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생(711년 ~ 791년)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생(711년 ~ 791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1-07-28 07:15 조회1,127회 댓글0건

본문



"김생은 부모가 한미하여 그 세계(世系)를 알 수 없다. 711년에 태어나 어려서부터 글씨를 잘 썼으며 평생토록 다른 기예를 전공하지 않았다. 나이가 80이 넘어서도 붓을 잡고 쉬지 않았는데, 예서와 행서, 초서가 모두 신의 경지였다. 지금도 가끔 그의 진적이 있어 학자들이 서로 전하여 보배로 여긴다.


고려 숙종 때 학사 홍관이 진봉사(進奉使)를 따라 송나라에 들어가 변경에 묵고 있었는데, 당시 한림대조였던 양구와 이혁이 황제의 칙명을 받들고 숙소에 와서 글씨와 그림 족자를 구하였다. 홍관이 김생이 쓴 행초 한 권을 보여주자 두 사람이 크게 놀라며 말하기를 '오늘 왕희지가 쓴 글씨를 보게 될 줄은 미처 몰랐다' 하였다. 홍관이 말하기를 '그게 아니라 이는 신라사람 김생이 쓴 것이다' 하였으나, 두 사람은 웃으면서 말하기를 '천하에 왕희지를 빼놓고 어찌 이런 신묘한 글씨가 있겠소.' 하면서 홍관이 여러 번 말하여도 끝내 믿지 않았다“

『삼국사기』 권48 열전 제8 김생조


 


남·북국시대의 서예가이다. 우리나라 역대의 명서가를 거론할 때 가장 먼저 거론되는 인물이다. 이는 김생의 필적이 지닌 예술적 가치와 함께 후대의 평자들로부터 극찬을 받아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서예사적 위상에도 불구하고 생애나 예술가로서의 활동을 알려주는 기록은 거의 없는 편이다.


 


고려의 문인 이인로가 '신라사람 김생은 용필이 신과 같아 초서도 아닌 듯 행서도 아닌 듯 매우 신기로우니 멀리 57종의 제가체세(諸家體勢)로부터 나왔다', '신라인 김생은 필법이 기묘하니 위, 진대 사람들이 발돋움하여 바라볼 수 없을 정도이다'라고 극찬한 것은 바로 김생이 옛 서예가들의 장점을 널리 취합하여 행서, 초서에서 뛰어난 기량을 발휘했다는 뜻일 것이다.


 


또 고려 말의 이규보는 우리나라 역대의 서예가를 품평하면서 김생을 '신품제일(神品第一)'로 극찬했고, 조선 초의 서거정은 '우리나라 글씨를 논한다면 김생이 제일이며 학사 요극일과 스님 탄연·영업이 그 다음인데, 모두 왕희지를 법으로 삼았다'고 추켜세웠던 것이다.


 


이러한 평가는 후대 문헌에서도 지속되었는데, 이들 기록에서 김생은 중국 명서가들의 고사에 비유되면서 높은 찬상을 받았다. 이처럼 고려·조선의 문인들로부터 찬상을 받으면서 김생은 마침내 우리나라 서예의 비조(鼻祖) 격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일례로 조선후기의 유명한 서예가 이광사는 '우리나라 필법은 신라 김생을 종주로 여기는데, 오늘날 그의 진적으로 전하는 예는 거의 없다. 그러나 탑본(搨本) 역시 기위(奇偉)하고 법이 있어 고려시대 이후의 사람들이 미칠 수 있는 바가 아니다'며 극찬했던 것이다.


 


이러한 평가는 김생의 뛰어난 자질과 꾸준한 노력 때문이겠지만, 한편으로 남·북국시대 신라 8세기라는 위대한 시대문화가 김생을 '동방의 서성(書聖)'으로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 시기에는 미술문화 전반에 걸쳐 삼국시대 이래의 유산을 기반으로 당나라의 선진문화를 수용하여 이를 신라의 토양 속에서 완성시켰던 것이다. 경주 석굴암의 불교조각이라든지 성덕대왕신종과 같은 뛰어난 금속공예품 등이 바로 이 시기에 이루어진 미술품이다. 서예 방면에서도 삼국시대 이래의 서예를 바탕으로 구양순, 저수량 등의 초당(初唐) 서풍을 널리 수용하고 왕희지 등의 고전적 행초풍이 풍미하면서 뛰어난 명품들이 산출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시대문화의 흐름 속에서 김생이 단연 독보적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그가 당시 유행했던 중국풍의 글씨를 외형적으로 답습하는 데 그치지 않고 변화로운 짜임과 활달한 운필로써 자신만의 독창적 경지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김생의 대표작 <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太子寺朗空大師白月栖雲塔碑)>가 바로 이러한 점을 잘 보여주는 예이다. <낭공대사비>는 신라의 고승 낭공대사의 행력을 적은 것으로 원래 경북 봉화군 하남면의 태자사(太子寺)에 세워졌으나, 언젠가 폐사된 뒤 조선 중종 때인 1509년 영천군 자민루(字民樓) 아래로 옮겨졌고, 1918년에 비신(碑身)만이 조선총독부박물관으로 옮겨져 경복궁 근정전 회랑에 두었다가 최근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었다.


 


그의 행적 또한 알 수 없으나, 『동국여지승람』충주목 불우조 김생사항(金生寺項)에 “김생이 두타행(頭陀行 : 번뇌를 끊고 의식주에 대한 탐심이 없이 깨끗하게 불법을 닦는 일)을 닦으며 이곳에 머물렀기에 김생사라 이름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김생의 글씨로 전해지는 작품들이 모두 사찰 또는 불교와 관련된 점으로 보아 ‘호불불취(好佛不娶: 부처를 좋아해 장가를 들지 않음)’하였다는 그의 생을 짐작할 뿐이다. 그는 특히 고려시대 문인들에 의하여 해동제일의 서예가로 평가받아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서는 그를 신품제일로 평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이미 그의 진적(眞蹟: 실제의 유적)이 귀해져 이광사의 『원교서결』에서 그의 진적은 전혀 남아 있지 않다고 할 정도였다. 김생의 진면목을 살필 수 있는 필적으로 현재 경복궁에 있는 「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太子寺朗空大師白月栖雲塔碑)」가 있다.


 


이 비의 비문 글씨는 고려 광종 5년(954)에 승려 단목이 김생의 행서를 집자(集字)한 것으로,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 유행한 왕희지·구양순류의 단정하고 미려한 글씨와 달리 활동적인 운필(運筆: 붓 놀림)로 서가(書家)의 개성을 잘 표출시키고 있다.


 


또한, 짜임새나 획의 처리에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틀에 박힌 글씨에서 벗어나 운치를 살리고 있다. 그의 유일한 서첩으로 『전유암산가서(田遊巖山家序)』가 있으며, 『해동명적(海東名蹟)』·『대동서법(大東書法)』에 몇 점이 실려 있다. 특히, 「여산폭포시(廬山瀑布詩)」는 자유분방하면서 힘이 넘치는 필적이다.


 


이 밖에 「창림사비(昌林寺碑)」가 있는데 현재 원비는 물론 탁본조차 전하지 않는다. 단지 원나라의 조맹부가 『동서당집고첩발(東書堂集古帖跋)』에서 “창림사비는 신라김생의 글씨로 자획에 전형(典型)이 깊어 당인(唐人)의 명각(明刻: 뛰어난 조각가)이라도 이를 능가하지 못한다.”는 품평이 전한다.


 


  

758783364_Ib23KTsQ_01b1fc11aba705f59167d714927b6c89818de1d0.jpg

김생(金生), 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명, 954년, 탁본, 비(碑) - 국립중앙박물관 


 


비문은 나말여초의 문장가이자 명서가인 최인연(崔仁渷)이 지었고, 뒷면의 음기는 대사의 문하법손(門下法孫)인 순백(純白)이 지었다. 이 비는 비문이 지어진 뒤 오랫동안 세워지지 못하다가 954년에 이르러서야 순백 스님의 주도로 건립되었다. 글씨는 지름2~3센치의 행서로, 낭공대사의 문인 단목이 김생의 글자로 집자(集字)했다. 이는 마치 당 태종 때 승려 회인이 왕희지의 행, 초 필적을 모아 <대당삼장성교서(大唐三藏聖敎序)>를 집자한 것과 유사한 경우이다.


 


왕희지체 자형에 근간을 두었으면서도 상투적인 틀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짜임을 구사했기 때문에 고격(古格)을 잃지 않으면서도 파격적인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특히 굵고 가는 획을 섞어 교묘한 변화를 주고 또 굽고 곧은 획을 섞어 음양향배(陰陽向背)의 묘를 살려낸 점이 두드러진다.


 


김생의 필적 가운데 신빙성 있는 예로 <전유암산가서(田遊巖山家序)>를 들 수 있다. 이 필적은 『비해당집고첩』에 처음 보이며, 이후의 집첩에 지속적으로 실렸다. 현존하는 고(故) 임창순장(任昌淳藏) 『비해당집고첩』에는 동진 간문제(簡文帝), 양 무제(武帝), 위 종요(鍾繇), 동진 왕희지 · 왕헌지 등 중국의 제왕과 명현의 필적과 함께 김생의 필적이 들어 있는데, <낭공대사비>의 측면에 새겨진 이항이라는 사람의 추기(追記)에 의하면 그가 어렸을 때 《비해당집고첩》에서 김생의 필적을 보았다는 구절이 있어 이를 방증해주고 있다.


 


 

758783364_rJpmcvVS_271c8b2358d2be66787ffc22bb89b2cfe01c08bc.jpg

김생, 전유엄산가서


 


<전유암산가서>의 글씨는 작은 크기의 행서로 왕희지의 <집자성교서>의 골격을 따랐으면서도 특유의 파격적 짜임과 자유로운 운필이 가미되어 있다. <낭공대사비>에서 글자의 머리 부분이 강조되고 자형이 납작하며 살찐 획법을 보이는 것과 달리, 이 필적은 자형이 좀더 변화롭고 획이 수경(瘦勁)하다. 또 <낭공대사비>에서 행서로만 일관하여 집자한 것과 달리 군데군데 초서를 섞은 점도 눈에 띈다. 고려의 이인로가 김생의 글씨는 초서도 아닌 듯 행서도 아닌 듯 57종의 제가체세(諸家體勢)로부터 나왔다고 극찬했는데, 이는 아마 이러한 필적을 보고 평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리고 김생이 썼다는 편액에 관한 기록과 구전이 몇몇 전한다. 그러나 이것들 역시 현존하지 않거나 혹 현존하더라도 오랜 세월동안 모각(摹刻)을 거듭하여 원형에서 멀어졌으며, 혹은 후대의 편액이 그의 것으로 가탁되어 전해졌을 가능성이 농후한 예일 뿐이다.


 


김생은 서예가로서의 대담한 독창성과 뛰어난 풍격을 지니고 있다. 그런 점에서 우리나라 서예를 일으킨 비조로서 널리 숭앙되어 왔다. 이런 점에서 김생의 서예는 우리시대의 문화를 어떻게 이끌어가야 하는가를 생각하게 하는 좋은 모범일 것이다. 즉 외래문화를 수용하면서도 이를 외형적으로 모방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이를 우리의 토양 속에서 우리의 미의식에 맞게 변모 · 발전시킨 우리의 자랑스러운 선현 가운데 한 사람인 것이다.


 


김생은 시대적 흐름에 얽매이지 않은 일탈한 필적을 남기고 갔다. 김생의 행서는 왕희지 서풍에 기반을 두었으면서도 이미 그것으로부터 멀리 벗어나 파격적인 짜임과 변화로운 획법으로 남·북국시대 서예가 어느 누구에도 뒤지지 않는 개성적 풍격을 이루었다.


 


김생의 필적을 살필 때 유의할 사항이 있다. 일반적으로 집자에서는 원적의 글자를 그대로 옮기기도 하지만 자형이 없을 경우 필요한 변, 방, 머리, 받침을 다른 글자에서 따다가 맞추게 된다. 따라서 자형이 불안정한 경우가 생기기도 하는데, 김생의 집자 필적에도 이런 예가 있어 더욱 변화롭고 동적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런 점을 감안하더라도 김생의 글씨는 자기화의 성숙도에 있어 단연 독보적이며, 이런 특성이 바로 후대인들로부터 높은 찬상을 받는 주된 요인이라고 본다. 김생은 외래문화를 수용하면서도 이를 모방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또 시대적 조류에 휩쓸리지 않으면서 자신의 행로를 꾸준히 추구해 갔던 선구자로 추앙받을 만하다. 이러한 점에서 김생은 우리의 문화를 우리의 토양 속에서 우리의 미감에 맞게 발전시켜가야 하는 시대적 과제를 현명하게 풀어줄 수 있는 모범적 선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58건 4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7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최고의 두뇌와 경쟁할 수 있는 두뇌 능력을 키우는 공부 방법 (지식의 개념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808
77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회암사터-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856
77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를 향한 첫 걸음, 지식의 개념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1 824
77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의 재건축, 왜? 어떻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5 787
77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라인들의 근친혼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937
77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유와 근거로 지식의 재건축을 통한 기억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9 821
77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를 가두는 교수법 vs. 열어주는 교수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851
77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바보 온달(? ~ 59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861
77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논리적인 사고를 통해 개념을 정립하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907
76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의 종류 그리고 기억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1007
76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육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1016
76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의 초석; 스스로 내리는 정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912
76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언어에 갇혔는지를 확인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0 891
76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동여지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1352
76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에 갇히면 이해력과 창의력은 멀어질 수밖에 없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880
76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해력과 사고력을 늘리는 공부 vs 지식을 익히는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920
76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양명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981
76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을 보면 학습능력이 보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1 792
76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정서적 안정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942
75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를 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6 834
75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떡잎부터 차이나는 공부머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919
75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후삼국시대-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849
75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예습을 통해 학교 공부를 준비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836
75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공부의 효율을 늘리는 공부 방법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861
75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후삼국시대-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1724
75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과 개념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946
75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4대 사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1598
75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회가 필요로 하는 사람은 지식인이 아닌 창조적 사고능력을 지닌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884
75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경쟁의 시작은 새로운 지식으로부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889
74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새로운 지식을 배워가는 공부는 미래를 보장해 줄 수 있다. 하지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966
74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내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1074
74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해를 통해 지식을 배우는 과정에는 생각이 필요하지 않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 818
74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동물의 두뇌를 벗어나지 못한 인간의 모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824
74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칠지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1170
74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의 두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849
74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방법을 목표로 설정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834
74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우리나라의 신석기 시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1059
74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하는 것이 목표가 된 경우의 두뇌작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4 1075
74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아날로그 정보처리 방식이 가진 장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 891
73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우리나라의 구석기 시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988
73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아날로그 vs. 디지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30 862
73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는 모든 것은 허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5 960
73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목조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2917
73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5감을 통해 들어오는 정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6 1079
73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혜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869
73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지로 요를 삼고 창공으로 이불을 삼아 - 암태도 소작쟁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1173
73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조적 사고력을 넘어서는 인간의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936
73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인과 결과는 꿰어진 구슬처럼 연결되어 있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871
73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1116
72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자유에 대한 갈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901
72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삶에서 행복과 자유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1047
72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988
72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물질적 만족을 추구하는 사고와 정신적 만족을 추구하는 사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8 1025
72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조적 사고는 신개념을 만드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1005
열람중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생(711년 ~ 791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1128
72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고유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1039
7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 두 가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1034
7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신할머니(삼신할미)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3444
7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종류의 행복한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1005
71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오리 이원익 대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25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