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는 것과 공부는 완전히 다른 개념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6월 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는 것과 공부는 완전히 다른 개념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3-06-01 12:15 조회657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는 것과 공부는 완전히 다른 개념

   

◆ 보이지 않는 벽을 깨고 나오는 방법은 공부가 유일하다고 하셨고 공부 중에서도 지식에 초점을 두지 말고 스스로 공부하는 방법을 익혀야 한다고 하셨는데, 스스로 공부한다는 것은 무엇이며 어떻게 하는 것인가요? 

   

- 대답하기 전에 이렇게 질문해 보죠. 공부라고 하면 어떤 생각이 먼저 떠오르나요? 

   

◆ 학교 공부를 비롯해 모든 공부가 가르쳐 주는 것을 배워서 익히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봐요.

   

- 그것이 공부에 대한 사람들의 일반적인 생각이죠. 그러면 가르쳐 주는 사람이 하는 일은 뭘까요? 

   

◆ 무슨 질문인지 정확하게 이해하기 어려운데, 가르치는 사람도 가르칠 내용을 공부해서 가르치는 것 아닐까요? 

   

- 예. 가르치는 사람도 가르칠 내용을 공부해서 가르치죠. 그러면 배우는 사람은요? 어떻게 공부하는 것일까요? 

   

◆ 가르쳐 준 내용을 외우거나 습득하는 것 아닐까요? 

   

- 배운 내용을 외우거나 습득하는 것을 공부라고 할 수 있을까? 가르치는 사람이 가르칠 내용을 공부해서 가르친다고 봤을 때 외우거나 습득하는 선에서 끝이 날까요? 

   

◆ 글쎄요? 하나 더 추가하자면 배우는 사람들이 이해를 해야 하니까 내용을 알기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 그렇다면 가르치는 사람은 단순히 배우고 익히는 것은 아니라고 봐야겠죠? 

   

◆ 그런 것 같아요. 

   

- 여기서 공부를 하는 것과 배우는 것을 구분할 수 있는 요소를 찾을 수 있는 질문을 해 볼게요. 배우는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방법을 생각한다고 했는데, 여기서의 방법은 무엇일까요? 

   

◆ 그야 당연히 이해가 갈 수 있도록 이유나 근거를 연결하는 것 아닐까요? 예전에 학교 공부를 할 때에도 지식과 함께 왜 그러한 결과가 얻어졌는지에 대한 설명이 주어지면 머리에 쏙쏙 들어왔거든요. 

   

- 맞아요. 바로 지식이 얻어진 과정이나 이유를 함께 포함했을 때 지식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죠. 바로 이 점이 공부를 하는 것과 배우는 것의 차이에요. 공부한다는 것을 스스로 이유를 찾아가며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이라고 봤을 때 배운다는 것은 스스로 이유나 근거를 찾는 과정 없이 가르쳐 주는 내용을 단순히 습득하거나 외우는 것이라고 볼 수 있죠. 

   

◆ 그러면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자신만의 공부 방법도 이유나 근거를 찾는 방법을 스스로 찾았다는 뜻인가요?

   

- 맞아요. 그리고 방법을 찾았을 때 공부가 쉬워지죠. 단순히 배운 내용을 기억해서 사용하려고 하면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어요. 

   

◆ 예를 들면요? 

   

- 수학을 공부한고 했을 때 단순히 공식을 외워서 문제를 풀려고 하면 문제가 조금만 바뀌어도 풀기 어려워요. 하지만 공식이 왜 그렇게 만들어졌는지를 이해하고 공식을 적용하면 문제가 바뀌어도 상대적으로 쉽게 답을 찾을 수 있죠. 

   

◆ 그러면 잘 가르친다는 흔히 말하는 일타 강사와 같은 사람들은 공식이 왜 그렇게 만들어졌는지를 함께 가르치기 때문에 인기가 있다고 보이는데,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배우는 학생들로서는 스스로 공부하는 것이 아니니까 한계를 보여야 하는 것 아닌가요? 그러니까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한계요. 

   

- 물론 그렇게 볼 수 있죠. 하지만 일타 강사의 강의를 쉬지 않고 계속 들으면서 배워 익힌다면 어떨까요? 

   

◆ 상위권 성적을 유지할 수 있게 되나요? 

   

- 예. 가르쳐 주는 사람이 이유와 근거를 가지고 설명을 하면 배우는 사람이 쉽게 배우기도 하지만 그 기억도 오래 가죠. 그래서 의사, 변호사 등 많은 지식을 요구하는 분야에서 활동을 할 수도 있어요. 하지만 그 사람의 한계는 거기까지죠. 

   

◆ 무슨 뜻인가요? 

   

- 예를 들어 가르치는 사람은 이유와 근거를 가지고 쉽고 재미있게 지식을 전달하고, 학생은 그 내용을 충실하게 배워 의사가 되었다고 가정해 볼게요. 그러면 가진 지식이 많으니까 환자가 왔을 때 자신이 가진 지식에 부합하면 쉽고 빠르게 진단과 처방을 할 수 있어요. 하지만 만일 환자의 상태가 자신이 배운 지식과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어떨까요? 

   

◆ 글쎄요? 그러면 새로운 원인을 찾아야 하니까 공부를 해야 하는 것인가요? 

   

- 그렇죠. 그런데 일타 강사 또는 뛰어난 스승이 가르쳐주는 것을 충실히 배워서 면허를 받은 사람이 자신의 지식 밖의 문제에 대한 원인을 쉽게 찾을 수 있을까요? 

   

◆ 이제 조금 알 것 같아요. 그러니까 일타 강사나 뛰어나게 잘 가르치는 스승으로부터 지식을 배워 높은 성적을 받을 수는 있지만 스스로 공부하는 방법을 익히지 않으면 문제의 원인이나 이유 또는 근거를 찾기 어렵기 때문에 자신이 가진 지식의 범위를 벗어나는 문제가 생기면 외면하거나 회피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지요? 

   

- 예. 그러니까 스스로 공부하는 방법을 찾은 학생들의 경우 일타 강사의 수업을 통해 더 성장할 수 있겠지만 지식을 배워 익히는 학생들의 경우 오히려 독립적인 삶에서 멀어지게 된다는 거죠. 

   

◆ 그래서 아무리 세계 제일이라는 학교를 나와도 생각을 논리적으로 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는 건가요? 예를 들면 배웠다는 사람들이 범죄를 저지르던가, 최고의 대학을 나왔음에도 하는 짓은 멍청하다던가, 학벌 말고는 내세울 것이 없는 사람 등과 같은 경우들처럼 말이죠. 

   

- 예. 그래서 학벌이 곧 실력은 아니라고 사람들은 말하잖아요? 바로 이런 경우들이 배우는 것과 공부를 하는 것의 차이에서 오는 거죠. 

   

◆ 그렇다면 성적만으로는 공부를 한 학생과 배워서 익힌 학생을 구분하기는 어렵겠네요? 

   

- 맞아요. 그래서 글쓰기도 보고 면접도 보죠. 

   

◆ 하지만 글쓰기나 면접도 마찬가지로 방법을 일타 강사를 통해 배워서 익힐 수 있는 것 아닌가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6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6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네팔 대지진(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7 1488
663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수학 공부, 왜 그리고 어떻게? (3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 1500
662 민동필 박사, 자녀교육을 위한 안내서 영문판 제작 밴쿠버 중앙일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502
661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개념을 연결하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1505
660 [과학 이야기] 컴퓨터 하드 드라이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1506
65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7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1506
65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10월의 마지막 날 밤. 할로윈(Halloween)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1509
657 [CELPIP 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3 1513
65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인을 넘어선 지도자 2 (중도, 방법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1514
65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1517
65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영재는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으로 이룰 수 있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1519
65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1520
652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교과서, 시험,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521
651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 1523
650 생활 속의 자녀교육(36) – 자녀가 창의력을 늘릴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7 1525
649 생활 속의 자녀교육 (35) - 수학공부가 어려운 이유와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1 1526
64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을 발휘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1527
64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궁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527
64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호기심은 두뇌 발달의 시작, 하지만 답을 찾는 방법을 익히지 못하면 호기심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1 1528
64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공부에 미치는 영향 3 - 가르치는 사람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532
6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후쿠시마 유출물, 밴쿠버에 도착하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1533
64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7 1534
642 화성에 흐르는 소금 개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 1535
641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3 1536
640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 교육 특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2 1539
639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26) – 자유롭고 즐거운 삶을 향한 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1540
63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왕조실록, 세계 천문학계 보물됐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1548
637 화려하고 웅장한 성당 그리고 예수의 가르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1550
636 [과학 이야기] 케플러 우주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1552
635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진정한 삶의 자유와 즐거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1 1553
63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 두뇌에 대한 이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1556
63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5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1558
63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를 서술에서 배제하는 훈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1564
63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명대사(유정)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1570
630 [CELPIP의 모든 것] 영주권과 시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3 1570
629 빛의 성질에 관한 탐구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9 1571
628 [과학 이야기] 아홉번 째 행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1574
627 큰 인기 몰고 있는 ‘포켓몬 고(Pokemon GO)’ 스마트폰 게임, 혹시 들어보셨나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1575
626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속의 자녀교육- 대학교육의 이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575
62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자아를 완성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 1579
6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두뇌는 동물의 두뇌와 어떻게 다른가?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8 1584
623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배우는 사람 (아이들)의 이해력을 탓하는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1590
622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1610
62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기계화 되어가는 학생들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0 1612
6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경험보다 더 효과적인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 1613
61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도 (방법)은 결과가 아닌 사고의 과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2 1614
61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자녀교육, 불편한 진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1615
617 [CELPIP 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7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616
61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플루엔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1618
61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좋은 글쓰기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1621
614 [과학 이야기] 항균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1627
613 다이아몬드와 흑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1627
61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과 선택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1628
61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키우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629
610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음식, 편식,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1629
609 [ 민동필 교육 칼럼] 생활 속의 자녀교육 (13) - 진정한 의미의 지도자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 1633
60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과 동물의 삶은 다르지 않다?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1637
607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나무를 나무라고 부르는 이유 그리고 자녀교육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1639
60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물의 기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 1640
60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7 · 4 남북 공동 성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1640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