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글 못 쓰던 그때 그 시절, 사전을 만들겠다고… > 채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채널

방송 | 우리 글 못 쓰던 그때 그 시절, 사전을 만들겠다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중앙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9-01-02 22:00 조회1,192회 댓글0건

본문

오른쪽부터 조선어학회 대표 정환(윤계상), 글을 모르지만 학회 일을 돕게 되는 판수(유해진), 그리고 판수의 딸 순희(박예나). [사진 롯데엔터테인먼트]

“글을 몰랐던 사람이 글을 알게 되는 것과 무지하고 한심한 사람이 아버지로서 변화하는 것, 그 두 가지에 초점을 맞췄어요. 글을 알아가는 과정이 무리하지 않게 그려지길, 그러면서 글을 지키는 마음이 생길 때까지의 과정이 자연스럽게 이어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아버지로서의 역할도 그렇게 그려졌으면 했고.”
 
1940년대가 배경인 새 영화 ‘말모이’에서 주연을 맡은 유해진(49)의 말이다. 말모이는 사전을 뜻하는 우리말. 영화는 우리말도, 우리 이름도 못 쓰게 하던 일제에 맞서 목숨을 걸고 최초의 우리말 사전을 펴내려는 사람들 이야기다. 극 중에서 정환(윤계상)을 비롯한 조선어학회 회원들은 뚜렷한 사명감과 함께 벌써 10년 넘게 사전 편찬에 공을 들여온 상황. 반면 심부름꾼으로 합류한 판수(유해진)는 아예 글을 모르는 까막눈이다. 아내 없이 두 아이와 사는 판수가 학회 일을 돕게 된 것도, 일하던 극장에서 쫓겨나 아들의 학비를 융통할 길이 없던 상황에서다.
 
유해진의 연기는 감독이 시나리오를 쓸 때부터 그를 염두에 뒀다는 판수의 캐릭터에 맞춤하게 녹아든다.  시사회 직후 인터뷰에서 그는 “어린 시절 동네에서 봤던 목공소 아저씨를 떠올렸다”고 했다. “글을 모르는 게 아니라 욕하고, 쌈박질하고…. 저 어렸을 땐 그런 분들이 많았어요.” 이 예민한 배우는 캐릭터의 변화 역시 미묘하게 그려낸다. 함부로 침을 뱉던 판수가 누군가의 지적 이후로 침을 뱉지 않는 것도, 글을 모르는 것에 큰 부끄럼이 없던 판수가 시장에서 간판을 읽으며 뒤늦게 글을 깨친 기쁨을 드러내는 것도 그렇다. “저 초등학교 때, 글을 막 읽기 시작했을 때 엄마랑 시장 다니면서 읽고 그랬던 게 고스란히 나온 거예요. 찐빵 얻어먹으려고 시장 따라갔다가 그러면 엄마가 잘한다고 하고. 저 때는 이름만 쓸 줄 알고 학교 갔거든요.”
 
그는 “제 역할은 쓰면 쓰다고, 달면 달다고 감정대로 표현하는 인물인 반면 계상이는 그걸 숨겨야 하는 인물이라 쉽지 않았다”며 함께 주연을 맡은 윤계상(41)을 언급했다. 두 사람은 영화 ‘소수의견’(2015)에서 변호사 선후배 역할로 만났던 사이. “독하게 파고들더라고요. ‘소수의견’ 때보다 깊이감이 생긴 것 같아요. 그때는 술을 못 먹었는데 이번에 만나니 술도 잘 먹고(웃음).”
 
윤계상은 이번 영화를 선택한 이유로 “이야기의 힘”과 더불어 “유해진 형님”을 꼽으며 “절대 신뢰”를 표현했다. 별도의 인터뷰에서다. 하지만 극 중 관계는 좀 다르다. 윤계상이 연기한 정환은 조선어학회 대표로서 책임감과 올곧음만 아니라 까칠함이 두드러지는 캐릭터. 더구나 판수와는 첫 만남부터 악연으로 시작해 쉽게 신뢰하지 못한다.
 
윤계상은 이렇게 설명했다. “제 경험을 투사하자면, 책임감이 생기면 조그만 빈틈이 너무 크게 보이더라고요. 정환은 ‘나, 너무 힘들어’, (뭔가 새로운 짐이 생기면) ‘어어 나한테 그런 거 주지마’, 이런 상태인 거죠. 우리말을 지켜야 하는데, 그에게는 너무 큰 일이고, 주변에서 변절하는 사람, 또 고문 당하는 사람을 보면서 한껏 예민해진 모습이죠.” 후반에 다소 달라지는 정환의 모습에 대해선 “판수를 만나고, 다른 회원들에게 기대면서 원래의 정환으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했다. 어쩌면 이 영화는 글 모르던 판수만 아니라 사람을 잘 볼 줄 모르던 정환의 성장담 같기도 하다.
 
어느새 14년차 배우가 된 윤계상은 직전에 ‘범죄도시’(2017)에서 무자비한 악당 장첸 역할로 큰 사랑을 받았다. 그런데도 자신의 평가는 매우 인색했다. “믿고 보는 배우요? 절대 아닐 거예요. ‘범죄도시’의 장첸 때문에 오해가 있으신 거죠.” 그는 “연기가 너무 어렵고, 너무 지독하다”면서도 “근데 너무 재미있고, 특히 치열한 배우들을 만나는 게 너무 재미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영화에서 제일 잘했다고 생각한 건 감정을 드러내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촬영현장에서 그가 정신을 못 차릴 정도로 오열한 순간도 있었지만, 영화에는 나오지 않는다. “비교하자면 장첸은 드러낼수록 드러나는 캐릭터인데 정환은 감추면 감출수록, 보는 분들이 오죽하면 저럴까, 얼마나 힘들까 그렇게 증폭을 하는 캐릭터 같아요.”
 
이런 정환도 판수의 일곱 살짜리 딸 순희(박예나)를 보고는 단박에 함박웃음을 짓는다. 천진하면서도 조곤조곤 할 말 다하는 순희, 공부 잘하는 아들 덕진(조현도)은 판수가 중요한 고비마다 모종의 결심을 하게 되는 배경이다.  
 
유해진은 판수가 우리말 지키기에 헌신하는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순희가 그러잖아요. (창씨개명으로 ‘가네야마’라는 이름을 써야 한다니까) ‘나는 김순희 좋은데’. 판수는 김순희라는 이름을 지키는 게 아버지로서 해줄 수 있는 거라는 생각을 했을 거예요.”
 
‘말모이’는 유해진의 표현을 빌리면 “순희 같은 영화, 순한 영화”다. 연출적인 기교보다 정직한 전개가 이어진다. 그런데도 마음을 울리는 것은 실제 역사가 바탕인 이야기의 힘, 지금 공기처럼 자유로이 쓰는 우리말을 지키려 목숨까지 건 사람들이 있었다는 깨우침이다. 1942년의 조선어학회사건 등이 영화의 바탕이 됐다. ‘택시운전사’(2017)의 각본을 썼던 엄유나 감독이 직접 각본을 쓴 연출 데뷔작이다.
 
이후남 기자 hoonam@joongang.co.kr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채널 목록

Total 4,230건 5 페이지
게시물 검색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