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토목·기계, 진출분야 넓고 최고 인기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토목·기계, 진출분야 넓고 최고 인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9-01-31 09:35 조회3,222회 댓글0건

본문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다른 분야보다 토목이 공무원직 많아 

기계는 로봇·나노 등과 융합, 전망 밝아


 

8dd2ab4ea8563b46a73557df2dbe96a4_1548956067_1347.jpg
LA 다운타운 프로젝트의 하나였던 뉴 윌셔 그랜드 호텔 건축 현장 모습. 토목은 민간과 공공 부문 모두 일자리가 많지만 다른 공학과 비교해 특히 공무원직이 많다. [중앙포토]

 

 

이번 편에서는 지난 편에 이어서 한인이 많이 진출하는 엔지니어링 분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토목환경공학 분야(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토목환경공학 분야는 도로, 교량, 철도, 공항, 항만, 댐, 상하수도, 터널, 각종 발전소 및 플랜트 설비 등 주로 사회간접자본 인프라를 건설하고 운용·관리하는 분야다. 

 

 

토목공학(Civil Engineering)은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가장 오래된 학문으로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 자연과학을 이용한 모든 공학의 근간을 이루며 인류 문명 발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자연을 바탕으로 인간 생활의 기반 시설물을 구축한다. 세부 전공분야로는 구조공학(Structural Engineering), 지반공학(Geotechnical Engineering), 수리수문공학(Hydraulics & Hydro Engineering), 측량 및 지형정보공학(Geomatics & GIS), 교통공학(Transportation Engineering), 건설 시공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등이 있다. 환경공학(Environmental Engineering) 또한 기본적으로는 토목공학의 한 전문분야다. 최근에는 환경 관련 분야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학과 이름이 토목환경공학(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으로 통칭되는 추세다.

 

토목공학은 한국보다 특히 미국에서 압도적으로 인기가 많은 직종이다. 미국에서의 토목공학 인기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높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이후 경기가 회복되면서 건설분야 인력 수요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미국의 토목공학자는 설계, 시공, 컨설팅 등 민간분야는 물론 시청, 카운티, 주정부, 연방정부 등 각종 공공분야까지 광범위하게 진출한다. 토목공학은 '건설'이라고 하는 전공 특성상 공공 프로젝트가 많으므로, 타분야에 비해 특히 공무원 쪽으로 많이 진출하는 전공이다. 

 

미국의 재무관리 전문 미디어 그룹인 키플링어(Kiplinger)의 조사자료에 따르면, 2016~2017년 최고의 대학 전공으로 토목공학이 1위를 차지했다. 연간 24만3717개의 취업 자리가 있으며 향후 10년간 관련 직업 성장률은 17.2%로, 토목공학 관련 취업 시장의 밝은 앞날을 전망한 것이다.

 

8dd2ab4ea8563b46a73557df2dbe96a4_1548956118_41.jpg
 

기계공학 분야(Mechanical Engineering) 

 

기계공학은 소위 4대 역학(고체역학, 동역학, 유체역학, 열역학)을 기반으로 기계 및 관련장치, 설비 등의 설계와 제작에 관련된 전반적인 시스템을 다루는 학문이다. 기계공학은 여러 가지 공과대학 전공들 가운데 엔지니어링을 대표하는 가장 전통적인 공학분야라고 할 수 있다. 

 

미국 대학들 중에는 텍사스A&M대학(Texas A&M University)처럼 학교 이름에 'A&M'이 들어가는 학교들이 있다. 여기서 A&M은 'Agricultural & Mechanical'의 약자로, 대학이 처음 생겨날 때 농업과 기계 분야의 전공으로 가장 먼저 시작되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처럼 대부분의 미국 공과대학들은 그 역사를 기계공학과 함께 한다. 

 

기계공학 전공자들이 진출하는 취업 스펙트럼은 상당히 넓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항공, 조선, 건설, 기계 설비 등의 분야가 대표적이지만 학문이 융합화되면서 화학, 전자, 의료, 신소재, 로봇, 나노기술 등 기계공학이 접근하는 분야는 실로 광범위하다. 

 

미국의 경우 군수 산업, 자동차 산업과 더불어 우주개발 등으로 항공관련 산업이 발달하면서, 기계공학의 수요는 날로 증가하는 추세다. 2018년 US뉴스앤월드리포트(News & World Report)에 따르면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엔지니어링 직업 순위에 기계공학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018년 기준 평균 연봉은 8만4190달러이고, 미취업률은 1.1%에 불과해 여전히 취업 시장의 밝은 미래를 전망하고 있다. 

 

공무원으로 일하는 엔지니어들은 상상외로 많고, 그들의 평균 연봉은 9만 달러 이상이다. 

 

엔지니어들이 활동하는 분야는 크게 민간 기업체, 정부기관, 연구기관 이렇게 3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이루어진 민간 기업체는 두말할 것 없이 엔지니어들이 가장 많이 활동하는 분야이다.

 

대부분의 기업체에서 엔지니어들이 일하는 분야는 제조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 분야이다. 연방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제조 분야에 고용된 엔지니어는 57만8000명으로 1위, 엔지니어링 서비스 분야는 31만5200명으로 2위를 차지했다. 

 

그다음으로 많은 분야가 3위를 차지한 정부기관으로, 연방정부와 주정부, 지방정부에 공무원으로 고용된 엔지니어는 20만3200명으로 발표되었다. 통계자료가 보여주듯, 미국에는 각종 정부기관에서 공무원으로 일하는 엔지니어, 즉 기술직 공무원이 상당히 많다. 민간 기업체 다음으로 많은 숫자의 엔지니어들이 연방정부와 주정부, 또는 카운티나 시청 등의 지방정부 곳곳에서 공무원으로 일하고 있다. 이렇게나 많은 엔지니어들이 공무원으로 일한다는 사실은 상당히 고무적이다. 더욱 매력적인 건 그들의 급여 수준이다. 정부기관에서 일하는 엔지니어들의 평균 연봉은 2016년 기준 9만5450달러로 조사되었다.

 

그다음은 4위를 차지한 연구기관이다. 엔지니어들이 활동하는 연구기관으로는 국가연구소나 대학연구소, 기업연구소 등을 들 수 있다. 이 자료에 의하면, 8만3100명의 엔지니어들이 미국의 각종 연구개발(Research & Development) 분야에서 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연방노동부 웹사이트에서 참조하기 바란다. 다음 편에서는 엔지니어가 되기 위한 학력 조건 및 자격 조건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986fb46d29ea2abe46421afecaea3b8c_1547765356_2587.jpg
이진태 (공학박사, 워싱턴주 환경부 엔지니어)

▶워싱턴주 환경부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다. 퍼듀대학 공학박사(토목). 저서로 '나는 미국에서 엔지니어로 1억 더 번다'가 있다. 

▶블로그https://blog. naver. com/pejtlee 운영.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7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0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용? 중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 2123
60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122
60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2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18
6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실수는 발명의 어머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2115
600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인텔리들의 영어표현법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2115
5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파리기후협정이 뭐길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114
59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110
597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객관식, 주관식, 논술, 그리고 자녀교육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110
59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8 2106
5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2105
5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097
59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096
59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지원 회사·일자리 완전히 알고 가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094
59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2093
590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마지막회 – 개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093
58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2092
588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085
58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사람 (특히 자녀들)을 무시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084
58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알파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083
58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082
5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2081
5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 노벨 물리학상과 중성미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080
58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 2079
58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075
580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2072
57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앨런 머스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068
57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068
57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트레스로 인한 어지럼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064
576 [CELPIP의 모든 것] “재주는 캐나다가 부리고 돈은 영국이 챙기는 현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2064
57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의 과정에서 필자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060
574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어휘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2057
57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슈퍼 푸드 - '토마토'에 대한 모든 것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2057
57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도자의 자격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4 2057
571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재외국민 특례 방심하지 말고 미리 준비하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056
57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의 사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2054
56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접근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2054
56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년에 주목할 과학 이슈 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051
56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 2047
56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043
565 [알기 쉽게 풀어 보는 한국사 수업] 추모(주몽)의 아들 온조가 세운 세운 백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41
56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2039
56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2037
56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름이나 지식에 얽매이면 사고력을 키울 수 없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034
56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2034
56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경험보다 더 효과적인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 2033
559 자녀를 혼내야 하는 경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2032
55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최종 승부는 프로의 열정…나를 판매하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032
55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공부만큼 글쓰기가 어렵고 힘든데 왜 그런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2031
55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봉사활동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030
55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029
554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좋은 글쓰기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2029
55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026
552 아이와 눈높이를 맞춘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2025
55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2025
55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2 2024
5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두뇌 구조와 기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2012
54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이유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011
5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 역사상 가장 뛰어난 항해자(voyager)는 누구일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009
54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식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르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2008
545 [이근백의 캐나다 생활 이모저모] 건강하게 여행 떠나는 방법, 무엇일까요 ? 이근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04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