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으로 가르치는 교육은 원시적인 교육법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으로 가르치는 교육은 원시적인 교육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3-03-02 14:11 조회748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으로 가르치는 교육은 원시적인 교육법

   

◆ 감정보다는 논리적인 사고가 시간이 걸리는 이유는 알 것 같아요. 그런데 논리적 사고도 지식을 바탕으로 한 사고라고 하셨는데 무슨 뜻인가요? 

   

- 우선 감정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가지고 지식에 대해 먼저 살펴볼게요. 그래야 조금 더 쉽게 지식에 대한 개념을 잡을 수 있으니까요. 감정으로 정보를 처리해서 얻는 결론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 뱀을 보면 무서워서 피하거나 사과와 같은 과일을 보면 맛있다는 생각에 먹고 싶어 하는 것 등이 감정에 따른 결론 아닐까요? 

   

- 그렇겠죠? 앞서 이야기 한 것처럼 감정으로 정보를 처리해서 얻는 지식은 단순해요. 그러니까 ‘먹어도 된다/안 된다’ 또는 ‘무섭다/무섭지 않다’와 같이 흑백으로 나눠서 결론이 내려지고 이 결론이 지식이 되기 때문이죠. 그리고 이러한 지식에 나름의 이유와 근거도 존재해요. 예를 들면 ‘뱀은 피해야 한다!’라는 주장에는 뱀의 독에 의해 죽을 수 있다는 이유를 포함하니까요. 그런데 이러한 지식을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문제점은 무엇일까요? 

   

◆ 그야 뱀 중에는 독이 없는 것도 있고 또 독이 있는 뱀이라도 독을 이미 사용해서 남아있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 아닐까요? 모든 뱀이 위험한 것은 아니니까요. 

   

- 맞아요. 뱀은 피해야 한다는 주장이 참이 되는 경우는 독사에 해당하는 이야기이고 나아가 독사가 독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성립이 되어야 하죠. 하지만 감정에는 이러한 내용을 모두 담을 수 없어요. 그러니까 감정으로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정보만을 처리할 수 있고 나아가 가장 단순한 정보만을 전달할 수 있어요. 

   

◆ 간단한 형태의 정보처리는 이해가 가겠는데 단순한 정보의 전달은 무슨 뜻이죠? 

   

- 감정을 통한 교육이요. 부모나 교사가 아이들에게 ‘해/하지 마’, ‘좋아/나빠’와 같이 감정의 형태로 가르치는 방법이죠. 

   

◆ 위험할 수 있는 행동을 제한하거나 몸에 해가 될 수 있는 음식을 먹지 못하도록 제약하는 방법으로는 효과적인 것 아닌가요? 

   

- 물론 효과적이죠. 다만 지금 이야기하신 것처럼 위험에 처했거나 위험할 수 있을 때만 그렇죠. 또 타인을 위험하게 할 가능성이 있을 때도 효과적일 수 있고요. 

   

◆ 그러면 일반적인 경우에는 효과가 없다는 뜻인가요? 

   

- 경우에 따라 효과가 있을 수 있겠지만 문제는 효과를 보기 전에 갈등이 먼저 발생할 수 있다는 거죠. 예를 들어 ‘공부를 해야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어!’라는 기대감을 이용해서 학생들을 교육하려 한다고 생각해볼게요. 이 이야기를 들은 학생들은 어떤 생각을 할까요? 

   

◆ 비슷한 말을 너무 자주 듣고 자라온 사람으로서 저와 제 친구들의 경험은 이야기 할 수 있어요. 저는 사업에 도전해 보고 싶었고 그래서 사업가가 훌륭한 사람으로 생각되었고 친구들이 생각하는 훌륭한 사람들로는 연기자, 가수, 정치인, 의사 등등 각양각색이었죠. 

   

- 그렇죠? 그런데 그 중에서 일반적인 학교공부를 통해 될 수 있는 훌륭한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요? 

   

◆ 의사나 변호사와 같은 직업 말고는 학교공부를 통해 되는 경우는 별로 없지 않나 싶어요. 가수나 연기자들도 어려서부터 가능한 것이고 정치인도 학교교육을 받지 않아도 충분히 될 수 있다는 것이 증명 되었으니까요. 

   

- 그러면 부모님들이나 교사들의 ‘훌륭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 공부해야 한다!’는 주장은 근거가 부족하죠? 논리적으로도 허점이 많고요? 

   

◆ 예. 그래서 서로의 생각차이로 인해 갈등도 생기는 것 같아요. 

   

- 이렇게 원하는 것, 이루고자 하는 것, 얻고자 하는 것 등을 기반으로 형성된 감정을 가지고 교육을 하면 논리와 근거가 부족해서 결국 갈등으로 번지는 경우가 더 많아요. 물론 공감대가 형성되면 다르지만요. 

   

◆ 그래서 감정을 바탕으로 가르치면 안 된다는 뜻이죠? 그런데 공감대가 형성되면 어떻게 다른가요? 

   

- 먼저 첫 번째 의견에 답을 하고 공감대에 대해 설명해 볼게요. 앞서의 이야기가 절대로 감정을 바탕으로 가르치면 안 된다는 말은 아니에요. 가끔은 감정적 자극을 통해 의지를 북돋거나 힘든 학생들을 일으켜 세우기도 하니까요. 다만 감정을 통한 교육은 딱 그 정도의 선에서 멈춰야 하죠.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삶이 힘들고 괴로워 현재 하고 있는 공부에 집중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 정리를 할 수 있도록 만드는 용도로만 사용해야 한다는 뜻이에요. 실제 공부나 프로젝트 등을 할 때에는 감정을 통해 교육을 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감정을 어떻게 자극할 것인지를 논리적으로 생각을 해야 하거든요. 

   

◆ 잠깐만요. 타인의 감정을 어떻게 자극할 것인지를 논리적으로 생각한다고요? 공감대에 대한 이야기 전에 이 이야기부터 설명을 해 주시겠어요? 

   

- 가장 감정 표현이 많은 연기나 노래 또는 소설을 생각해보세요. 연기자가 자신이 슬프기 때문에 슬픈 연기를 할까요? 아니면 극을 보는 사람들이 슬퍼하도록 연기를 할까요? 또 노래를 부르는 사람이 자신이 울기 위해 노래를 할까요? 아니면 듣는 사람이 슬픔을 느끼도록 노래를 할까요? 

   

◆ 생각해보면 관객을 울고 웃게 해야 성공한 공연이지 자신들만 울고 웃으면 망할 것 같아요. 그래서인지 공연을 할 때 자신들의 괴로움은 참으면서 힘들고 고통스럽지만 공연을 하는 경우도 있다고 들었고요. 물론 슬퍼도 신나게 춤춰야 하고 슬프지 않아도 슬프게 노래를 하는 것과 같이요. 하지만 관객들과 함께 울고 웃는 경우도 있지 않나요? 

   

- 있죠. 함께 울고 웃는 경우도요. 바로 그 부분이 공감대를 형성했을 때 가능한 부분이에요. 흔히 말하는 가수나 연기자에게 충성하는 팬들이 생기면 그러한 충성심에 함께 울고 웃을 수 있어요. 실수를 해도 봐 줄 수 있고 조금 못해도 서로 같은 감정을 나누니까 이해하고 넘어가죠. 하지만 가수나 연기자들에게 그렇게까지 충성하는 팬들은 그리 많지 않을 거라 생각해요. 부모의 생일은 잊고 넘어가면서 자기가 좋아하는 가수나 연기자의 생일을 기억하고 축하 선물을 보내거나 계절이 바뀔 때마다 또는 행사 때마다 그 사람들을 위해 보양식서부터 다양한 많은 것을 가져다 바치는 마치 왕처럼 떠받드는 충성심을 가진 팬들이 그렇게 많을까요? 만일 이런 사람들이 많다면 조만간 이 사람들은 인공지능을 신처럼 떠받들게 될걸요. 

   

◆ 감정이 없는 인공지능을 신처럼 떠받든다고요? 에이, 너무 나가셨네요. 

   

- 너무 나간 것일까요? 인공지능의 도움으로 쓴 소설이 상을 받았다는 기사는 이미 수 년 전에 나왔어요. 그런데 소설이 감정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이야기거든요. 그러니까 인공지능은 감정이 없어도 인간의 감정을 분석해서 조합한 후 소설을 써서 사람들을 감동시킬 수 있다는 뜻이죠. 여기서 연기자나 가수 그리고 인공지능의 공통점을 생각해보면 어떻게 이것이 가능한지 그 공통점을 찾을 수 있어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7건 8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4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나라 안의 나라, 개항장 인천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 1867
54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경험보다 더 효과적인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 1651
545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인텔리들의 영어표현법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2161
54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나라 안의 나라, 개항장 인천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1853
54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도박에 빠지는 이유와 공부 방법이 어떤 연관이 있나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1746
54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강화도 조약(1876, 조·일 수호 조규, 병자 수호 조약)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2351
541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고 출신이 수시 지원할 때 알아야 할 것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2969
54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가진 지식의 양이 많아야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는 건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1785
53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강화도 조약(1876, 조·일 수호 조규, 병자 수호 조약)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3680
53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가진 지식의 양이 많아야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는 건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9 1861
53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공부만큼 글쓰기가 어렵고 힘든데 왜 그런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2069
536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 고교 재학생이라면 이것부터 알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1894
53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1699
53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공부가 힘들고 지겹고 싫고 어렵습니다. 왜 그런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1932
53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7 1574
53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1 2326
531 민동필 박사, 자녀교육을 위한 안내서 영문판 제작 밴쿠버 중앙일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533
530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특례, 수시 전문 입시컨설팅 그룹 리사운드입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897
52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700
52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737
52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 2138
52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3 1978
52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7 1847
52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9 1978
523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우선순위만 잘 알아도 합격합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27
5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 2391
5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2068
52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2131
51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9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2 2277
518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108
51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190
516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1)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735
51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7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467
51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2 2484
513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교육컨설팅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545
5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066
511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재외국민 특례 방심하지 말고 미리 준비하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104
510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울어야 얻는다'…당당히 요구해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580
5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881
50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용 서명 전에 연봉·복리 조건 협상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539
50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061
506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최종 승부는 프로의 열정…나를 판매하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059
50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1915
504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지원 회사·일자리 완전히 알고 가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117
5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596
50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막강한 추천인 한 마디…입사 당락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052
5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오퍼튜너티 - 긴 탐사여정을 마치고 영원히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61
50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홍산(훙산) 문화(기원전 6,000년 ~ 기원전 800년)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170
499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인터뷰하고 싶게 짧고 강렬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3 1940
49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홍산(훙산) 문화(기원전 6,000년 ~ 기원전 800년)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3 3451
49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70
496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이력서 심사 30초면 결판…첫눈에 들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459
49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696
494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입사 1차 관문 통과, 이력서가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519
49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526
49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핵심 사이트 몇 개면 취업정보 얻는 데 충분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3236
4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893
49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짜가 아닌 가짜뉴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443
489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유명 기업보다 내가 필요한 회사 찾아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280
4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과 국학(국어, 한국사) 운동의 전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616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