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2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2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9-10-16 12:44 조회1,871회 댓글0건

본문

면앙정 

35098584c3cf6d468a371d944bc21e04_1571255079_3678.JPG 

 

 

건물 자체는 간소하지만역사적 의의가 크기에 1972년에 전라남도 기념물 제6호로 지정되었다면앙정은 정면 3칸에 측면 2칸의 규모인데가운데 한 칸짜리 방이 있고 빙 둘러 사방에 마루가 깔려 있어 주변의 자연을 안아 들인다여기서 바라보는 전망의 중심은 정자 뒤편에 있다저 멀리 아련히 이어지는 산줄기들과 언덕 아래에 뚝 떨어져 깔린 평야그 위로 시원하게 트인 하늘이내다보는 사람의 마음을 활달하게 한다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국문학사(가사 문학)에서 빼어난 발자국을 남긴 면앙정 송순(1493~1582)이 고향 마을인 담양군 봉산면 제월리 뒷산 제월봉 언덕 위에 지은 정자이다면앙정은 정자의 이름이면서 송순의 호이기도 하다면앙이란 땅을 내려다보고 하늘을 쳐다본다는 뜻으로아무런 사심이나 꾸밈이 없는 너르고 당당한 경지를 바라는 송순의 마음을 여기에서 읽을 수 있다.

 

굽어보니 땅이요 우러르니 하늘이라그 사이에 정자를 짓고 호연지기를 키우며 인생을 보내리라” 그의 호방한 기품이 엿보이는 면앙정을 지은 것은 송순의 나이 41세 되던 조선 중종 28(1533)에 해당한다젊어서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아갔던 그는 당시 조정에서 훈구파 김안로 일파가 세력을 잡자 고향으로 돌아와 뒷산에 소박한 정자를 짓고 시를 읊으며 지냈다. 3년여 은거하던 송순은 김안로 일파가 실각하자 다시 조정에 나아가몇 차례의 부침을 겪으면서도 77세에 의정부 우참찬에 이르기까지 관직 생활을 했다마침내 관직을 은퇴한 그는 91세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온전히 면앙정에 머물며 유유자적하는 가운데 많은 가사를 남겼다또한이황백광훈김인후임형수박우정만종송세형임억령고경명정철임제김성원기대승박순소세양윤두수양산보(송순의 외종형), 노진 등이 좋은 경치와 노학자를 찾아 이곳을 드나들며 시 짓기를 배우고 즐겨이곳은 호남 제일의 가단(노래를 잘 부르거나 잘 짓는 사람들의 모임)을 이루었다. 

 

원래 이 면앙정 터에는 곽씨 성을 가진 사람이 살았다어느 날 금붕어와 옥대(벼슬아치들이 허리에 두르는 대)를 두른 선비들이 제월봉의 언덕에서 노니는 꿈을 꾼다그는 자기 아들이 벼슬을 할 것이라 여겨 공부를 시켰지만뜻대로 되지도 않고 집안마저 가난해졌다곽 씨는 결국자신의 꿈이 헛된 것이라는 것을 알고 이곳의 나무를 다 베어 버리고 다른 곳으로 이사를 하였고송순이 그 터를 사 놓았다가 나중에 정자를 지었다뒷날 이곳이 소위 면앙정가 단을 이루어 허다한 학자가객시인들의 창작 산실이자 휴식처가 된 것을 보면곽씨가 해몽은 틀렸지만 꿈은 제대로 꾸었던가 보다.

면앙정 송순은 욕심이 없고 관대하며 유순한 학자로 기록된다벼슬살이를 한 전 생애 동안 그 수많았던 정쟁의 와중에도 연루되지 않고 순탄하게 관직을 수행했다는 사실을 보더라도 그렇다그가 과거에 급제한 27살부터 60년이 되는 회방 잔치(급제 60주년 기념잔치)에서 당시 내로라하는 학자들인 송강 정철백호 임제제봉 고경명 등이 그를 가마에 태우고 집으로 모셔다드린 것은 정말 당시 선비로서는 상상하기 힘든 일이었다.

 

훗날 정조대왕은 호남지역을 대상으로 한 과거시험에서 이 일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를 쓰라는 문제를 과거시험 문제로 내었을 정도였다그 자랑스러운 일이 면앙정의 오른편 현판에 정조대왕 어제로 걸려 있다.

 

정자 안에는 퇴계 이황과 하서 김인후의 시고봉 기대승의 면앙정기백호 임제의 면앙정부석천 임억령이 면앙정에서 바라보는 30가지 좋은 경치를 노래한 면앙정 30그리고 송순 자신의 면앙정 삼언시」 등이 판각되어 걸려 있다송순은 60세 때 정자를 증축하고는 하늘을 쳐다보기도 하고 땅을 내려다보기도 하며 바람을 쐬면서 남은 생애를 보내게 되었으니 나의 본래 원하던 바가 이제야 이루어졌다라고 기뻐하며 기대승과 임제에 면앙정기와 면앙정부를 부탁했었다.
 

임제(1549~1587) : 황진이의 무덤을 찾아 술을 한잔 부어놓고 읊은 시조 한 수로 파직당한 방외인으로 풍류가객이었다.

 

청초 우거진 골에 자는가? 누었는가?

 홍안은 어디 두고 백골만 묻혔는가

 잔 잡아 권할 이 없으니 그를 슬퍼하노라

                                                                                                                                                               <백호 임제>


송순의 면앙정가는 정극인의 상춘곡과 더불어 호남 가사 문학의 원류가 될뿐더러 내용형식가풍 등에서 정철의 성산별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정자 앞과 뒤에 선 큰 참나무 두 그루는 송순이 정자를 지은 후 기념으로 심은 것이라 전해지며제월봉 정상 쪽으로 100m쯤 간 곳에는 송순의 무덤이 있다.

“10년을 경영하여 초가삼간 지어내니 달 한 칸나 한 칸에 청풍 한 칸 맡겨두고 강산은 들일 데 없으니 둘러두고 보리라.”

송순이 만년에 면앙정을 두고 읊었다고 전해지는 이 시에는 우리 민족의 자연주의적 정원관이 잘 나타나 있다.

 

굽어보니 땅이요

우러르니 하늘이라

그 가운데 정자를 지었으니

호언 지기의 흥이 나는구나!

바람과 달을 맞아들이고

산빛과 냇물도 맞아들이자

지팡이 짚은들 무슨 흠이 되겠는가?

한 세상 멋지게 보내면 그만이지!”

<면앙정 삼언시>

 

꽃이 진다고 새들아 슬허마라

바람에 흩 날리는 꽃의 탓 아니로다

가느라 희짓는 봄을 새와 무삼하리오.“

 

*을사사화에 많은 선비들이 죽어간 것을 슬퍼하여 지은 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9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84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대학과 사회를 위한 도구로서의 나 vs 내 삶을 위한 도구로서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880
48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1879
48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깨닫는 것’ -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877
48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올해 최고의 과학 업적들, 무엇이 있을까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1876
48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루어 나가는 두뇌능력을 소유한 지도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2 1876
47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 1874
47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해저 광 케이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4 1872
열람중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6 1872
47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훈련과정 보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1868
47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Deep Impact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1868
47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일어난 감정이 표출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1867
473 [Jay의 재미있는 도서관 이야기] 3D 프린터와 스캐너의 신기한 세계, 코퀴틀람 도서관에서 만나요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 1867
472 [김바울의 교육칼럼] 아이엘츠 리딩 고득점을 원하는분들을 위한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1864
471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네가 알아서 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1864
4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863
469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특례, 수시 전문 입시컨설팅 그룹 리사운드입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862
46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어떻게 하면 수학, 과학을 잘 할 수 있을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1860
467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 고교 재학생이라면 이것부터 알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1856
46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문으로 세상을 보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1854
465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3 1854
46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운현궁 – 조선말, 왕실문화를 거닐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851
46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빈디시 연구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1845
46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상 현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5 1844
46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후삼국시대-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1843
46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을 배우는 공부는 생각이 필요가 없어 사고력을 늘리지 못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1842
45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3. 익산 미륵사지 석탑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841
45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명령하는 부모와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1841
457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객관식, 주관식, 논술, 그리고 자녀교육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840
456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자녀를 대할 때 감정을 배제하기 어려운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1838
45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관절 꺽기' 연구를 왜 할까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1 1837
454 토의 vs 논쟁 (토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1836
45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도자의 자격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2 1836
45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나라 안의 나라, 개항장 인천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 1836
45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공부의 원동력 = 호기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1833
45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깨달음’은 내 안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832
44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감정 조절과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6 1831
44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1831
447 [과학 이야기] 기억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1 1830
44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 1827
44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를 마음대로 내리게 할 수 있다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827
4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빠, 자동차 바퀴는 왜 전부 까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9 1824
44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쁨과 행복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5 1818
44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가진 지식의 양이 많아야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는 건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9 1817
44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유방암 진단을 위한 맘모그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1816
44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아버지를 아버지라고 부르지 못한 노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1816
43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메르스 증후군(MERS), 제대로 알아보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4 1815
43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나라 안의 나라, 개항장 인천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1809
43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4 1799
436 [CELPIP의 모든 것] 영주권 ㆍ시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1799
43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총 정리 – 1단계,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훈련 + 5감을 바탕으로 지식을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1798
434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798
433 [과학 이야기] 2016년 노벨 생리의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1797
43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7 1795
43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많은 사회문제는 교육이 그 시작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1789
43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합성어 쪼개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1787
42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 1784
428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방법을 익히는 방법이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1778
42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식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르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 1764
426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14) - 사회문제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1763
42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과 동물의 삶은 다르지 않다?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3 1761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