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의 종류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12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의 종류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3-11-23 15:13 조회388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의 종류

   

◆ 학교 교육을 통해서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성취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는 사고력을 배우기 어려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그리고 어떻게 이런 두뇌능력을 키울 수 있을까요? 

   

- 스스로 목표를 세우는 방법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가 없었어요. 모든 것이 개인에게 맡겨진 것이었죠. 이 두뇌능력을 사용할 수 있으면 그 순간 그 사람의 두뇌는 스티브 잡스에 견줄만한 수준으로 넘어가요. 차원이 달라지는 것이죠. 만일 교육으로 그것이 가능했다면 스티브 잡스의 능력이 특별하게 느껴지지는 않았겠죠? 

   

◆ 그럴 수 있겠네요. 결국 학교에서는 가르칠 수 없고 개인이 알아서 키워야하는 두뇌능력이라는 뜻이네요. 그런데 이 세상에는 교수법과 학습법을 연구하는 수많은 학자들이 있고 또 그러한 것을 적용하기 위해 방법을 찾는 교사들도 있는데 왜 어려운 것이죠? 학교의 역사는 모르겠지만 지금까지 적어도 1000년 이상은 이러한 연구와 새로운 시도가 있었을 것 같은데요. 

   

- 그만큼 두뇌의 작용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고 봐야죠. 

   

◆ 지금 그 말씀은 이제는 알려졌다는 뜻인가요?

   

- 교육계나 뇌 과학자들을 통해서가 아니라 제가 알리고 있으니까요. 

   

◆ 공부방법만 알리시는 것으로 생각했는데 아닌가요? 

   

- 새로운 공부방법을 정립할 수 있었던 이유가 두뇌가 생각하는 방법들을 찾아냈기 때문이니까요. 그러니까 사람들이 지금까지 생각하지 못했던 두뇌의 작용을 저는 설명할 수 있어요. 그리고 그 내용을 오늘 (12월 1일) 앤블리 아트센터에서 10시부터 강좌를 통해 공개하거든요. 두뇌를 발달시킬 수 있는 간단한 공부방법과 함께요. 

   

◆ 그렇군요. 그래도 지금 조금이라도 설명해 주실 수 있지 않나요? 궁금한 것은 왜 학교 교육을 통해서는 창의적 사고력을 키울 수 없는지에 대한 것이거든요. 

   

- 가장 큰 이유는 지금까지 한 이야기에 이미 나와 있어요.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성취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방법이 빠져있기 때문이죠. 

   

◆ 조금 더 구체적으로는 요? 

   

- 학교 교육은 학생들에게 눈에 보이는 목표를 정해줘요. 예를 들면 축구 경기를 한다고 하면 목표가 ‘승리’로 정해져 있잖아요? 학교도 마찬가지로 ‘높은 성적’ 또는 ‘경쟁에서 이기는 것’과 같이 정해져 있죠. 그리고 이 목표에 학생들이 맞추도록 유도해요. 

   

◆ 하지만 시험을 통해 문제를 푸는 방법을 생각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하는 것 아닌가요? 

   

- 문제도 주어지는 것이죠? 그러니까 문제를 아무리 잘 풀어내는 학생이라 해도 창의적인 두뇌능력을 키우기 어렵죠. 문제가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스스로 생각하는 과정은 빠져있으니까요. 

   

◆ 지금 떠오른 생각이, 그렇다면 회사에서 내게 주어진 프로젝트를 열심히 연구해서 성공시키는 것도 주어진 목표를 성취하는 방법을 익혔기 때문이라고 보이는데 맞나요? 

   

- 맞아요. 잡스의 경우를 예로 들면 그가 새로운 제품에 대한 창의적 발상을 하면 회사의 컴퓨터 전문가들이 그의 발상을 제품화 시킬 수 있도록 연구를 하는 것과 같죠. 그러니까 학교교육은 회사에서 열심히 주어진 일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을 양성하는 것이지 잡스와 같은 CEO를 키우는 장소는 아니라는 거예요.

   

◆ 주제에서 조금 벗어나지만 잡스와 일을 한 사람들은 잡스를 소위 ‘또라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던데 그러면 창의적인 사람들은 정말 반사회적일 수밖에 없는 건가요? 

   

- 반대로 이렇게 생각해보세요. 주어지는 일만 열심히 하던 사람이 지도자의 위치에서 새로운 것과 부딪혀야 하는 상황이라면 어떨지요. 

   

◆ 글쎄요? 새로운 세상을 탐험할 능력이 부족해 사회 구성원들이 힘든 시간을 보낼까요? 

   

- 경험이 없으니 모든 것이 새롭고 처음 접하다보니 처음이라 시간이 필요하다고 하지 않겠어요? 그러면 사회 구성원들은 그 지도자가 능력을 갖출 때까지 말 그대로 지도자 없는 것과도 같은 시간을 보내야 할 것이고요. 나아가 이 지도자가 끝까지 창의적 사고력을 발휘하지 못한다면 어떻겠어요?

   

◆ 그럴 수 있겠네요. 다시 두뇌발달로 돌아가서 그러면 어떻게 하면 스스로 목표를 세울 수 있을까요? 

   

- 목표는 내가 무엇인가 이루고자 하는 욕망이에요. 

   

◆ 욕망이라면 맛있는 음식 또는 즐거운 여행과 같은 것을 원하는 욕망을 말씀하시는 것인가요? 

   

- 그건 동물적 욕구이지 욕망이라고 볼 수 없어요. 그리고 그 욕구에 빠지면 두뇌는 오히려 생각을 하지 못해요. 

   

◆ 그러면 어떤 욕망인가요? 

   

- 방법을 찾고자 하는 욕망이요. 예를 들면 ‘광어를 잡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잡을 수 있을까?’하는 욕망이죠. 

   

◆ 하지만 광어를 잡고 싶다는 욕구가 먼저 있어야 그것도 가능한 것 아닌가요? 

   

- 그러한 관점이 학교교육이 직면한 한계예요. 욕구를 내세우고 그것을 얻을 방법을 생각하도록 훈련하기 때문에 창의력을 가르칠 수 없죠. 

   

◆ 그러면 어떻게 하는 것이 방법을 생각하기 위한 목표를 세우는 것인가요?

   

- 광어의 생긴 모양과 주변 환경을 관찰한 것을 가지고 광어를 잡겠다는 목표를 세우는 방법이요. 

   

◆ 따라가지 못하겠어요.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시겠어요? 

   

- 예를 들면 ‘광어는 납작하고 모래바닥에 붙어있는데 이런 고기를 어떻게 하면 잡을 수 있을까?’와 같은 생각이죠. 그러면 두뇌는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생각을 시작해요. 

   

◆ 잠깐만요. 그러면 지금까지 이야기한 목표가 질문인가요? 보통 목표는 예를 들면 광어면 광어, 산이면 산과 같이 뚜렷하게 보이는 것을 목표라고 하잖아요. 회사에서도 눈에 보이는 ‘실적’과 같은 것을 목표로 하고요. 

   

- 그것이 가장 큰 차이에요. 눈에 보이는 목표는 욕구와 결합이 되지 않으면 두뇌로 하여금 방법을 찾도록 자극하지 못해요. 하지만 질문은 다르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63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