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는 두뇌능력을 반영하는 거울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는 두뇌능력을 반영하는 거울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1-06-11 18:05 조회1,079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는 두뇌능력을 반영하는 거울

   

이 내용은 민동필 박사가 학생 또는 부모들로부터 받는 공부 방법, 두뇌의 발달, 사고력을 키우는 방법 그리고 공부 방법과 사회문제 등에 관한 질문들에 답을 하는 내용입니다. 이와 비슷한 주제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는 분들은 min@PonderEd.ca로 연락주세요.

   

◆ 지식을 구하는 질문이 묻는 사람을 나약하고 스스로 무엇인가를 할 수 있는 의지도 부족하고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더 많은 사람처럼 보이게 한다는 것은 이해가 갈 것 같아요. 실제로 사람들은 지식이 많은 사람을 존경하고 우러러보니까 반대의 경우라면 무시하고 깔볼 수 있으니까요. 그런데 폭력이나 괴롭힘으로부터 쉽게 벗어나지 못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또 지식을 묻는 시험은 여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죠? 지식을 묻는 질문이나 시험이 모두 교육의 현장에서 벌어지는 일이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결국 교육의 문제인 것 같기도 하고요. 

   

- 예. 맞아요. 교육이 그 뿌리에 있죠. 교육으로 넘어가기 전에 먼저 언어에 대해 생각해볼게요. 인간에게 언어란 어떤 것이라고 생각하세요? 

   

◆ 글쎄요? 의사소통을 하는 도구가 아닐까요? 

   

- 그러면 이렇게 다시 질문해 볼게요. 한 개인에게 언어란 무엇일까요?

   

◆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가 아닌 개인 한 사람에게 언어가 가진 의미가 크게 있을까요?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니까 의사소통을 하는 도구로서 언어가 의미가 있다고 보거든요. 

   

- 그러면 질문자는 혼자 생각을 할 때 어떻게 생각을 하세요? 

   

◆ 어떻게 생각을 하냐고요? 무슨 뜻인지 잘 이해가 ……. 

   

- 생각을 할 때 언어로 생각하세요? 아니면 꿈을 꾸듯 동영상처럼 생각을 하시나요? 그것도 아니면 음악을 듣듯 소리로 생각을 하시나요? 

   

◆ 한 번도 그런 관점에서 관찰을 해 본 적이 없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언어로 생각을 하는 것 같아요. 물론 가끔 상상을 할 때에는 동영상처럼 생각을 하는 경우도 있는 것 같고요. 

   

- 질문자처럼 많은 사람들이 언어로 생각을 하죠. 자폐를 가진 사람들 중에는 소리나 동영상처럼 생각을 하는 경우가 있기도 하지만요. 

   

◆ 그런데 언어가 생각을 하는 도구라는 것은 이해가 가는데 앞서 이야기한 지식을 찾는 질문과 폭력이나 괴롭힘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이유가 어떤 관계가 있나요? 

   

- 언어로 생각을 한다는 말은 곧 한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가 그 사람의 생각을 거울처럼 반영하기 때문이에요. 

   

◆ 그러니까 지식을 묻는 질문도 그냥 나오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생각이 반영되어 나오는 것이라는 뜻이군요? 

   

- 맞아요. 질문뿐 아니라 사용하는 단어, 문장 등이 모두 말을 하는 사람의 두뇌능력을 보여주죠. 물론 행동도 포함해서요. 

   

◆ 말과 행동이 한 사람의 두뇌능력을 보여주는 척도가 될 수 있다는 뜻인데 조금 더 자세하게 이야기 해 주실 수 있을까요? 

   

- 만일 한 정치인이 국민들 앞에서 연설을 하는데 초등학생들의 연설과 크게 다르지 않다면 듣는 사람들이 그 정치인을 어떻게 생각할까요? 

   

◆ 초등학생 수준의 연설을 한다면 그 사람은 정치인이 되지 못했을 것 같은데요. 

   

- 그렇겠네요. 정치인이 되지 못했겠네요. 그런데 연설은 말일 뿐인데 왜 초등학생처럼 연설을 하면 정치인으로 뽑히지 못할까요? 

   

◆ 생각이 초등학생 수준인 사람이 당면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고사하고 인식조차 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니까 그렇죠. 

   

- 지금 그 말은 말 그대로 말 속에서 말을 하는 사람의 두뇌능력을 볼 수 있다는 것을 뜻하죠? 

   

◆ 그러네요. 사람들은 실제로 상대방의 말을 통해 그 사람을 평가하는 것 같군요. 말 한마디에 천 냥 빚을 갚는다는 속담에서 볼 수 있듯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알고 있었으면서도 언어라는 것이 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는 생각을 못했네요. 그러면 지식을 구하는 질문이 사실상 질문을 하는 사람의 두뇌능력이 떨어짐을 보여주기 때문에 폭력이나 괴롭힘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는 것인가요? 

   

- 아니요. 하나의 요소가 더 있어요. 두뇌능력이 떨어지면 무시나 폭력의 대상이 될 수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벗어나지 못한다고 볼 수는 없죠.

   

◆ 그렇군요. 무시당하면 화를 내는 사람들도 있으니까요. 

   

- 맞아요. 사람들은 반항이나 복수를 생각하기도 하니까요. 힘을 길러 내가 받은 만큼 되갚아 주겠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죠.

   

◆ 그 의견에는 동의해요. 당하면 몇 배로 되돌려주고 싶은 욕망이죠. 

   

- 예. 이렇게 반항 또는 복수심이 있는 경우에는 그 방법을 찾고자 노력을 하죠. 그래서 폭력이나 괴롭힘으로부터 벗어날 방법도 찾고요. 

   

◆ 폭력과 괴롭힘을 당하면서도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들은 그러면 반항도 하지 못하는 상태라는 뜻인가요? 

   

- 예. 

   

◆ 어떻게 그게 가능하죠? 

   

- 사회단체에 속해있기 때문이에요. 특히 스스로 사회단체를 선택했을 때에는 더 심하죠. 

   

◆ 사회단체라면 학교나 직장과 같은 단체를 말하는 것인가요? 

   

- 예. 학교의 경우 자의로 선택을 하는 경우가 많지 않지만 직장은 보통 자신이 선택을 하죠. 그것이 폭력이나 괴롭힘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거든요. 

   

◆ 조금 복잡한 것 같은데 풀어서 설명을 해 주실 수 있을까요? 

   

- 그러면 최근 뉴스에 나오는 성추행을 당했다고 호소를 했음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결국 자살한 여군의 이야기를 예로 들어 이야기 해 볼까요? 자살을 선택한 여군에게 자살 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었을까요? 

   

◆ 글쎄요? 당사자가 아니니까 그 심정을 알 수는 없지만 군복을 벗고 나와서 싸우는 방법도 있었을 것 같아요.

   408253482_BpVsQv7w_423eff35e49affade2147a4132b6aeaac7228a7f.png

===================================================

민동필 박사는 미국 워싱턴주의 Washington State University에서 생화학/생물물리학 박사학위를 받고 뉴욕의 코넬대학 의과대학 (Weill Cornell Medical School)에서 박사 후 과정을 거쳤으며 콜럼비아 대학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있었다. 이후 캐나다로 이민 오면서 캐나다 국립 연구원에서 연구를 하며 동시에 혈우병 치료제에 관한 연구를 몬트리올에 위치한 콩코디아 대학의 겸임교수로 있으면서 진행했다. 이후 밴쿠버로 이주한 후 고기능 자폐아들의 교육을 위해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년간 진행해 왔고 그 결과 학생 및 일반인들이 할 수 있는 공부 방법으로 확장하여 최근 ‘사고의 전개과정을 기반으로 한 교육’이라는 새로운 공부 방법을 만들어 세상에 내어 놓았다. 새로운 공부 방법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http://www.PonderEd.ca 에서 볼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6건 15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장보고(미상~84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2993
12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산타의 썰매는 초음속 비행물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3027
12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 플레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3029
12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 혜허의 수월관음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3030
12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막강한 추천인 한 마디…입사 당락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033
121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2번째 경제용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 3037
120 [알기 쉽게 풀어 쓰는 한국사] 33. 조선 왕릉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3045
11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의 건국 신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0 3057
118 여론조사, 제대로 알고 이해하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3064
11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한민국 정부 수립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3068
116 [과학이야기] 공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3077
11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확장을 통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077
114 신비로운 수학 세계, 오묘한 음악과 갚은 관련 맺고 있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3085
11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리학의 전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3095
1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교각 스님(696~794)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3109
1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선크림 방지법 -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할 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3122
11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잉글리쉬 베이 밤하늘을 수놓은 불꽃놀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131
1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흥선대원군 이하응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4 3131
108 페르세이드 유성우, 그 신비로운 세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3136
10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홍산(훙산) 문화(기원전 6,000년 ~ 기원전 800년)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137
10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육의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3155
10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3157
10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한민국 임시 정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3182
10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과거는 필요 없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3188
10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너지 질량 등가 원리(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9 3215
101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핵심 사이트 몇 개면 취업정보 얻는 데 충분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3220
10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목조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3238
99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토목·기계, 진출분야 넓고 최고 인기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3242
9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청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3244
9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공주 공산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3274
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 구조 2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3305
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핼리팩스 대폭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3314
9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의 신분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3353
9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붕당 정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3413
9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관찰력을 늘리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3417
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홍산(훙산) 문화(기원전 6,000년 ~ 기원전 800년)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3 3431
9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어 백(Air Bag)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3432
8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하와이 노동 이민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5 3440
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설화문학과 패관문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49
8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2 신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 3468
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중력이라는 이름의 코끼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83
8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 방법의 기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3539
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을불 설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3625
83 [알기 쉽게 풀어 쓰는 한국사] 32. 한국의 전통 건축 이해하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3648
8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독도는 우리 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650
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강화도 조약(1876, 조·일 수호 조규, 병자 수호 조약)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3654
8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매운 음식을 먹으면 스트레스가 해소될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3657
7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백강 전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3708
7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3727
7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조실록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3731
7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운궁(덕수궁), 대한제국의 꿈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3751
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신할머니(삼신할미)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3778
7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천재 물리학자, 레프 란다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3814
7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천재들의 공통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3823
7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6 3829
7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조영이 건국한 발해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0 3839
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설제에 숨어 있는 과학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3851
6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두산정계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3869
68 [과학 이야기] 초신성 폭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3887
6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불변의 진리였던 플로지스톤-진리가 아니었던 진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3922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