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리학의 전래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리학의 전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10-18 09:03 조회3,015회 댓글0건

본문

 

 

 

a5a6f2c234fc7dc21fb43e035be8aaf6_1539878568_7244.jpg
* 안향(1243~1306) : 한국 성리학의 시조

 

고려 후기(14세기 후반) 홍건적과 왜구의 침략, 명의 압력 등으로 인한 대외적 모순과 농장의 확대와 불교 교단의 폐해, 민생의 피폐 등으로 인한 대내적 모순을 극복하면서 성장하였던 신진 사대부는 불교에 대항하는 개혁 사상으로서 성리학을 수용하였다.

 

- 신진 사대부 : 고려 말에 등장한 새로운 정치 세력. 신진 사대부는 고려 무신 정권 때부터 중앙에 진출하였지만, 13세기 말 충선왕과 공민왕의 개혁 정치를 통해 본격적으로 중앙 정계에 등장하였다. 지방의 중소 지주인 향리의 자제들로, 고려 후기에 성리학을 수용하고 과거를 통하여 중앙 정치로 진출하였다. 이들은 학문적 교양뿐만 아니라 정치적 실무 능력도 갖춘 학자적 관료로서, 친원적이고, 친불교적인 권문세족과 정치적으로 대립하였다. 결국 고려 말에 이르러 이성계를 중심으로 새로 등장한 신흥 무인 세력과 결합하여 권문세족을 누르고 조선 왕조를 개국하였다.

 

성리학은 중국의 송에서 당시 광범위하게 유행하였던 불교와 도교를 철학적으로 극복하고 성립한 새로운 유학이었다. 보편적이고 불변적인 ‘이’(만물의 이치·원리·질서)와 현상적이고 가변적인 ‘기’(활동하는 힘. 또는 뻗어 나가는 기운)로써 우주의 생성 ․ 변화를 설명하는 이기론은 자연과 인간 ․ 사회를 설명하는 성리학 전체의 기본 이론이었다. 

 

이러한 이기론을 바탕에 두고 인간의 심성을 설명한 인성론과 도덕적 실천 방법을 설명한 수양론이 체계화되었다. 인간의 본성이 곧 ‘이’라는 ‘성즉리’와 보편적 진리인 ‘이’는 지적인 탐구와 수양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다는 ‘거경궁리’가 그것이다. 그리고 인욕을 제거하고 천리를 보존함으로써(재천리거인욕) 성리학의 이상을 현실 사회에 구현하는 방법이 ‘예’였다. 여기에 여러 정치 ․ 사회 ․ 경제 정책들이 성리학의 기본 이념에 입각하여 구체화되었다. 

 

이를 보면 성리학이 단순한 형이상학적인 철학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 ․ 사회의 모든 분야를 일관되게 설명하려는 종합적인 사상 체계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말하자면 현대 사회의 모든 분야를 규정하고 영향을 미치는 자본주의처럼 중세 사회의 모든 분야를 규정하고 영향을 미치는 이데올로기, 즉 지배 사상인 것이다. 따라서 고려 말~조선 초 지배 사상이 불교에서 성리학으로 바뀐 것은 사상사적인 발전을 의미하며, 이는 이 시기에 이루어진 중세 사회의 재편에 조응(원인에 따라서 결과가 생김)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고려에 성리학을 처음 소개한 사람은 충렬왕(1274~1308) 때 안향이었는데 그는 원나라에 가 처음으로 「주자전서」를 보고 손수 그 책을 베끼고 또 공자와 주자의 진상을 그려 가지고 돌아와 성리학을 강구(좋은 대책과 방법을 연구함)하였다고 한다. 그 후 백이정이 원에 유학 가서 성리학을 배우고 성리서를 많이 구해 가지고 와 학계에 전파하였으며 이제현과 박충좌가 그에게서 배웠다. 이제현은 충선왕(1308~1313)이 원의 수도에 설립한 만권당에서 원의 학자들과 교류하면서 남송의 주자 성리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으며 귀국한 뒤 이색에게 영향을 주었다. 이색은 공민왕(1351~1374) 때 성균대사성 등을 역임하며 성리학의 보급과 국학의 진흥에 기여하였으며 정몽주 ․ 권근 ․ 정도전 등의 문인을 길러 냈다. 정몽주는 ‘동방 이학(성리학)의 조(시조)’라는 칭호를 받기도 하였다. 

 

원으로부터 고려 사회에 도입된 성리학은 주로 북방의 한인 유학자들이 남송의 성리학을 수용해 관학화한 것이었으나 성리학에 대한 수요가 중가하면서 남송의 주자 성리학 그 자체와 주자 ․ 육상산을 절충한 학문 등 다양한 사상들이 들어왔다. 

 

이처럼 다양한 사상 조류들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신진 사대부 사이에 입장의 차이가 나타난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것이었다. 이들의 차이는 이색 ․ 정몽주 등의 온건 개혁파와 정도전 ․ 조준 등의 급진 개혁파의 대립으로까지 발전하였으며 전제(논밭에 관한 제도)개혁과 조선의 건국 등을 둘러싸고 첨예하게 대립하였다. 결국 각자가 처한 사회 경제적 기반과 사상적 차이가 당시 사회 모순을 해결하는 방법에 차이를 가져왔던 것이다. 

 

같은 중소 지주이지만 급진 개혁파에 비해 사회 경제적 기반이 나았던 온건 개혁파의 사상은 「춘추」를 중시하였으며 인간의 본성과 성리학 본연의 왕도(인덕을 근본으로 다스리는 도리)에 충실하였다. 따라서 고려의 지배 체제는 그대로 둔 채 제도 운영상의 문제점만 개혁하자는 입장이었다.

 

반면 온건 개혁파에 비해 사회 경제적 기반이 약하고 신분상으로 하자가 있는 경우가 적지 않았던 급진 개혁파의 사상은 「주례」를 중시하였으며 제도 개혁과 왕도 ․ 패도(도리에 어긋남)의 조화를 추구하였다. 때문에 고려 말의 사회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려의 지배 체제를 근본적으로 개혁하고 나아가 역성혁명(왕조가 바뀌는 일)론에 입각해 왕조도 바꿀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 조선의 건국은 바로 이들(급진 개혁파)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 춘추 : 기원전 5세기 초에 공자가 엮은 것으로 알려진 중국의 사서. 춘추시대(기원전 770~기원전 403) 노의 은공 원년(기원전 722)부터 애공 14년(기원전 481)까지의 사적을 연대순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유학에서 오경(시경, 서경, 역경, 예기, 춘추))의 하나로 여겨진다.

 

- 주례 : 주 왕실의 관직 제도와 전국 시대(기원전 403~기원전 221) 각 국의 제도를 기록한 책으로, 후대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관직 제도의 기준이 되었다. 전한(기원전 206~기원후 8) 말에 이르러 경전에 포함되면서 예경에 속한다고 ‘주례’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8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4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957
543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잔소리를 참는 부모 vs 잔소리를 할 필요가 없는 부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1956
54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식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르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1956
541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951
54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화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1951
53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42억 8000만년 된 미생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947
53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1947
53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서봉총 금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1944
53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타인의 인정이 가치판단의 기준이 되도록 만드는 교육의 문제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943
53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1937
534 아이와 눈높이를 맞춘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1936
533 [민 박사의 자녀교육 길라잡이] 수학 공부, '왜' 하고 '어떻게' 할까 -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1934
53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인공지능의 번역능력과 인간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930
53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에 있어서 이 칼럼의 용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0 1928
53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창덕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928
529 [CELPIP의 모든 것] “평이한 ‘리스닝’, 인터뷰 아닌 반복훈련으로 준비하는 ‘스피킹'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4 1923
528 [과학 이야기] 황금 비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7 1920
52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1920
52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3 1918
525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사고력 키우기 (행동으로 옮기기 전에 생각하는 훈련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1917
5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10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1915
5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루 문(Blue Moon)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 1913
5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9 1913
52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로제타 프로젝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1911
520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특강] 좋은 글쓰기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4 1907
519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새로운 물건을 사고 싶어 하는 아이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1907
51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 1905
51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덜 익은 햄버거의 용혈성 요독 증후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1904
51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박사방 사건과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1902
51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6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1901
51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코딩 교육(Coding Education)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3 1898
513 기억에 대한 불편한 진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1897
512 [공부의 주제를 선택하는 방법]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답을 찾는 훈련을 할 수 있는 공부의 주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897
51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1897
51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나만의 세상에 빠져 사는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 1896
50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방법을 바탕으로 자녀 등 학생을 가르치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5 1893
50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1887
50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1886
50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베누' 소행성에 대한 연구를 위한 탐사선 발사 계획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 1885
50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쉽지만 쉽지 않은 영재의 두뇌능력, 그 이유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1882
504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인터뷰하고 싶게 짧고 강렬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3 1882
5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무어의 법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1881
50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호기심이 줄어드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1881
50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천마도와 천마총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1880
50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세계의 바둑 대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3 1879
49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1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0 1873
49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정신문화와 물질문화의 균형을 이룬 실학 댓글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873
49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를 공부에 활용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1867
49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총 정리 – 1단계,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훈련 + 5감을 바탕으로 지식을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1867
49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사고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 1867
494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부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866
49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깨닫는 것’ -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866
492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대학과 사회를 위한 도구로서의 나 vs 내 삶을 위한 도구로서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862
49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올해 최고의 과학 업적들, 무엇이 있을까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1860
490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답을 찾아 헤매는 방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1859
48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키시니, 그 장대한 여정의 마지막을 불사르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858
48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추워도 너무 추운 밴쿠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857
48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 1856
48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6 1855
485 [김바울의 교육칼럼] 아이엘츠 리딩 시작하시는 분들 위한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1852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