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빈 깡통은 요란해서 사람의 시선을 끈다!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4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빈 깡통은 요란해서 사람의 시선을 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4-03-28 12:29 조회346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빈 깡통은 요란해서 사람의 시선을 끈다!

   

◆ 지금까지 내용을 정리해 보면, 한 사람의 두뇌 능력은 그 사람의 말과 사용하는 단어를 보면 알 수 있기는 하지만, 그 사람의 표현이나 단어가 스스로 생각한 것인지 아니면 누군가의 표현을 듣고 따라 하는 것인지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질문을 통해 찾지 않으면 알 수 없다는 뜻인 것 같은데 맞나요?

   

- 예. 꼭 질문이 아니라도 짐작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요. 그 사람이 한 말을 모아서 분석하거나 행동을 살펴보면 알죠. 

   

◆ 어떻게요? 

   

- 우선 말을 살펴보면, ‘무엇을’, ‘어떻게’, ‘왜’와 같은 이유와 방법이 빠져 있으면 요란한 빈 깡통소리라고 보면 되거든요. 

   

◆ 예를 들면요?

   

- 나라를 이끄는 지도자가 ‘국민을 위해서’, ‘민생을 챙겨야’와 같은 주장을 할 때, 국민을 어떻게 위할 것인지, 민생을 어떻게 챙길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 빠져 있으면 그 사람은 그저 요란한 빈 깡통을 두들기는 것이라고 보면 되죠.

   

◆ 하지만 현실을 보면 그런 지도자가 박수를 받는 경우가 있는 것 같거든요. 왜 그럴까요?

   

- 빈 깡통이 요란한 소리를 내면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할까요? 

   

◆ 뭔 일인지 궁금해서 쳐다보겠죠. 

   

- 예. 인기를 얻는 방법 중 하나가 빈 깡통을 두들기는 거죠. 

   

◆ 그러면 빈 깡통소리를 내는 사람은 오히려 두뇌가 발달한 걸까요? 

   

- 그렇죠. 빈 깡통 소리를 듣고 즐거워하며 박수를 치는 사람들보다는 조금 더 발달했다고 볼 수 있죠. 적어도 사람들을 움직일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니까요. 

   

◆ 앞에서는 두뇌 발달이 덜 된 사람이라고 했잖아요.

   

- 예. 맞아요. 

   

◆ 앞뒤가 맞지 않는 것 같은데요. 

   

- 예. 맞아요. 

   

◆ 뭐죠? 이 반응은? 

   

- 두뇌 능력은 상대적이에요.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그러니까 생각하는 방법을 4가지 차원으로 나누자면, 빈 깡통 소리를 듣고 좋다고 박수치는 사람은 1차원적 두뇌 수준을 가진 것이라고 볼 수 있고, 1차원적 두뇌 수준을 가진 사람들을 움직여 자신의 이득을 얻으려는 사람은 2차원적 두뇌 기능을 사용한다고 볼 수 있어요. 

   

◆ 결국 상대적인 것이라 빈 깡통 소리를 내는 두뇌는 3차, 4차원적 두뇌보다 떨어지는 것이라, 두뇌가 발달하지 않았다고 하신 거군요.

   

- 예. 하지만 일반적인 사람들이 그 차이를 보지 못하기 때문에 구분하기 어려운거죠. 

   

◆ 하지만 시험이 두뇌 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되는 것 아닌가요? 1, 2, 3, 4차원적 두뇌 능력도 시험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게 아닌지에 대한 질문이에요. 

   

- 시험으로 평가하는 것은 생각하는 능력이 아니라 공부하는 능력이죠. 

   

◆ 두 가지가 다른가요? 

   

- 많이 달라요. 공부 능력은 빈 깡통 두들기는 두뇌에 초점이 맞춰져 있거든요. 나아가 공부 머리에도 두 가지 종류가 있어요.

   

◆ 잠간만요. 학교 교육이 빈 깡통 두들기는 두뇌 발달에 맞춰져 있다고요? 무슨 뜻이죠? 

   

- 사람들을 움직여 내가 원하는 것을 얻는 방법을 찾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으니까요. 

   

◆ 예를 들면요? 

   

- 정치는 자신에게 표를 던지도록 사람을 움직일 방법을 생각하고, 회사는 이윤을 남기는 방법을 생각하죠. 그러니까 시험도 이러한 방법을 찾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죠. 문제를 주고 해결하라고 주문하니까요. 

   

◆ 문제가 주어지면 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시험이라는 뜻이군요. 그러면 실제로 문제 해결 능력은 뛰어날 수 있겠네요. 

   

- 그렇죠. 하지만 그것도 소수의 학생만 그런 능력을 발휘할 수 있어요. 

   

◆ 왜죠? 

   

- 아까 공부 머리도 두 종류가 있다고 했죠? 

   

◆ 그랬죠. 

   

- 현재의 교육은 주로 지식의 전달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요. 그러니까 기억력이 뛰어난 학생이 두각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죠. 

   

◆ 그러면 기억력과 사고력은 뭐가 다른가요? 어떻게 구분할 수 있죠? 

   

- 지식을 가르치는 과정에서는 많은 정보를 전달하고 전달한 정보의 정확성을 확인하는 시험을 치르잖아요. 그런데 이러한 지식을 처리하는 방법이 학생에 따라 조금 달라요. 

   

◆ 그 중 하나가 기억력이라는 뜻이죠? 말 그대로 배운 것을 기억하는 능력이요.

   

- 예. 맞아요. 그런데 이 기억력은 유전적인 요소가 많아요. 기억할 수 있는 용량도 필요하거든요. 

   

◆ 그럴 것 같네요. 그러면 사고력은요? 많은 용량이 필요 없나요? 

   

- 그렇죠. 아인슈타인의 두뇌가 그렇게 크지 않았다고 하잖아요? 그러니까 기억 용량이 아니라 사고력으로 지식을 어떻게 처리해서 저장하는지의 여부가 핵심이에요. 

   

◆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기억에 의존해서 공부하는 학생은 말 그대로 엄청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요. 시험을 7전 8기의 정신으로 대하죠. 하지만 사고력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는 사람은 그렇게 많은 시간을 보낼 이유가 없거든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64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