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글쓰기 능력'은 개인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글쓰기 능력'은 개인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05-21 12:04 조회1,346회 댓글0건

본문

좋은 글쓰기 1

 

여러 가지 공부 중에서도 글쓰기는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로 이야기합니다.

 

글을 잘 쓴다는 것이 무엇을 뜻하기에 왜 이렇게도 사람들은 중요하게 생각할까요?

 

자기 소개서, 수필, 소설, 감상문, 일기 등등 참으로 많은 종류의 글쓰기가 있습니다. 도대체 무엇을 얻고자 글을 쓰고 또한 글을 쓴다는 것이 왜 이렇게 힘들고 어려운 것일까요.

 

짧은 글로 모든 것을 설명할 수는 없겠지만 이번 칼럼을 시작으로 3회에 걸쳐 글쓰기가 중요하게 여겨지는 이유와 자유롭고 재미있게 글을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지에 대해서 다루고자 합니다.

 

 

‘글’이란 무엇일까요?  ‘의견, 현상, 사건 등을 전하는 방법의 하나’라고 이야기 할 수 있겠죠? 

 

이러한 생각의 전달 방법에는 음악, 그림, 언어, 기호 등 많은 방법이 있는데 왜 ‘글’이라는 것이 가장 중요한 도구 중 하나로 받아 들여져 왔는지는 인류가 걸어온 길을 되짚어 보면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다른 동식물들과 마찬가지로 인류 또한 살아남기 위해 수많은 자연이 주는 시련을 견뎌야 했을 것입니다.

 

농사를 짓는 곳에서는 계절의 변화를 잘 알지 못하면 어려움이 많아 생존에 위협을 받았을 것이고 사냥이 주된 생존의 방식인 경우에는 동물들의 이동 시기나 사냥 장소 등이 생존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들이었을 것입니다.

 

때와 장소를 예측하는 것은 생존을 위해 꼭 익혀야 하는 것이었을 것이며 그 방법을 전달하는 것 또한 후손의 생존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았을 것입니다.

 

이러한 생존에 대한 절실함으로 인해 사람들은 때와 장소의 관찰을 통한 측정 방법을 꾸준히 발전시키면서 동시에 그 방법들을 전달할 수 있도록 기록하는 방법도 함께 발달시켜 왔을 것입니다.

 

생존의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도구의 하나인 기록은 결국 그것을 다루는 사람들을 사회 구성원들 중에서도 중요한 사람들로 인정 받을 수 있도록 했을 것이며 그렇기에 기록을 다루는 능력이 교육의 형태로 전해왔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입니다.

 

그런데 왜 그 많은 다양한 기록 방법 (그림, 노래 등)들 중 문자를 통한 기록 즉, 글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자리를 잡았을까요?

 

언어는 가장 보편화 생각의 전달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말로 생각을 전달하는 것이 그림이나 음악 등을 통해 전달하는 것보다 효율적인 경우가 더 많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문자를 통한 기록은 언어를 그대로 옮겨 놓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양한 언어 표현을 문자의 형태로 기록하면 다른 방법들 보다 더 정확하게 생각을 전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문자는 많은 의사 전달 방법들 중 가장 중요하면서도 효율적인 도구로 자리를 잡게 되었을 것이고 또 지금까지도 그 자리를 킬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렇게‘중요한 의사 전달 방법’인 글이 사람들의 삶 속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요?

 

언어 사용 능력이 사회 계층 속 개인 위치를 정하는데 비중 있는 역할

‘말’이라는 도구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사람들은 사회에서 그렇지 못한 사람들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지위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언어의 사용 능력이 사회 계층 속에서 개인의 위치를 정하는데 비중 있는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문자를 통한 표현은 말을 통한 표현 보다 좀 더 까다로운 면을 가지고 있고 그렇기에 말 보다 높은 비중으로 다뤄집니다.

 

말은 녹음을 하지 않으면 증거가 남지 않고 한 마디로 언제든 뒤집을 수도 있고 흔히 이야기 하는 말장난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한 번 쓰여진 글은 되돌릴 수 없습니다.

 

편지를 써서 보내고 나면 그 편지의 내용은 바꿀 수 없다는 것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겠죠? 그런데 단지 바꿀 수 없기에 글을 쓰기가 까다로운 것일까요?

 

글쓰기가 까다로운 이유는 읽는 사람에게 충분한 시간이 주어진다는 것에 있습니다.

 

글을 읽는 사람은 시간을 두고 글을 분석하면서 읽을 수 있습니다.

 

읽는 동안 동의하는 부분, 동의하지 않는 부분 등 쓰여진 글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그 논리를 바탕으로 글을 쓴 사람에게 박수를 보내거나 비판과 질타를 하는 경우들이 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글로 자신의 생각을 남겼을 때 그리고 그 글에 대해 사회 구성원들이 비판보다는 박수를 보낼 때, 그 사람은 사회 계층 속에서 상위를 차지할 확률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말은 반대로 한 개인이 사회에서 상위계층에 속하기를 원한다면, 글을 통해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하고 또 그 글의 타당성을 사회 구성원들로부터 인정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뜻하기도 합니다.

 

대체 문자를 통한 기록 즉, 글이라는 것이 글을 쓴 사람의 무엇을 반영하기에 이토록 사회에서 그 사람의 위치까지도 결정할 수 있는 것일까요?

 

글은 그 사람이 전달하고자 하는 생각을 표현하는 도구이며 글 속에는 글 쓴 사람이 무엇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가 그대로 담겨 있습니다.

 

‘무엇을, 어떻게’ 이 두 의문사는 6하 원칙의 논리적 사고를 이루는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글이라고 하는 것은 저자의 논리적 사고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논리적 사고는 당사자의 두뇌 사용 능력을 반영한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학교는 학교대로 사회는 사회대로 글쓰기 능력을 바탕으로 개인을 평가하고 그 평가를 통해 사회 속의 계급을 정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상위 계급으로 올라가는 방법의 하나로 사람들은 책을 많이 읽고 사회 또한 책을 많이 읽으라고 권합니다. 가끔은 힘들어도 글을 쓰는 법을 익혀야 하고 가끔은 읽기 싫어도 책을 읽으라고 보이지 않게 강요당하기도 합니다.

 

글의 역사는 생존을 위한 기록의 중요성에 바탕을 두고 인류와 함께 시작된 것이기에 지금도 글쓰기(기록) 능력이 개인의 능력 평가 기준의 큰 부분으로 남아있는 것은 당연하고 쉽게 바뀔 수 없는 부분일 것입니다.

 

계급 사회에 속해 사는 구성원으로서 상위 계급에 속하기를 바라는 사람들에게 글쓰기는 피해가기 힘든 관문으로 여전히 존재할 것입니다. 이러한 사회 속에서 도태되지 않고 살아가기 위해서는 글을 잘 쓰되 자유롭고 즐겁게 써야 합니다. 또한 사회 구성원들에게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글을 쓸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글쓰기는 2, 3, 4편에서 계속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mdp.gif
글/민동필 박사
 
 

저자소개

 

민동필 박사는 미 워싱턴 주립대에서 생화학 박사 학위를 받고 코넬대학의 의대인 웨일의과대학에서 박사 후 과정을 마쳤다. 이후 컬럼비아대학에서 연구원, 캐나다 국립연구소 연구원을 거쳤고 지금은 밴쿠버에서 교육연구소 ‘PonderEd’ 를 운영하고 있다. 좋은 글쓰기’클래스 : 604-838-3467 / starlee07@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6건 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66 6월 2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추상적이라는 의미는 정의를 내릴 수 없다는 듯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22
965 6월 1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영화를 보며 즐거워하면 두뇌는 퇴화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56
964 6월 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즐거운 삶을 위한 생각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164
963 5월 3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삶을 지치게 만드는 생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163
962 5월 2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서로가 서로를 길들이려는 사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130
961 5월 1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가스라이팅 당하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9 278
96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랑에 눈이 머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229
959 5월 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하는 도구로서의 언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30 257
958 4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신호 체계 발달을 촉진하는 감정과 사회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305
957 4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은 결과/결론이 정해졌을 때 일어나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449
956 4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을 가진 사람과 생각이 없는 사람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5 374
955 4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빈 깡통은 요란해서 사람의 시선을 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399
954 3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낚시? 그냥 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38
953 3월 2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공지능으로 인해 사라지는 직장, 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431
952 3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스턴트 지식, 인스턴트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447
951 3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의 정확도를 측정하는 시험의 의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9 513
950 3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역사적으로 탄압받은 질문 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419
949 2월 2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은 언어와 두뇌 발달의 핵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393
948 2월 1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 사용을 보면 두뇌가 보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423
947 2월 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 발달에서 지식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351
946 2월 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와 신호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372
945 1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의 진화 과정을 그대로 따라가며 발달하는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439
944 아이엘츠 제대로 공부하기/에세이를 쓰실때 유용한 표현들과 함께 라이팅 점수도 챙겨보세요~!!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6 383
943 1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 전달에 중점을 둔 교육으로는 보물을 찾을 수 없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398
942 기초 영어 회화 <날씨와 관련된 필수 패턴> "지난 밤에 진눈깨비가 내렸어요." 를 영어로~~????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385
941 1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을 자극하는 호기심과 사고력을 막는 호기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4 484
940 1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꿈을 이루기 위한 삶의 의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398
939 12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높은 시험성적은 두뇌가 지식의 노예화가 되었다는 증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1 456
938 <왕초보 영어회화>공손한 표현 "Would you like to~" 쉽게 쓰고 계신가요??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1 374
937 12월 2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동물의 두뇌 vs. 인간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456
936 [헤럴드코퀴틀람] 아이엘츠 Writing 관련 빈출문제를 통한 문장 작성 방법~!! 라이팅 공부 중이시라면 …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406
935 12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은 눈에 보이지 않는 목표를 만들 수 있는 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596
934 [아이엘츠IDP공식시험센터] 아이엘츠 기초반 수업에서 배우는 어휘! 사람의 외모 및 성격 관련 어휘,표현에 …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365
933 12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으로 목표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438
932 [헤럴드아카데미] 셀핍 Writing문제 답안작성 꿀팁!! 함께 풀어보세요???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505
931 12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3 451
930 [아이엘츠공식시험센터]아이엘츠, 셀핍 시험을 준비중이시라면 꼭 필요한 어휘 시리즈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450
929 11월 2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고기를 잡아주기 보다는 고기를 잡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536
928 [아이엘츠공식시험센터]아이엘츠를 준비중이라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필수 어휘 시리즈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403
927 11월 1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4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519
926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432
925 11월 10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3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424
924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463
923 11월 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2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6 461
922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510
921 10월 2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1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542
920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511
919 10월 20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치매 (2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528
918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503
91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치매 (1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480
916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54.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526
915 10월 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든 인간은 천재성을 가지고 태어난다. 다만 사회가 천재성을 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559
914 [헤럴드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53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497
913 9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삶의 고통과 괴로움은 목표를 향해 달려가기 때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475
91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52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519
911 9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천재들의 아이디어를 판단할 수 없는 사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535
91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51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557
909 9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형태의 천재적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596
90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601
90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618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