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3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3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9-11-12 09:26 조회2,030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학교 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3

 

이 내용은 민동필 박사가 학생 또는 부모들로부터 받는 공부 방법, 두뇌의 발달 그리고 사고력을 키우는 방법 등에 관한 질문들에 답을 하는 내용입니다. 이와 비슷한 주제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는 분들은 min@PonderEd.ca로 연락주세요.

 

 

 

- 학교에서 배우는 지식과 내가 가진 지식의 차이를 가지고 공부를 재미있게 할 수 있고 또 공부의 효과도 늘린다고 하셨는데 어떻게 그게 가능한가요?

 

앞서 남다른 진료를 하는 의사들은 공부를 재미있어하고 또 스스로 찾아서 한다는 말 기억하세요?

 

- , 기억해요. 저는 공부를 재미있어 하는 것도 개인의 취향이라고 생각한다고도 말씀 드렸고요.

 

그 사람들은 왜 공부가 재미있을까요?

 

- 그걸 몰라서 지금 질문을 하고 있는 건데요. 저한테 물으세요?

 

그렇군요. 질문을 바꿔볼게요. 혹시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새로 구입하려 할 때 새로 구입하려는 제품들에 대해 공부하는 경우 지겹거나 싫다고 생각되는 경우가 얼마나 될까요?

 

- 싫었던 경우는 없었던 것 같아요. 어떤 것을 살지, 어떤 기능이 있는지 그리고 나에게 필요한 기능이 다 있는지 알아보는 과정이어서 즐겁고 시간가는 줄 모르고 찾았던 것 같아요.

 

그렇죠. 새것을 구입한다는 기대감이 일단 있고 그 기대감을 최대한 충족하기 위해 정보를 모으는 것이니 재미있고 시간가는 줄 모를 수 있죠. 보통은 결과물을 얻었을 때, 즉 성적이 오르거나 새것을 샀다는 결과가 있을 때 만족과 함께 즐거움을 느끼는데 결과를 아직 얻지 않았음에도 정보를 찾는 과정이 즐거울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글쎄요? 아까 말한 기대감 아닐까요?

 

성적이 오를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다고 해서 공부를 즐길 수는 있을까요?

 

- 그렇지는 않은 것 같아요.

 

답은 질문자가 이미 말 했어요. 앞서 물건을 사기 전 기능이나 종류 또는 나에게 적합한 것은 무엇인지 찾아본다고 했죠?

 

- , 그런데요?

 

기능이나 종류 등을 생각한다는 건 궁금해서 정보를 찾는다는 거라고 볼 수 있죠?

 

- 그렇죠. 새로운 기능은 어떤 것이 있는지 궁금하니까 찾아보는 거죠.

 

바로 그 점이예요. 내가 궁금한 것이 있으면 시키지 않아도 공부를 하게 되죠.

 

- 궁금한 것이 있으면 시키지 않아도 시간가는 줄 모르고 공부할 수 있다?

 

, 맞아요.

 

- 그러면 학교공부도 궁금한 것이 있는 학생들이 재미있어하면서 공부를 할 수 있다는 뜻인데, 궁금한 것을 가지고 학교에 가는 학생들은 많지 않을 것 같아요. 보통은 하기 싫은 공부 하러 간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은데 어떻게 궁금함을 품고, 그것도 학교에서 가르치는 주제에 대한 궁금함을 가지고 학교에 갈 수 있도록 하죠?

 

골프를 처음 배우는 사람이 처음부터 골프를 즐길 수 있을까요?

 

- 아니죠. 처음에는 기초를 닦아야하기 때문에 즐긴다기보다는 연습을 하죠.

 

공부도 마찬가지예요. 처음부터 궁금한 것을 가지고 공부를 시작할 수 있는 사람들은 몇 안 되죠. 그래서 공부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한 겁니다. 다른 어떤 것보다 우선해야하는 것이 바로 공부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죠.

 

- ‘사고의 전개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공부 방법을 말씀하시는 거군요.

 

, 하지만 그 공부 방법은 체계적인 훈련이 필요한 것이니까 여기서는 학교공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아주 간단한 예습과 복습하는 방법 하나를 알려드릴게요.

 

- 예습 복습하는 공부 방법이면 궁금함을 가지고하는 공부와는 다른 내용이 아닌가요?

 

아니요. 같아요. 제가 이야기하는 예습 복습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예습과 복습하고는 많이 달라요. 우선 예습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예습하는 방법은, 처음부터 궁금함을 가지고 학교에 갈 수 없으니까 강제로 궁금하도록 만드는 과정이에요. 순서대로 정리해볼게요.

 

우선 처음에 해야 할 것은 다음날 수업 내용을 확인해보는 겁니다. 예를 들어 과학시간 주제가 라고 한다면 책이나 참고서를 찾아 읽는 것이 아니라 비를 직접 관찰하는 거예요.

 

- 그러면 주제가 세계 2차 대전과 같은 것은 관찰을 할 수 없을 것 같은데 이런 주제들은 어떻게 다루죠?

 

그런 주제들은 다루기가 조금 복잡하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후에 밴쿠버 중앙일보와 제가 계획하고 있는 세미나에 참여하던가 아니면 수업을 들어야 가능해요. 수업을 듣는 것이 가장 확실하게 공부 방법에 대한 개념을 잡을 수 있는 방법이고요. 하지만 기초과정을 익히는 데에만 사람에 따라 적어도 2학기이상 걸릴 수 있어요.

 

- 그렇군요. 그러면 를 주제로 계속 이야기 해 주시겠어요?

 

그럴게요. 비를 관찰했으면 이제는 앞서 예를 든 것처럼 최대한 구체적으로 서술하는 거예요.

 

- , 앞에서 먹구름이 진하게 끼니까 비가 하늘에서 땅으로 떨어진다.’와 같은 서술을 말하는 거죠?

 

, 그래요. 서술까지 했으면 이제는 질문을 만들어요.

 

- 어떤 질문을 만들죠?

 

일단 쉬운 방법은 서술을 바탕으로 를 넣어 질문을 만드는 거예요. 예를 들면 먹구름은 왜 비를 만드는가?’ 또는 비는 왜 땅으로 떨어지나?’와 같은 질문을 만들어요.

 

- 그러니까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도록 만든다는 거로군요. 그러면 수업시간에 이런 질문들이 어떤 역할을 하나요?

 

 

55fcda937cee181a948a44bb02dec6fc_1573579586_0755.png

 

===================================================

민동필 박사는 미국 워싱턴주의 Washington State University에서 생화학/생물물리학 박사학위를 받고 뉴욕의 코넬대학 의과대학 (Weill Cornell Medical School)에서 박사 후 과정을 거쳤으며 콜럼비아 대학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있었다. 이후 캐나다로 이민 오면서 캐나다 국립 연구원에서 연구를 하며 동시에 혈우병 치료제에 관한 연구를 몬트리올에 위치한 콩코디아 대학의 겸임교수로 있으면서 진행했다. 이후 밴쿠버로 이주한 후 고기능 자폐아들의 교육을 위해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년간 진행해 왔고 그 결과 학생 및 일반인들이 할 수 있는 공부 방법으로 확장하여 최근 사고의 전개과정을 기반으로 한 교육이라는 새로운 공부 방법을 만들어 세상에 내어 놓았다. 새로운 공부 방법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http://www.PonderEd.ca 에서 볼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7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0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2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09
60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용? 중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 2109
60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원초적 본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106
601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인텔리들의 영어표현법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2104
60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실수는 발명의 어머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2102
5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파리기후협정이 뭐길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098
598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객관식, 주관식, 논술, 그리고 자녀교육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96
59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8 2092
5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2090
595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마지막회 – 개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086
59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084
59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084
59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지원 회사·일자리 완전히 알고 가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081
59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2079
59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078
589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076
58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2075
58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2073
5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068
58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사람 (특히 자녀들)을 무시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067
58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064
58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 2062
582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2060
58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 노벨 물리학상과 중성미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059
58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알파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059
579 [CELPIP의 모든 것] “재주는 캐나다가 부리고 돈은 영국이 챙기는 현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2055
57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앨런 머스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054
57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트레스로 인한 어지럼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051
57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도자의 자격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4 2046
575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재외국민 특례 방심하지 말고 미리 준비하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046
574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접근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2045
573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어휘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2044
57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년에 주목할 과학 이슈 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042
57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슈퍼 푸드 - '토마토'에 대한 모든 것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2041
5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041
56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의 사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2038
56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의 과정에서 필자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035
5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034
열람중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2031
56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름이나 지식에 얽매이면 사고력을 키울 수 없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027
564 [알기 쉽게 풀어 보는 한국사 수업] 추모(주몽)의 아들 온조가 세운 세운 백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26
56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 2026
56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경험보다 더 효과적인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 2025
561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최종 승부는 프로의 열정…나를 판매하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024
56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2024
559 자녀를 혼내야 하는 경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2022
55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2022
55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공부만큼 글쓰기가 어렵고 힘든데 왜 그런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2021
55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좋은 글쓰기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2019
55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018
5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017
55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2 2016
552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봉사활동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012
55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2011
55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이유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001
549 아이와 눈높이를 맞춘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1997
5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 역사상 가장 뛰어난 항해자(voyager)는 누구일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1993
54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식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르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1993
54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두뇌 구조와 기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992
54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타인의 인정이 가치판단의 기준이 되도록 만드는 교육의 문제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989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