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 한의원의 체질칼럼] 아주 예민한 목음인, 별 말이 없는 목양인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건강의학 |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칼럼] 아주 예민한 목음인, 별 말이 없는 목양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5-24 16:36 조회5,530회 댓글0건

본문

“좋은 친구가 멀리서 찾아오니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지난 주 한 통의 전화를 받았을 때 떠오른 옛 성현의 글귀. 10년 전까지 밴쿠버의 Kingsway 선상에서 한의원을 했을 때 바로 옆 건물에서 비즈니스를 하던 이가 종종 필자에게 진료를 받곤 했었다. 그 당시 나이 쉰을 조금 넘겼을까, 겉으로 봐도 무척 말랐고 늘상 어깨가 아프고 소화를 시키지 못해서 애를 먹었는데, 이 곳 의원을 방문해서 약을 복용해도 별 차도가 없어 “가까운 이웃이 먼 친척보다 낫다는” 속담이 있는 것 처럼 바로 옆 필자의 한의원을 방문하곤 했었다. 

그리고 10년 이상이 흘렀다. 수 년 전에 비즈니스를 그만두고 몇 차례 필자 한의원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기도 하였지만 그로부터 무소식이어서 까마득히 잊고 있었는데, 지난 주 전화를 받은 것이다.

환자는 저 남태평양의 ‘피지 (Fiji)’ 사람이다. 영어가 이곳 본토 발음까지는 아니어도 유창하다. 그래서 어찌 저 태평양 한 가운데, 섬나라 사람들이 영어를 그리 잘하나 뒤적여 보니, 한 때 영국의 식민지였었다. 흠, 쉽지 않은 역사, 가슴 아픈 역사네..

한편 환자의 인종은 황인종 같지도 흑인 같지도 않다. 인도사람 같기도 하고. 그래서 또 찾아보니, 영국의 식민지하에서 많은 인도인들이 피지로 이주한 기록이 있다.

환자는 ‘이웃사촌’이라서 그런지 필자와 가깝게 지냈다. 지금은 60대 중반이 되었지만 이 사회는 ‘나이’ 서열이 없이 누구나가 ‘친구’인 것처럼, 그 당시 오다가다 한마디씩 대화하고 가족에 대해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기도 하였는데, 그러한 것이 좋은 인상으로 남았는지, 아니면 그 당시의 치료가 도움이 되었는지 지난 주 불쑥 다시 연락을 해 온 것이다.

간단한 인사말과 함께 “가족은 잘 지내나요?”라는 말을 더한다. 진료 때문에 이루어진 통화인데 서로의 가족의 안부에 관해서까지 오고가니, 다시 생각해봐도 그 당시 좋은 이웃이었던 것 같다.  

체질은 목음인. 상당히 예민한 아주머니다. 이것저것 세세하게 물어온다(그 당시). 소화력이 몹시 떨어져서 입맛이 없었는지 먹는 것이 시원치 않았고 그래서 아주 말랐었다. 변이 좋지 못하고 늘상 관절에 통증을 달고 살았으며 수면불량으로 애를 먹곤 했었다. 그리고 한 번씩 눈물을 보이기도 했고.

이 모든 증상들이 다 대장의 무력으로 기인된다. 그 당시 ‘대장 (large intestine)’이 차고 약해서 그렇다 라고 누차히 설명을 해 주었는데, 도무지 이해를 못하는 것 같고 받아들이려 하는 것 같지도 않았었다. 그래도 어찌하랴. 대장 치료를 할 밖에. 그리고 식이에 관해서 꼼꼼히 챙겨주었다.

“고기를 드세요. 질 좋은 소고기를 드세요. 그리고 생선이나 해물은 삼가세요. 바나나를 드시면 안 됩니다.” 그 아주머니는 늘 난감해 했다. 바닷가에서 자라서 그런지 주로 생선과 해물을 먹었는데, 대신에 육식을 해야 한다는 처방이 영 못마땅한 지 전혀 들으려 하지 않았다. “저는 고기를 안 먹어요.” “왜요? 종교 때문인가요?” 한 번씩 치료받으러 올 때마다 이 ‘육식’ 문제로 조금은 舌戰(설전)이 오고갔었다. 고기를 먹지 않는 그 이웃이 당시에는 아쉽기도 하고 안타깝기도 하고. 그런데 사람 마음, 그 본인도 다스리지 못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한데, 어찌 타인이 가타부타할 수 있으리요.

지난 주 전화를 받고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는 도중, 갑자기 ‘그 노인’이 떠오른다. “아, 그 노인 있지요? 자주 저를 찾아온 그 분 있잖아요?” 그 노신사는 필자의 한의원 Kingsway, 길 건너 주택에 살고 있었다. 그렇게 보니, 그 지역에 인도인 계통 사람들이 많았던 것 같다. 키와 몸집이 제법 컸던 피지에서 온 노인. 늘상 웃음기를 머금고 있었다. 필자 한의원에 들어올 때마다, 웃으면서 “Daniel!”이란 호칭을 꼭 먼저하고, 본인이 이렇게 아프니 이렇게 치료해 달라고 했던 노인. 딸 몇이 있다고 했다. 그 당시 일흔은 됐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걷는 모습이나 말투가 늘 느릿느릿했다.

그의 체질은 지금도 기억한다. 목양인. 사람이 (몸집이) 크다. 걸음이 느리다. 그는 어깨와 허리가 아플 때마다 불쑥 찾아왔다. “고기를 드세요. 그리고 날마다 걸으세요.” “No problem!” 그리고 시간이 나면 가족 이야기를 하고 음식 이야기를 하고 운동 이야기를 했다. 그런 시절, 그리고 10년 이상이 훌쩍 지나버렸다.

“He passed away.” (돌아가셨어요.) 조금은 짐작을 했었음에도 왜 그리 놀랍고 서운했을까. 그 당시 그의 나이가 일흔을 넘겼으니 지금은 여든하고도 수년이 됐을 것이다. 그런데 역시 아쉽다. 사람 생명이 이 땅에서 悠久(유구)한 것이 아님을 알면서도, 한 때 환자로서 또 이웃으로 알고 지낸 이가 세상을 떠났다는, 그것도 알지 못하는 사이에 그렇게 되었다는 것이, 비록 가족이나 친척은 아니어도 왜 이리 마음이 스산하고 슬프고 아프기까지 한 것일까.

공자가 그랬다. “좋은 친구가 멀리서 찾아오니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오랜만에 멀리서 (휴, 그래봤자, 같은 밴쿠버 동네..) 걸려온 전화 한통이 반가웠는데, 한 사람의 생명이 세상에서 사라졌다는 소식을 접하자, 차라리 모르고 지내는 것 못한 것 같아 멀리서 들려온 목소리가 그리 반갑지만은 않아 보인다. 더구나 그 소식이 죽음에 관한 것이라면…

오래 살아도 120년을 넘기지 못하는 인생. 그 안에서 삶은 낡아가거나 약해가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그 삶에 별의별 악다귀 같은 것들이 기어들어 오고 스며 들어온다. 질병이 그 중에 하나다. 이 질병이란 작자는 누가 반긴다고 때를 가리지 않고 불쑥 혹은 스물스물 찾아 와 우리 인생을 이렇게 아프게 하고 슬프게 하고 고통스럽게 하는 것일까. 이 놈은 아무리 가라고 가라고 사정을 하고 애원을 하고 강권을 해도 절대 물러가지 않아 생명을 좀먹는다. 악다귀 중의 악다귀, 그래도 너도 언젠가 박멸될 날이 올 것이다.

질병만 악다귀인가. 사람 사이의 분열과 다툼, 시샘과 중상모략도 사람을 지독히 독하게 하고 악하게 하고 아프게 한다. 인간 갈등 역시 무시 못 할 악다귀다. 가난도 악다귀고 자존감의 결여도 그러하며 부에 취해 온갖 호사를 누리면서 방탕히 사는 것 역시 악다귀다. 거만도 무도덕도 악다귀고. 그러고 보면 120도 못사는 우리 인생에 들러붙어 있고 또 여차하면 기어들어오고자 천지 사방으로부터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고 저 더러운 악다귀들이 왜 이리 많단 말이냐.

그럼에도 인생 최대의 악다귀 중의 악다귀는 죽음이다. 필자는 그리 생각한다. 좀 더 오래 살고 싶고 좀 더 건강히 좋은 것 많이 보고 살기를 바라도 죽음이 부르면 어찌하랴. 그래도 죽음이 사람의 생명과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생명의 힘-사랑과 인간애, 의지적 힘, 결단, 지혜 그리고 영원을 향한 희망을 절대 앞서거나 따라잡지 못한다. 그래서 죽음이 우리 인생을 시샘하고 못살게 굴며 굴복시키려 저리 못난 짓을 행하나 보다. 그러하니 어차피 죽을 생명, “이리 산들 어떠하고 저리 산들 어떠하냐. 내일 죽을 목숨 오늘 마음껏 즐기다 가라. 그리고 그 못난 목숨 부지할 것은 무엇이더냐.”는 죽음의 속삭임이다.  우주의 끝이 있다면, 우주의 시간적 공간적 영원이 있다면 그 영원 너머에나 있을 죽음이란 악다귀가 마치 가장 가까이 있는 벗처럼 찾아와 손짓하면서 같이 가고자 한다면, 그래 언젠가는 누구나 가는 그 길을 가겠지만, 너와는 절대 벗 삼지 않으리라는 우뚝 솟은 기개가 있으면 좋겠다. 그러면 언제가 저 죽음이란 악다귀가 인간은 나와 더 이상 벗이 되기를 원치 않나보네 하고 스스로 벗 되기를 포기하고 영원너머로 물러갈 때가 올 것이다. 그 때가 반드시 올 것이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1,837건 18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37 시사 [한힘세설] 상식의 허실 2 한힘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2 2492
136 건강의학 [이영희 원장의 임상일지] 올바른 칫솔 사용 방법 (2) 이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8 2488
135 시사 [한힘세설] 초콜릿 한힘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3 2485
134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 일찍 가입할수록 유리한 이유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6 2481
133 밴쿠버 (서병길 평통 협회장 오피니온) BC 신민당의 대마초 옹호의 역사 서병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2473
132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Admissibility Hearing 절차 (6) – 최종 결정 (withdr…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471
131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다양한 가입 조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2459
130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알버타 vs. 사스카츄완 테크 이민 비교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2455
129 밴쿠버 그리스적 사고 또는 히브리적 사고 Daniel, Chosen …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2447
128 건강의학 [손영상 박사의 '건강하게 삽시다'] 당뇨병 2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2446
127 문화 [문예정원] 가을을 위하여 강은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3 2444
126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Admissibility Hearing 절차 (5) - 사면 간주 (Deemed…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2443
125 문화 [그레이스 강의 손거울] 진화하는 삶 그레이스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5 2443
124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지금까지 유일하게 승인받은 Temporary Resident Permit (TR…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440
123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정부 조달에 관한 캐나다 국방 장관 Harjit Sajjan : 정부에 판매 및 공급하…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2435
122 시사 [늘산 칼럼] 마태가 보았을 때와 누가가 보았을 때 늘산 박병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2434
121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순수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2433
120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4년반짜리 스터디퍼밋 (1) !!!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2433
119 건강의학 [이영희 원장의 임상일지] 임플란트 이야기 – 잇몸 만들기(1) 이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0 2431
118 건강의학 [이영희 원장의 임상일지] 수면과 치아건강 이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1 2430
117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다섯 가지 룰 (Five Rules)로 정리해보는 주정부 노미니 준수사항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 2409
116 시사 [외부투고] Pachinko를 읽고- New York Times bestseller book written … 최종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2408
115 시사 [샌디 리 리포트] Gordon Shank-Fibreglass to financial freedom: In…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2403
114 건강의학 [이영희 원장의 임상일지] 치아와 정신건강 이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399
113 시사 [샌디 리 리포트] 직장인을 위한 : WorkBC 보조 기술 서비스 (한글)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2382
112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CPC 리더 Erin O'Toole의 연말 기자 회견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6 2382
111 문화 [문예정원] 만산홍엽(滿山紅葉) 정목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6 2381
110 문화 101회 문학사랑 신인작품상 신인작품상에 당선-전재민 전재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2376
109 건강의학 [이영희 원장의 임상일지] 구취(입냄새)이야기 (1) 이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375
108 문화 해와 달과 별의 서시 / 추석 박은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369
107 건강의학 [이영희 원장의 임상일지] 틀니와 임플란트 (2) 이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6 2363
106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무서운 장기계약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 2350
105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레벨(Level)의 두 가지 다른 의미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2348
104 문화 산행사고로 사망한분의 입관식에 다녀와서 전재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2334
103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연방 EE 심각한 적체 원인과 해결책은 무엇인가?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331
102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지금까지 부었는데....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326
101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메디컬검사로 인한 입국 불가(Medical Inadmissibility…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 2318
100 건강의학 간(liver) 질환에 대한 모든 것(1)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2308
99 캐나다 [샌디 리 리포트] BC 및 캐나다 예산 2021 : 이번에 전국 보육 프로그램이 가능합니까?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2303
98 역사 욱일기를 내려라!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296
97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해약부담금’(Surrender Charge)이란?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271
96 역사 월남참전 한국군은 용병이었나?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0 2264
95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알버타 농촌 사업가 이민 전격 도입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2264
94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보험금’ or ‘해약환급금’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2254
93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빅토리아 리 박사 : 세계적인 유행병에서 "프레이저 패밀리"를 이끌고 있습니다.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2254
92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죽은 생명보험 살리기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2251
91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공평하게 부과되는 ‘순수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2245
90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유니버살 라이프의 ‘투자계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2245
89 건강의학 [건강 칼럼] 비만의 치료와 예방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2245
88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새로워진 대서양 이민 프로그램의 특징과 자격 요건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2235
87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저축성 생명보험의 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4 2224
86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 가입시 주의사항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224
85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비교불가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 2219
84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홀 라이프(Whole Life)의 혜택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212
83 문화 [문예정원] 가을의 상형문자 이상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2211
82 문화 <시인마을> 아이오나 비치에서. 전재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194
81 시사 [샌디 리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은 소송으로 선거 결과를 뒤집을 수 있을까요?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2190
80 밴쿠버 [외부원고] 비씨주의 무료 법률 서비스들은 어려움 가운데에서도 변함없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Jimmy Y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2 2186
79 시사 평화통일을 위한 화해와 상생의 정신 - "화이부동(和而不同)"을 중심으로 오강남 박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2178
78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이민항소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2159
77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해약하기 전에 검토할 사항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 2141
76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캐나다의 Covid -19 호텔 검역은 종료되어야합니다.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2089
75 문화 골프 도(道)? 오강남 박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2037
74 건강의학 [이영희 원장의 임상일지] 이보다 잇몸이다 (1) 이영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2032
73 시사 [샌디 리 리포트] Chris Chan-A Viral Market: Impact of the Covid-…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1999
72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구금 심의 (Detention Review)와 입국 허가 청문회 (Ad…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5 1994
71 문화 영혼이란 무엇인가, 있기는 한 것인가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8 1990
70 변호사 [비즈니스를 위한 법적 상식] Covid-19 백신과 일터 홍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978
69 문화 [늘산 칼럼] 교회가 얼마나 성경에서 멀어졌는가? 늘산 박병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6 1977
68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주정부 이민과 연방 이민 비교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972
67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캐나다의 혁신성과 창의성이 돋보이는 하이브리드 이민 프로그램 (EMPP…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1955
66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캐나다 안에서 난민 신청하기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1905
65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Pfizer와 Moderna Covid-19 백신 "터널 끝의 빛" 대한 희망을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8 1903
64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이민 항소, 추방 명령, 구금 심의, 난민 지위 전문 변호하는 RCIC-…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866
63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알버타 주정부 이민 AAIP는 권장할 만한 캐나다 이민 프로그램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1864
62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자진 신고와 ‘외국 입국 체류 허가용 범죄 수사 경력 회보서’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1863
61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Two things small businesses could do in May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850
60 시사 다시 출발하는 밴쿠버 한인회의 발전을 기대한다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3 1809
59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캐나다 이민의 정석 – 쉽고 안전한 길로 가자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1794
58 시사 윗물이 맑아야 -국민 상위 시대 오강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771
57 문화 「축소지향의 일본인」을 다시 읽으며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7 1739
56 문화 상식의 허실 1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1642
55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인재 전달 : 학생과 비즈니스 파트너십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1625
54 문화 원석과 조각상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517
53 문화 보릿고개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2 1511
52 문화 완구 없는 역사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501
51 문화 백면 지식인의 망언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1500
50 문화 나들이 옷의 비극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1493
49 문화 우주를 향한 질문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485
48 변호사 [BC 주 유산 상속 법 알기] 위임장 (Power of Attorney)은 어떨 때 필요한가요? 이민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1471
47 변호사 [BC 주 유산 상속 법 알기] 유산 관리는 왜 필요한가요? 이민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1461
46 문화 겨울과 참새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1453
45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밴쿠버 웨스트 지역의 작년 12월 주택 시장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1453
44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밴쿠버 웨스트 지역의 금년 1월 주택 시장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1452
43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캐나다의 주택 소유권에 대하여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1444
42 변호사 [BC 주 유산 상속 법 알기] 유언장은 왜 필요한가요 이민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1432
41 부동산 [조동욱의 부동산 정보] BC 주의 재산세 납부 연기 프로그램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1430
40 역사 식민지 조선인을 논하다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413
39 변호사 [BC 주 유산 상속 법 알기] 유산세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 있나요? 이민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1409
38 역사 제일강산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1387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