의 미래라는 뜻이죠?  


◆ 발에 족쇄를 채우고 달리라고 채찍질 한다는 말이 무슨 뜻인지 알 것 같네요. 결국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하는데 그런 능력은 학교에서 배울 수 없다는 뜻이군요. 그래서 자신의 길을 가는 학생들은 학교에서 배웠기 때문이라기보다는 이미 스스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두뇌능력을 어느 정도 갖춘 것이고요. 


- 천재들의 경우와 비슷하죠. 현재의 교육으로는 천재를 양성할 수 없고 결국 개인의 두뇌능력에 따라 그러한 두뇌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결정되니까요. 


◆ 여기서 갑자기 궁금해지는 것이 사람들이 도박에 빠지는 이유가 결국 스스로 판단을 하지 못해서인가요? 그렇게 보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이는데요. 


- 도박은 두뇌가 가진 가장 원초적인 본능에 기반을 두고 있어요. 


◆ 가장 원초적인 본능이요? 어떤 본능인가요?


-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판단을 내리기 어려워 찍는 경우는 어쩔 수 없이 판단을 내려야 하지만 방법을 몰라 도박과 같은 방법으로 결정을 내리는 것이죠. 이와 비슷하게 사람들에게는 생존과 번식을 위한 판단의 기능이 있어요. 진화의 과정에서 모든 두뇌를 가진 동물들이 공통적으로 가진 기능이죠. 


◆ 생존과 번식을 위한 판단이라면 어떤 것이죠? 


- 예를 들면 어떤 과일을 독이 있으니까 피해야 한다는 판단이요. 


◆ 그것도 과일에 독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하는 것 아닌가요? 


- 맞아요. 과일에 독이 있다는 지식이 있어야 가능하죠.


◆ 지식이 생존과 번식에 중요한 요소라는 뜻인 것 같은데 도박과 같은 판단은요?


- 처음 과일에 독이 있다는 지식은 어떻게 알게 됐을까요? 그러니까 한 번도 본적이 없는 과일에 독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원인이요. 


◆ 누군가 먹고 아파하는 경우가 있지 않을까요? 이런 예는 자주 접할 수 있는 것 같은데요. 사람들이 모르고 먹었다가 탈이 나서 병원으로 직행했다는 기사는 종종 접했던 것 같거든요.  


- 결국 ‘먹었다/먹지 않았다’가 운명을 가르는 것이죠? 그러면 이번엔 반대로 과일이 몇 개 없는 상태에서 사람들이 먹기를 두려워했는데 내가 시도했어요. 그리고 그 과일이 상당히 맛이 있어서 잘 먹었다고 생각해 볼게요. 이런 상황은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요? 


◆ 내 선택이 맞았으니까 보상을 받는 것이겠죠. 마치 로또에서 1등에 당첨되는 것처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8건 6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