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 사용을 보면 두뇌가 보인다!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2월 1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 사용을 보면 두뇌가 보인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4-02-08 16:06 조회965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 사용을 보면 두뇌가 보인다!

   

◆ 지금까지 이야기를 정리해 보면, 새로운 지식을 배워 익히는 것은 언어 발달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 같고, 새로운 지식을 내가 스스로 찾아 낼 수 있어야 언어의 발달이 된다는 것으로 해석이 되는데, 언어 발달이 그렇게 어려운 것인가요? 

   

- 예. 어렵죠. 왜냐하면 언어의 발달은 두뇌 발달과 같으니까요. 앵무새가 사람의 말을 따라 한다고 해서 사람과 같은 사고력을 지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잖아요.

   

◆ 그러면 한 사람의 말을 보면 두뇌가 발달한 사람인지 아니면 두뇌 발달이 부족한지를 구분할 수 있나요? 

   

- 물론이죠. 다만 그 구분은 상대적이라는 것을 고려해야하고요. 

   

◆ 무슨 뜻인가요? 

   

- 비교할 대상이 없으면 발달을 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없잖아요.

   

◆ 그럴 수 있겠네요. 그러면 간단하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 하나 알려주실 수 있나요? 

   

- 정치인들을 예로 들어 볼까요? 

   

◆ 왜 하필 정치인인가요? 

   

- 공개적으로 말을 많이 하니까요. 

   

◆ 연예인들도 그렇지 않나요? 

   

- 연예인들은 멍석이 깔려 있는 상태에서 이야기를 하면서 사람들의 감정을 자극하니까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마음 놓고 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여요. 그리고 놀아도 깔려있는 멍석 안에서 놀아야 하니까 제약이 많죠. 예를 들면 여자 아이돌 같은 경우, 고객이 원하는 것이 섹시미면 그렇게 보이려고 옷도 야하게 입고 춤도 선정적으로 추잖아요. 그런 사람들에게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말을 들을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요? 

   

◆ 그렇게 따지면 정치인도 표를 얻어야 해서 투표를 할 사람들을 사로잡는 말을 하는 것 아닌가요? 

   

- 맞아요. 하지만 정치인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던가 새로운 프로젝트와 같은 것을 내 세워야 하기 때문에 멍석 안에서만 떠들 수는 없어요. 그래서 두뇌 발달 정도를 구분하기가 쉽고요. 

   

◆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데요?

   

- 가장 쉬운 방법이 사용하는 단어를 보는 방법이에요. 만일 사용하는 단어에 ‘국민을 위해서’, ‘경제를 위해서’ 또는 ‘새빨간 거짓입니다!’와 같은 말이 많은 반면 무엇이 왜 그런지 또 어떻게 할 것인지와 같은 설명이 빠져 있으면 이 사람은 앵무새 두뇌를 가졌다고 볼 수 있어요. 

   

◆ 왜 그런가요? 

   

- 자신의 주장 말고는 설명이 없잖아요. 한 정치인이 ‘새빨간 거짓입니다!’라고 말을 했다면 그 이유와 근거가 있어야 하는데 이유와 근거는 당사자만이 설명할 수 있는 내용이니까요. 그런데 그런 설명이 빠졌다면 이 사람은 자신이 무엇을 이야기 하는지 모르고 당장 당면한 문제를 벗어나기 위해 떠드는 것이니 빈 깡통 울리는 소리라고 봐야죠. 

   

◆ 그러니까 이유나 논리적인 설명이 있어야 두뇌가 발달한 사람이라는 뜻이군요. 앞서 라면을 끓이는 방법도 마찬가지로 내가 다르게 끓인 경우 ‘이렇게 끓이면 맛있다!’라는 말만 하는 것이 아니라 왜 이렇게 끓였을 때 맛이 있는지 설명이 들어가야 한다는 뜻과도 비슷한 것 같은데 맞나요?

   

- 예. 맞아요. 앵무새도 인간의 말을 따라 ‘새빨간 거짓입니다!’라고 외칠 수 있어요. 하지만 앵무새에게 설명을 바라지는 않잖아요. 

   

◆ 그러면 설명이 빠진 모든 말은 신뢰를 할 수 없다는 뜻이기도 한 것 같은데, 만약 이 사람들이 자신이 추구하는 것을 감추기 위한 것일 수도 있는 것 아닐까요? 예를 들어 국민을 위한다는 말로 포장하고 실제로는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경우요. 그러면 나름 두뇌가 발달한 것 아닌가요? 자신의 이익을 위해 포장을 하는 경우니까요. 

   

- 앞서 두뇌 발달 정도를 상대성에 비유했죠? 

   

◆ 예. 

   

- 물론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면서 포장을 위해 말을 할 수는 있어요. 하지만 이런 두뇌 능력은 어린아이들에게도 있어요. 

   

◆ 예를 들면요? 

   

- 아이들은 언어로 표현이 부족하기 때문에 감정으로 대신 표현하기는 하지만, 예를 들면 감정을 바꿔가면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을 때까지 시도하는 모습이죠. 처음에는 웃으면서 요구하다 다음에는 화를 내기도 하고 또 애원하기도 하는 등 감정을 변화시키면서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하는 경우가 있거든요. 그러니까 감정을 이용하는 거죠. 

   

◆ 감정을 이용해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하는 것과 언어를 이용해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는 것은 차이가 없다는 뜻이군요. 

   

- 예. 맞아요.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하는 과정에서 어떤 방법이 잘 먹히는지를 찾는 것은 동물의 두뇌 수준이거든요. 사자도 사냥할 때 작전이 있잖아요. 사자들이 사냥할 때 어떤 작전을 왜 쓰는지 모르고 본능적으로 움직이는 것과 같아요. 

   

◆ 논리적 설명이 없는 모든 말은 앵무새와 다르지 않다는 뜻인 것 같은데, 그 말을 믿고 따르는 국민은 뭐죠? 

   

- 사회를 이뤄 살아가는 동물들의 특징이 뭔지 아세요? 권력자가 정해지면 맹목적으로 따르는 거죠. 그러니까 설명 없이 주장만 하는 사람들을 따르는 사람들은 권력과 같은 것에 머리 숙이는, 그러니까 정신적으로 종속된 사람들이라고 볼 수 있어요. 

   

◆ 때로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따르는 경우도 있지 않을까요? 

   

- 물론이죠. 우두머리를 이용해서 자신의 이익을 챙기는 경우도 있죠. 이 경우 우두머리는 머리가 있는 부하에 의해 이용당하는 꼭두각시일 테고요. 

   

◆ 한 사람의 두뇌 발달 정도를 측정한다는 것이 조금 복잡한 것 같네요. 

   

- 그렇죠. 그래서 일단 두뇌 발달 정도는 권력, 재력, 또는 지식의 정도로 측정할 수 없고 그 사람의 말을 들어보면서 분석해 봐야 가능하다는 정도로 마무리 짓는 게 어떨까 하네요.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하면 두뇌와 언어를 체계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니까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86건 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86 11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괴로움의 두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415
985 11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천상천하 유아독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387
984 11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내 삶을 살지 못하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4 414
983 10월 2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은 판단을 내릴 때 유용하다. 하지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436
982 10월 1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업=본능’, 본능을 벗어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381
981 10월 1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업’은 본능적 욕구이자 고통의 씨앗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436
980 10월 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업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6 545
979 9월 2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훈육과 교육으로 자녀의 생각을 바꾸려는 부모와 교육기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579
978 9월 20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누워 침을 뱉으면서도 모르는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 582
977 9월 1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내 안의 벽을 허물 수 있는 사람은 오직 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647
976 9월 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을 바탕으로 한 판단에는 이유와 근거가 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507
975 8월 2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철학자는 생각하는 방법을 가진 사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9 566
974 8월 1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권력자의 의도에 따라 생각하는 능력을 잃어가는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683
973 8월 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해시켜 지식을 습득하도록 가르치는 교육은 배우는 사람의 두뇌를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660
972 8월 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가르쳐 주는 지식을 이해해 습득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7 679
971 7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 없이 맛있다고 음식을 먹는 행위는 돼지가 음식을 먹는 것과…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750
970 7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 발달에 도움이 되는 경험이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735
969 7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의 원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832
968 7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욕망을 채우기 위한 도전은 행복과 함께 허무함을 부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685
967 6월 2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와 두뇌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발달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654
966 6월 2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추상적이라는 의미는 정의를 내릴 수 없다는 듯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757
965 6월 1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영화를 보며 즐거워하면 두뇌는 퇴화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673
964 6월 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즐거운 삶을 위한 생각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870
963 5월 3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삶을 지치게 만드는 생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782
962 5월 2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서로가 서로를 길들이려는 사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769
961 5월 1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가스라이팅 당하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9 824
96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랑에 눈이 머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759
959 5월 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하는 도구로서의 언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30 843
958 4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신호 체계 발달을 촉진하는 감정과 사회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793
957 4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은 결과/결론이 정해졌을 때 일어나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989
956 4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을 가진 사람과 생각이 없는 사람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5 874
955 4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빈 깡통은 요란해서 사람의 시선을 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987
954 3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낚시? 그냥 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783
953 3월 2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공지능으로 인해 사라지는 직장, 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919
952 3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스턴트 지식, 인스턴트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938
951 3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의 정확도를 측정하는 시험의 의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9 964
950 3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역사적으로 탄압받은 질문 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928
949 2월 2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은 언어와 두뇌 발달의 핵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789
열람중 2월 1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 사용을 보면 두뇌가 보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966
947 2월 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 발달에서 지식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828
946 2월 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와 신호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798
945 1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의 진화 과정을 그대로 따라가며 발달하는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947
944 아이엘츠 제대로 공부하기/에세이를 쓰실때 유용한 표현들과 함께 라이팅 점수도 챙겨보세요~!!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6 877
943 1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 전달에 중점을 둔 교육으로는 보물을 찾을 수 없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1000
942 기초 영어 회화 <날씨와 관련된 필수 패턴> "지난 밤에 진눈깨비가 내렸어요." 를 영어로~~????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823
941 1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을 자극하는 호기심과 사고력을 막는 호기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4 1357
940 1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꿈을 이루기 위한 삶의 의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1117
939 12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높은 시험성적은 두뇌가 지식의 노예화가 되었다는 증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1 2201
938 <왕초보 영어회화>공손한 표현 "Would you like to~" 쉽게 쓰고 계신가요??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1 2116
937 12월 2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동물의 두뇌 vs. 인간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990
936 [헤럴드코퀴틀람] 아이엘츠 Writing 관련 빈출문제를 통한 문장 작성 방법~!! 라이팅 공부 중이시라면 …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999
935 12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은 눈에 보이지 않는 목표를 만들 수 있는 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1188
934 [아이엘츠IDP공식시험센터] 아이엘츠 기초반 수업에서 배우는 어휘! 사람의 외모 및 성격 관련 어휘,표현에 …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826
933 12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으로 목표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969
932 [헤럴드아카데미] 셀핍 Writing문제 답안작성 꿀팁!! 함께 풀어보세요???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1196
931 12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3 935
930 [아이엘츠공식시험센터]아이엘츠, 셀핍 시험을 준비중이시라면 꼭 필요한 어휘 시리즈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867
929 11월 2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고기를 잡아주기 보다는 고기를 잡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1077
928 [아이엘츠공식시험센터]아이엘츠를 준비중이라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필수 어휘 시리즈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810
927 11월 1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4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1083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