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낚시? 그냥 가!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3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낚시? 그냥 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4-03-21 11:52 조회314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낚시? 그냥 가!

   

◆ 요즘 인공지능이 대세인데, 인공지능은 문제를 찾아내는 것에는 이용하기 어렵다고 하셨잖아요? 인공지능에 대해 조금 더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데, 인공지능은 어떻게 인간의 자리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일까요?

   

- 인공지능은 인간을 대체할 수 없어요. 다만 현실에서 인간을 대체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사람들이 인간에게 주어진 인공지능을 넘어설 수 있는 두뇌를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이죠. 

   

◆ 두뇌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는 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요? 인공지능과 인간의 두뇌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인공지능은 목적과 목표가 주어지면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가장 빠르고 정확한 방법을 찾을 수 있어요. 예를 들면 바둑과 같은 게임이죠.

   

◆ 그런데 인간도 목적과 목표가 없으면 살아가는데 어려움을 겪지 않나요? 직장에서 일을 하는 이유도 돈을 벌어 필요한 곳에 사용하기 위함이잖아요. 

   

- 보통은 그렇죠. 그런데 인간에게는 생존 말고도 또 다른 목적이 있는데 생각해 본적 있나요? 

   

◆ 생존하는 것 말고 어떤 목적이 또 있을까요?

   

- 골프를 취미로 하는 사람에게 골프를 왜 하나고 물으면 어떤 답이 나올까요? 

   

◆ 글쎄요? 그냥 재미있어서 한다고 하지 않을까요? 

   

- 그러면 낚시를 하는 사람에게 낚시를 왜 하냐고 물으면요?

   

◆ 그냥 한다고 답하더라고요. 

   

- 그냥 한다는 답 또는 재미있어서 한다는 답이 뜻하는 바가 뭘까요? 

   

◆ 생각해 본적이 없는데, 일단 이유를 모른다는 뜻 아닐까요? 

   

- 왜 모를까요? 

   

◆ 좋아는 하는데, 왜 좋은지에 대한 답을 찾지 못해서 일 것 같아요. 

   

- 왜 답을 못 찾을까요? 

   

◆ 글쎄요? 왜죠?

   

- 인간의 두뇌는 궁금한 것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요. 그런데 답을 찾기 위해서는 생각을 해야죠.

   

◆ 그러면 왜 좋은지 또는 왜 하는지 모르는 사람들은 생각을 안 하는 사람들인가요? 

   

- 아니요. 생각을 해보기는 했을 거라고 봐요. 하지만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생각을 정리하지 못했다고 볼 수 있죠. 

   

◆ 차이가 뭐죠?

   

- 궁금한 것이 있고 그것에 답을 찾을 수 있다는 것과 답을 찾지 못해 포기한 상태에서 ‘낚시, 그냥 가!’라고 답하는 사람의 차이는 두뇌 능력에 있어요. 그리고 그 차이는 목적이 아닌 목표에 질문과 호기심을 집중할 수 있는 사람이고요. 

   

◆ 이해가 안가요. 목적과 목표의 차이가 뭔가요? 

   

- 낚시의 첫 번째 목적이 뭘까요? 

   

◆ 당연히 고기를 잡는 것 아닐까요? 

   

- 회사의 목적은요? 

   

◆ 물론 이윤 창출이겠죠.

   

- 그런데 이런 목적은 어린이도 쉽게 볼 수 있고 이룰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겠죠?

   

◆ 그렇죠. 또 부모가 교육을 시키기도 하죠. 예를 들어 청소를 하면 용돈을 주는 방법으로 목적을 이룰 수 있는 방법을 교육하니까요. 

   

- 그러면 낚시나 골프를 하는 사람에게 왜 하느냐고 물으면, 왜 그냥 한다거나 그냥 즐기려고, 또는 즐기는 게 아니라 비즈니스를 위해 하는 거라는 식으로 이야기를 할까요? 

   

◆ 글쎄요? 그냥 솔직하게 말하면 될 것 같은데, 왜 그렇게 돌려 말하는 거죠? 낚시하는 이유를 그냥 고기를 잡기 위해서 한다고 말하면 너무 속물처럼 보일까봐 그럴까요? 

   

- 속물처럼 보인다는 뜻이 뭘까요? 

   

◆ 사냥하는 동물은 말 그대로 먹고 살기 위해 사냥을 하잖아요. 그러니까 낚시를 하는 이유도 고기를 잡기 위해서라고 답한다면 동물적 욕망과 다를 게 없잖아요. 

   

- 그러면 낚시하는 이유를 ‘그냥 해’라고 답하면요?

   

◆ 마치 철학자가 하는 말처럼 들릴 것 같아요. 

   

- 왜 철학자가 하는 말처럼 들릴까요? 

   

◆ 글쎄요? 왜 그럴까요? 

   

- 듣는 사람도 답이 없다는 뜻 아니겠어요? 

   

◆ 그럴 것 같네요. 자신도 답이 없으니 낚시를 왜 가냐고 묻는 말에 ‘그냥 가’라고 답하는 것이 마치 철학자의 답처럼 들릴 것 같네요. 그러면 결론은 ‘그냥 가!’라고 답하는 사람도 답을 찾지 못하는, 그러니까 두뇌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이고, 그 말을 듣고 ‘와, 멋진 답이다!’라고 답하는 사람도 두뇌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이라고 볼 수 있나요?

   

- 아니요. ‘그냥 가!’라고 답하는 사람이 스스로 그 답을 만들어 표현했다면 자신이 생각을 통해 답을 찾았기 때문에, 단순히 멋진 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보다는 두뇌 능력이 한 단계 위라고 볼 수 있어요. 하지만 과거 누군가 한 말을 멋지다고 생각하면서 따라 했다면 도토리 키재기죠. 두뇌 능력이 거기서 거기라는 뜻이에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64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