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와 두뇌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발달한다!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6월 2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와 두뇌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발달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4-06-21 13:06 조회35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와 두뇌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발달한다!


◆ 추상적인 개념은 정의를 내리기 어려운 게 사실인데, 왜 인간은 추상적 개념을 만들어 낸 걸까요?


- 언어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추상적 개념이 만들어졌다고 생각해요.


◆ 언어가 발달하는 과정이요? 조금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 해 주시겠어요?


- 언어는 사회성을 기반으로 발달해요. 그래서 자폐와 같이 사회성이 부족한 사람의 경우 언어 발달이 느리죠. 


◆ 그건 알겠어요. 그런데 추상적 개념과 언어 발달이 어떤 관계죠?


- 앞서 언어와 신호의 차이에 대한 이야기 기억나세요?


◆ 예. 배운 것을 단순히 반복하는 건 신호라고 하셨죠. 생각을 가지고 단어를 조합해 문장을 만들었을 때 비로소 언어가 된다고도 했고요. 하지만 사회성 이야기는 없었던 것 같은데요.


- 사회성이 뜻하는 바가 무엇일까요? 어떤 현상을 사회성이라고 이야기하죠?


◆ 아이들의 경우 서로 어울려서 노는 것이고 또 성인이라면 함께 만나 취미 활동도하고 직장 생활도 하는 것 아닌가요? 친구와 가족도 여기에 포함되고요.


- 사회생활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신경을 쓰는 부분은요? 


◆ 서로 어울려 살아가야 하니까 상대를 배려하고 또 내가 힘들 때 도움을 얻는 등이 아닐까요? 갈등이 생기지 않게 접근하는 사람들을 사회성이 좋다고 하는 걸로 보이거든요. 


- 그러면 사회성이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의 차이는 뭘까요?


◆ 글쎄요? 타고난 성격 아닐까요?


- 물론 유전적 요소에서 오는 부분도 있어요. 하지만 인간이 두뇌를 가지고 태어난 이유는 이런 유전적 요소에 머물지 않고 능동적으로 자신을 변화시키기 위함이죠. 성격도 바꿀 수 있는 것이 두뇌 능력이고요. 그러니까 단순히 성격이라고 볼 수는 없겠죠?


◆ 예전에 어떤 사람이 성격은 바꿀 수 없다는 취지로 이야기하던데, 꼭 그렇지는 않은가보군요. 


- 성격을 바꿀 수 없다고 이야기하는 사람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두뇌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 모르기 때문에 그냥 생각 없이 떠드는 사람이라고 보면 될 것 같아요.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고 단정해 놓으면 두뇌를 사용할 이유가 없으니까요. 그냥 개나 소처럼 주어진 대로 살아가면 되지 않겠어요?


◆ 그렇군요. 그러면 사회성을 결정하는 요소에 성격 말고 뭐가 더 있죠? 


- 친구와 갈등이 생기면 어떻게 하죠? 


◆ 갈등을 해결할 방법을 생각하죠.


- 그러면 어떤 생각을 어떻게 하나요?  


◆ 그야 친구가 내 말이나 행동을 이해할 수 있게 내가 왜 그랬는지 이유를 설명하는 방법이 있죠.


- 바로 그 점이 사회성을 통한 언어 발달의 핵심이에요. 


◆ 이유를 설명하는 거 말인가요?


- 예. 타인을 설득하기 위해 이유와 근거를 설명하는 거죠. 이 과정에서 추상적 개념이 만들어 져요.


◆ 예를 들면요? 


- 조선 초기 이방원이 왕에 오르기 전에 많은 사람들을 죽였다고 알려졌죠? 권력을 잡기 위해서요.


◆ 그렇죠. 


- 그런데 막상 취임식에서는 자신은 왕이 되고 싶은 생각이 없었는데 많은 사람들의 요청으로 수락할 수밖에 없었다는 취지로 이야기 했다죠?  


◆ 실제 벌어진 일과 말이 다르네요? 정치인들이 하는 말도 비슷한 경우가 있는 것 같아요. 국민을 위한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이득이 우선하는 경우도 있어 보이거든요. 


- 바로 이 부분이 추상적 개념의 시작이에요. 상대를 설득하기 위해서 정의나 정당성을 이야기하죠. 앞서 이방원의 경우도 자신이 왕이 되어야 한다는 정당한 이유를 만들기 위해 실제 자신이 한 일과는 반대로 이야기 한 셈이죠.


◆ 추상적 개념이 갈등의 해소나 자신이 한 일을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 낸 개념이라고 하셨는데, 함께 힘을 합쳐 나아가는 경우도 추상적 개념이 있는 것 아닌가요? 


- 물론 있죠. 희망과 같은 개념이 그 중 하나니까요. 하지만 함께 힘을 합쳐 나아가는 경우에는 추상적 개념이 많이 필요하지 않아요. 그래서 언어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죠. 


◆ 왜 그렇죠?


- 희망과 같은 개념이 있으면 사람들이 그것을 위해 스스로 뭉치니까요. 그러니까 공감대 형성이 쉽기 때문에 굳이 설명을 해서 사람들을 설득할 이유가 없거든요. 


◆ 그럴 수 있겠네요. 결국 언어와 두뇌의 발달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발달한다고 봐도 되는 건가요? 


- 예. 


◆ 충분히 이해는 가는데, 갈등이나 당면한 문제는 사람들의 삶을 힘들게 하는 것도 사실이잖아요. 힘들고 고통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단순히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으라고 주문한다고 해서 실제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 같거든요.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69건 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열람중 6월 2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와 두뇌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발달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36
68 6월 2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추상적이라는 의미는 정의를 내릴 수 없다는 듯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54
67 6월 1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영화를 보며 즐거워하면 두뇌는 퇴화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82
66 6월 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즐거운 삶을 위한 생각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204
65 5월 3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삶을 지치게 만드는 생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201
64 5월 2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서로가 서로를 길들이려는 사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177
6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랑에 눈이 머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253
62 5월 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하는 도구로서의 언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30 278
61 4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은 결과/결론이 정해졌을 때 일어나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477
60 3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역사적으로 탄압받은 질문 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439
59 1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 전달에 중점을 둔 교육으로는 보물을 찾을 수 없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425
58 1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을 자극하는 호기심과 사고력을 막는 호기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4 510
57 12월 2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동물의 두뇌 vs. 인간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477
56 12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으로 목표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463
55 9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접하는 도박의 맛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6 634
54 8월 1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의적 사고력을 막는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687
53 8월 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새로운 아이디어로 창의적 목표를 세우기 어려운 이유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9 664
52 7월 2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와 계획을 세우는 사고력은 가장 기본적인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635
5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지 않는 벽을 깨고 나오기 위해서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886
50 5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지 않는 유리벽에 갇힌 사람들의 특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837
49 5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 사회의 보이지 않는 벽은 사람의 머릿속에 존재할 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800
48 5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도전과 반항 그리고 사회의 양극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811
47 5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최고 지도자가 감정에 맡겨 결정을 내리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829
4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풀리지 않았던 문제가 해결될 때의 통쾌함, 어디서 올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765
4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부정적 감정으로 인한 감정의 소모는 삶을 지치게 하며 논리적인 사고 또한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709
4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고난과 고통의 삶을 벗어나 스스로 만들고 이루어가는 성취감과 행복이 있는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740
4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종속된 삶은 동물적 생존본능에 바탕을 둔 욕심에서 시작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754
4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독립된 삶’은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가장 큰 욕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807
4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종속되어가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785
4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키며 달을 보라고 가르치는데 달이 아닌 손가락을 본다고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885
3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길들여지는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3 845
3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권력자의 생존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 804
3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과 중독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993
3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를 이루고자 생각하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4 757
3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진주를 연결해 목걸이를 만들 듯 개념들을 연결하면 오래 기억할 수 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761
3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좋았던 기억보다 고생한 기억이 오래 남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898
3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의 핵심은 지식과 기술이 아니라 공부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828
3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움’과 ‘공부’는 두 가지 다른 개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842
3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를 세우는 방법이 사고력을 결정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767
3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천재들은 어떻게 천재적 두뇌능력을 발휘할 수 있을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873
2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운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는 것과 사고력은 완전히 다른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879
2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가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859
2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직접경험을 통해 배우는 공부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860
2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조적 사고의 기반, 이유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932
2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여 일을 하는 일꾼 vs. 결정되지 않은 미지의 세계를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7 878
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취업을 위한 교육에 열을 올리는 학교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846
2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발달에 장애가 되는 지식의 정확도를 묻는 시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931
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일반 대학과 직업기술에 초점을 둔 대학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984
2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를 위해 목표를 세우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971
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의 발달의 시작은 목표 지향적 사고로부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1024
1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내 두뇌에 존재하는 여러 다른 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929
1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아는 것이 정말 힘일까? (공부에는 독이 될 수 있는 ‘나는 알고 있다!’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953
1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최고의 두뇌와 경쟁할 수 있는 두뇌 능력을 키우는 공부 방법 (지식의 개념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927
1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를 향한 첫 걸음, 지식의 개념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1 970
1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의 재건축, 왜? 어떻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5 927
1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유와 근거로 지식의 재건축을 통한 기억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9 956
1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정서적 안정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074
1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해를 통해 지식을 배우는 과정에는 생각이 필요하지 않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 930
1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물질적 만족을 추구하는 사고와 정신적 만족을 추구하는 사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8 1131
1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초점을 둔 공부가 야기하는 사회문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1110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