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의 두 종류 (비판적 사고 vs. 창조적 사고)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의 두 종류 (비판적 사고 vs. 창조적 사고)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3-02-16 13:17 조회723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의 두 종류 (비판적 사고 vs. 창조적 사고)

   

◆ 눈으로 보는 방법 외에도 볼 수 있는 방법이 꿈 또는 두뇌에 그려지는 이미지를 통해서라고 하셨잖아요? 누워서 천정을 보면 천정에 게임 영상이 그려지는 것과 같이요. 그런데 그렇게 두뇌에 떠올린 이미지를 반대로 불을 끄듯 끈다고요? 어떻게 가능하죠?

   

- 예를 들어 게임의 이미지가 동영상처럼 떠오르는 경우에도 실제 내가 보는 모든 사물들은 보이잖아요? 천정이 보이 듯이요. 이 말은 두뇌가 만들어 내는 영상과 눈을 통해 들어오는 신호로 두뇌에서 영상을 만드는 영역이 다르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어요. 그러니까 두뇌가 시각을 통해 들어오는 영상은 그대로 두고 가상으로 만들어진 영상만 끄는 거죠. 

   

◆ 그러면 그렇게 불을 끈다는 것이 두뇌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 없다는 것의 실체를 두뇌를 통해 뚜렷하게 볼 수 있다는 거죠. 그러니까 진정한 ‘나’라는 존재를 포함한 모든 것들은 존재하지만 그 실체는 없다는 것을 말 그대로 두뇌를 통해 볼 수 있어요. 그러니까 생명체의 시작과 끝도 본다는 뜻이죠. 

   

◆ 생명체의 시작과 끝을 본다는 이야기는 생명의 시작도 없는 것이고 끝도 없는 것이라는 뜻인가요? 

   

- 예. ‘나’라는 사람이 태어나기 전에도 ‘나’는 없었고 현재의 ‘나’ 또한 없는 것이고 미래에 죽은 후에도 ‘나’는 없다는 것을 볼 수 있다는 것이죠. 조금 다르게 말하자면 음식을 먹으면서 ‘맛이 있다!’라고 생각하는 것은 진화의 과정에서 형성된 많은 동물들과 사람들이 가지게 된 공통적인 반응이지 그것 자체가 내가 주체적으로 만들어 낸 개념이 아니라는 뜻이에요. 좋아하는 것, 사랑하는 것, 미워하는 것 등 모든 것이 주어진 상황에서 빠르게 판단을 함으로서 생존과 번식의 확률을 높이기 위한 반응이라는 것이죠. 

   

◆ 조금 복잡한 것 같은데 그러면 없다는 현상을 보고나면 무엇이 남나요? 삶이 시작되기 전이나 끝난 후에도 또 현재의 나라는 주체도 없다는 것을 보는 것과 보기 전과 차이가 있나요? 

   

- 차이가 아주 크죠. 보기 전에는 돈, 명예, 권력 등이 좋아 보이고 또 쟁취해야 할 대상으로 생각이 되지만 그러한 것들에 대한 의미가 모두 사라지니까요. 

   

◆ 그러면 삶의 의미가 없는 것 아닌가요? 사람들이 힘들어도 삶을 살아가는 이유가 성취를 위한 것이잖아요. 

   

- 그렇게 보이죠. 그런데 그러한 삶은 생존과 번식을 위한 삶이에요. 인간 고유의 삶이 아니죠. 

   

◆ 아까까지는 현재의 ‘나’도 주체적인 ‘나’로 볼 수 없다고 하셨잖아요. 그런데 인간 고유의 삶이라니요? 어떤 것이 인간 고유의 삶이죠? 

   

- 공부를 하는 이유가 뭘까요? 

   

◆ 갑자기 공부를 하는 이유를 왜 물으시는지 모르겠지만 원하는 것을 성취하기 위함이 아닌가요? 

   

- 권력이나 재력을 가지기 위해서 공부를 하는 이유도 물론 있어요. 이 부분이 바로 생존과 번식에 기반을 둔 삶의 목표니까요. 하지만 인간에게는 사람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또 다른 목표가 있어요. 바로 자연, 삶 등에 대한 이해를 인과의 법칙을 따라가며 넓혀가는 것이죠. 그래서 이러한 두뇌능력을 지혜라고 하잖아요. 그러니까 말 그대로 지혜를 쌓고자 하는 것이 인간 고유의 목표 또는 목적이라고 할 수 있어요. 

   

◆ 그래서 지혜가 많은 사람을 사회의 스승이라고 부르며 따르는 것인가요? 사실 지혜를 가진 사람들이 돈이나 권력을 가진 사람들보다 더 힘이 있다는 생각은 가끔 들어요. 그런데 아까 공부를 이야기 하셨는데 공부를 하는 이유가 지혜를 쌓기 위함이라면 왜 공부를 잘 해서 상류 대학을 나왔다는 사람들 중에서도 가끔은 타인의 손가락질을 받는 사람들이 있나요? 공부가 지혜를 쌓는 과정이라면 공부를 잘 할수록 이런 사람들이 없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 현재의 교육은 지식에 초점이 맞춰져있지 지혜에 맞춰져있지 않아요. 

   

◆ 물론 그 부분은 이해가 가요. 무조건 외우고 익히는 교육이 주를 이룬다는 것은요. 하지만 같은 교육을 받아도 각 개인에 따라서 다른 삶을 살잖아요. 이유가 뭐죠? 

   

- 지금까지 두뇌를 사용하는 방법을 생존본능에 바탕을 둔 동물적 두뇌와 인간의 두뇌로 나눠서 설명을 했잖아요? 그런데 아직 인간의 두뇌능력인 사고력도 두 종류로 나뉜다는 것은 설명하지 않았죠? 

   

◆ 사고력도 두 종류로 나뉜다고요? 

   

- 예. 인간의 두뇌능력도 두 가지 다른 것이 있어요. 하나는 비판적 사고력이고 다른 하나는 창의적/창조적 사고력이죠.

   

◆ 이 두 가지 사고력이 다른 것이라고요? 비판적 사고력을 키워야 창조적 사고력도 발휘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요? 

   

- 예. 시작부터가 완전히 달라요. 그래서 비판적 사고력이 아무리 뛰어나다 해도 창조적 사고력을 발휘하는 데 기여할 수 없어요. 하지만 반대로 창조적 사고력은 비판적 사고력을 사용할 수 있죠. 창의적 사고력이 피라미드식 권력 구조로 따지자면 상위기관이거든요. 그러니까 하위에 있는 비판적 사고력을 담당하는 부서에 지시를 내리고 또 어떻게 부서를 운영할 것인지와 같은 지시를 내릴 수 있지만 비판적 사고력을 담당하는 부서는 상급 부서인 창조적 사고력을 담당하는 부서에는 발을 디딜 수도 없어요. 

   

◆ 그러면 지식에 초점을 맞춘 교육은 뭐죠? 비판적 사고력도 기를 수 없는 것인가요? 

   

- 아니에요. 비판적 사고 자체가 지식에 기반을 두고 있어요.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은 지난 주 시작된 밴쿠버 중앙일보와 제 회사 PonderEd가 함께 제공하고 있는 유튜브 ‘TV 똥덩이’를 보시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 수 있으니까 여기서는 대략적인 윤곽만 이야기 하도록 할게요. 

   

◆ 예. 알겠어요. 그런데 비판적 사고는 지식이 아닌 지혜라고 생각을 했는데 왜 지식에 기반을 두었다고 이야기하시는 건가요? 

   

- 비판을 한다는 것 자체가 아는 것이 있어야 할 수 있죠? 토론을 해도 주제에 대해 아는 것이 있어야 토론을 할 수 있잖아요? 그러니까 비판적 사고는 지식이 많을수록 유리해요. 물론 토론뿐 아니라 인생 자체도 아는 것이 많아야 경쟁에서 이길 수 있으니까요. 

   

◆ 지금까지는 단순히 지식을 배울 것이 아니라 비판적 사고력도 함께 길러야 한다고 생각을 해 왔고 그래서 지식이 아닌 비판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어야 한다고 막연하게 생각을 했었는데 비판적 사고력도 지식이 있어야 가능하다는 이야기는 조금 의외네요. 예를 들어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 예를 들어 내가 사자의 사냥방법, 치타의 사냥방법, 그리고 재규어의 사냥방법 등 많은 사냥방법을 알고 있다고 가정해 볼게요. 그러면 사냥감에 따라서 어떤 사냥방법을 쓸지 골라서 사용하면 되겠죠? 반대로 한 가지 사냥방법만 알고 있다면 선택의 여지가 없을 것이고요. 이 두 경우를 비교하면 어느 쪽이 성공의 확률이 높을까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6건 8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4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경험보다 더 효과적인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 1637
545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인텔리들의 영어표현법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2142
54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나라 안의 나라, 개항장 인천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1840
54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도박에 빠지는 이유와 공부 방법이 어떤 연관이 있나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1733
54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강화도 조약(1876, 조·일 수호 조규, 병자 수호 조약)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2342
541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고 출신이 수시 지원할 때 알아야 할 것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2945
54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가진 지식의 양이 많아야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는 건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1772
53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강화도 조약(1876, 조·일 수호 조규, 병자 수호 조약)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3657
53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가진 지식의 양이 많아야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는 건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9 1855
53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공부만큼 글쓰기가 어렵고 힘든데 왜 그런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2053
536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 고교 재학생이라면 이것부터 알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1883
53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1693
53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공부가 힘들고 지겹고 싫고 어렵습니다. 왜 그런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1920
53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7 1563
53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1 2315
531 민동필 박사, 자녀교육을 위한 안내서 영문판 제작 밴쿠버 중앙일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523
530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특례, 수시 전문 입시컨설팅 그룹 리사운드입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888
52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691
52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725
52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 2126
52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3 1969
52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7 1832
52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9 1964
523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우선순위만 잘 알아도 합격합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19
5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 2381
5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2057
52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2113
51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9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2 2270
518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097
51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183
516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1)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725
51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7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452
51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2 2472
513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교육컨설팅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531
5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055
511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재외국민 특례 방심하지 말고 미리 준비하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088
510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울어야 얻는다'…당당히 요구해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571
5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858
50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용 서명 전에 연봉·복리 조건 협상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524
50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049
506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최종 승부는 프로의 열정…나를 판매하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048
50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1903
504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지원 회사·일자리 완전히 알고 가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107
5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578
50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막강한 추천인 한 마디…입사 당락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035
5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오퍼튜너티 - 긴 탐사여정을 마치고 영원히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37
50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홍산(훙산) 문화(기원전 6,000년 ~ 기원전 800년)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142
499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인터뷰하고 싶게 짧고 강렬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3 1931
49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홍산(훙산) 문화(기원전 6,000년 ~ 기원전 800년)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3 3438
49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59
496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이력서 심사 30초면 결판…첫눈에 들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444
49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684
494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입사 1차 관문 통과, 이력서가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506
49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512
49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핵심 사이트 몇 개면 취업정보 얻는 데 충분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3223
4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887
49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짜가 아닌 가짜뉴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427
489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유명 기업보다 내가 필요한 회사 찾아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270
4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과 국학(국어, 한국사) 운동의 전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602
487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석사 + 자격증 + 실무 경력' 가장 선호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756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