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생자 몇명인지 셀수도 없다, 토네이도가 들춘 '아마존 민낯' > 채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채널

기타 | 희생자 몇명인지 셀수도 없다, 토네이도가 들춘 '아마존 민낯'

페이지 정보

작성자 중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1-12-13 09:25 조회927회 댓글0건

본문

미국 일리노이주 에드워즈빌의 아마존 물류센터 지붕이 토네이도에 휩쓸려 무너졌다. [로이터=연합뉴스]미국 일리노이주 에드워즈빌의 아마존 물류센터 지붕이 토네이도에 휩쓸려 무너졌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중부를 휩쓴 토네이도로 수백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가운데, 아마존 물류창고에서는 사망·실종자 규모가 파악되지 않는 답답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무너진 지붕 잔해 밑에 수많은 사람이 묻혀 있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사고 당시 근로자 수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인명 피해 규모를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그동안 감춰졌던 아마존의 부실한 인력관리와 열악한 노동 환경이 이번 사태를 자초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일리노이주 경찰과 구조대가 아마존 물류창고 지붕 붕괴 현장에서 생존자 구조 활동에 애를 먹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경찰 측은 사고 이틀이 지난 현재까지도 수색 작업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다. 사고 당시 현장에 몇 명의 사람이 있었고, 어느 위치에 있었는지 등을 확인해야 하지만, 이에 대한 정보가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당초 아마존 물류 창고 측은 사고 당시 근무자가 190여명이라고 밝혔다. 이 가운데 사고 현장에서 발견된 사망자는 6명, 생존자는 45명이라는 게 공식 발표다. 그러나 당시 근로자 상당수가 상주 직원이 아니었다는 점에서 인명 피해 규모를 단정 지을 수 없다는 게 경찰의 입장이다.


전문가 사이에서는 이번 사태가 결국 아마존의 허술한 인력 관리 시스템의 문제를 드러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대규모 계약직 고용으로 물류 창고를 운영하면서 이들의 근무 시스템은 나 몰라라 했다는 지적이다.


NYT에 따르면 아마존은 2018년부터 비용 절감을 위해 배송 업체 의존도를 낮추고 자체 배송을 확대하면서 계약직 인력으로 이를 꾸렸다. 25만 명에 달하는 계약직 직원들은 물류 창고와 각 지역 소규모 배송 기지를 오가며 상품을 배달했다. 사고가 난 물류 창고의 정규직 직원은 7명, 나머지는 모두 계약직이었다.


미국 일리노이주 에드워즈빌의 아마존 물류센터 지붕이 무너지면서 파손된 아마존 트럭. [로이터=연합뉴스]미국 일리노이주 에드워즈빌의 아마존 물류센터 지붕이 무너지면서 파손된 아마존 트럭. [로이터=연합뉴스] 


문제는 이렇게 뽑은 계약직 직원들의 근무 시스템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다는 것이다. 아마존은 인원이 워낙 많고 배송기사들의 근무 시간이 일정하지 않다는 이유로 이들의 물류창고 입·출입 시간은 기록하지 않았다. 그렇다 보니 사고 당일 물류 창고를 오간 배송기사들의 생존 여부를 알 수 없는 것이다. 여기에 크리스마스와 연말 배송 수요를 높이기 위해 단기 계약 직원까지 추가 고용하면서 상황이 더 복잡해졌다고 NYT는 전했다. 익명의 한 관계자는 NYT에 “물류창고를 오가던 직원 상당수는 연말 시즌 돈벌이에 나선 20대 배송 기사였다”고 밝혔다.


아마존이 작업장에서 휴대전화 소지를 금지한 것도 문제로 지목된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아마존은 업무의 효율성을 이유로 업무 시간에 휴대전화를 갖고 들어오지 못하게 했는데, 생존자들은 이 규정 때문에 화를 키웠다고 토로했다.


이에 따르면 이날 기상청은 토네이도가 덮치기 30분 전인 오후 8시 6분 사람들에게 휴대전화로 토네이도 경보 명령을 내렸다. 휴대전화를 소지하고 있던 직원들은 메시지를 받고 두 곳의 대피소로 피신했다고 한다.


하지만 규정에 따라 휴대전화를 소지하지 않고 있던 직원들은 이 사실을 알 수 없었고, 결국 대피할 기회를 빼앗겼다는 것이다. 또 물류창고 지붕이 무너진 것으로 보아 토네이도에 견딜 수 있게 설계됐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노동조합 측은 결국 아마존의 무리한 배송 서비스와 허술한 고용 정책이 사고 수습을 어렵게 한 셈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유통 업계 컨설턴트인 MWPVL 인터내셔널도 “계약직을 중심으로 한 배달기지 운영 방식은 사고 발생 시 회사의 책임 회피가 수월하고, 노조 활동도 제한한다”며 “앞으로 계약직 사고 보상 등 기타 리스크에 대한 회사 측의 태도를 지켜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민정 기자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채널 목록

Total 4,238건 46 페이지
게시물 검색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