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한미전작권합의(Wartime Operational Control)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시사 | [김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한미전작권합의(Wartime Operational Control)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11-08 13:57 조회2,743회 댓글0건

본문

 누구를 위한 한미전작권합의(Wartime Operational Control) 인가?

 

11월1일은 남북적대행위를 중단하기로 한 첫째 날이자 동시에 한미 국방부장관이 모여서 서로의 합의를 밝힌 날이었다. 한국 언론에서는 전시작전통제권(Wartime Operational Control) 이야기가 모든 언론매체에서 다루어졌다. 전시 작전 통제권이란 말 그대로 전쟁 시 총 책임자가 되어 작전을 지휘하는 것인데 지금 우리의 전시작전통제권은 미국에 있었다. 또한 이후 2007년 2010년 2014년 총 세 차례에 걸쳐 미국에게 있는 전작권을 환수 받으려는 조치와 관련된 협상이 있었다. 이후 다시금 양측 국방부장관이 모여서 회담을 갖고 전작권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 것이다.

 

이에 한국에 보수 대표언론매체인 중앙일보에서는 “한•미, 내년 하반기 전작권 환수 검증 위한 연합훈련” 이라는 제목을 달았다. 또 이에 대한 주된 내용으로 "한국군이 전작권을 넘겨받을 능력을 갖췄는지 확인하려면 내년에 기본운용능력을 평가해야 한다."라는 조건이 붙은 거래라는 내용이 담겼고 정확한 전작권 전환 시점을 명기하지 않았다.  또한 " 안보 공백 우려 없나…'전작권 전환' 때 달라지는 것들" “ 전작권 전환하면 한국군 대장이 사령관을, 미 대장이 부사령관 맡는다“이라는 제목 글들이 잇따라 소개됐다. 덧붙여 전작권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에 대한 설명으로 마무리했다. 그러나 남북군사합의와 비핵화 등 미국에서 민감하게 생각하는 것들은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반해 진보 언론매체인 한겨레에서는 전작권이야기 보다는 군사합의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힘 실린 ‘남북 군사합의’…한-미 국방장관 ‘이행 협력’ 합의”라고 제목을 냈다. 또 주된 내용으로는 “‘9•19 평양공동선언’에서 채택한 남북 군사합의서 이행에 협력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한반도 평화 정착을 향한 남북의 발걸음에 더욱 힘이 실리게 됐다.”고 했다며 이야기를 풀었다. 이는 남북 군사합의 에서 시작되고 미국 국방장관이 이에 뜻을 함께했다는 취지로 보인다. 또한 흥미롭게도 “한국군 주도 미래연합사 어떻게 운영되나 한-미 국방 “남북군사합의 이행에 한-미 군당국 협력” “새 연합사, 한국군이 지휘 합의…다시 속도내는 전작권 전환” 이라는 제목과 함께 전작권 환수가 100%가 아닌데 거의 100%가깝다는 의견으로 검증이 필요하지 않는 전작권 환수 내용도 실었다. 

 

한편 미국언론에서는 뉴욕타임즈, 워싱턴 포스트 폭스뉴스 등 좌우를 가리지 않고 그 누구도 전작권 합의에 관한 이야기는 전혀 다루지 않았다. 워싱턴 포스트 같은 경우는 문대통령 김정은 국방위원장의 곧 한국에 방문할것(S.Korea’s Moon:N.Korean leader kim to visit Seoul ‘soon’) 이라고 발표했고 주요핵심 내용으로는 분석해본결과, 문재인대통령이 비핵화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북한과의 교류와 친밀감유지에 시선을 끄는 것 같아 보인다는 내용과 한국과 미국의 보수세력들은 북한은 비핵화가 목표가 아니라 완벽한 핵을 보유하기위한 시간을 끌고있다라고 생각한다라는 내용이 덧붙여졌다.(Many conservative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only wants to buy time to perfect its weapons.)‘라는 내용을 실었다. 또한 같은 날 있었던 국방부장관 회담에서 미국 국방부 장관이 한국과 미국의 군 역량이 줄어드는 우려에 대해 ‘아직은’ 걱정하지 않는다라는 발언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했다. (Defense Secretary Jim Mattis says he is not yet concerned about a loss of combat capability) 이처럼 ‘아직은’(Yet) 이라는 단어를 집어넣어서 앞으로도 상황이 달라진다면 군대 운용이나 역량이 줄어 들 수도 있다는 뉘앙스가 포함된 것으로 간주 할 수 있다.

뉴욕타임즈 또한 ‘한미 연합훈련이 북한과의 대화로 인해 중지되었다(U.S., South Korea suspend joint military exercise because of North Korea talks)라고 헤드라인을 밝히며 주요 내용들 또한 내년에 있을 가장 큰 한미 연합 훈련의 유무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라고 글을 실었다.(The U.S. and South Korea are reviewing whether they will conduct large-scale military exercises next year and will decide)

 

한편 우방 채널인 폭스뉴스는 오히려 전작권 뿐만이 아니라 한미 연합훈련자체를 언급하지 않았고 북한에서의 여성들이 얼마나 심각한 불평등한 현실에 놓여져 있는지에 관해 초점을 맞추고 보도했다.(North Korean women suffer serious sexual violence by authorities) 

이는 최근 북한에 밝은 모습만 비추어 주려고 하는 한국에 노력에 냉정한 시선으로 북한을 바라 봐야한다는 메시지가 돋보였다.

 

종합해보면, 같은 날 있었던 한미 국방부장관의 회담에서 전작권보다는 비핵화와 한미 연합훈련 북한의 인권 실태의 초점을 맞추어 보도했고 전작권합의 내용은 일체 없다는 것이다. 그에 반해 한국 언론에서만 전작권(OPCON)을 비롯해서 남북 군사합의에 대해 중점적으로 보도했다. 

 

이에 필자는 이것이 단순히 미국 언론들만 보도를 안 한 것인지 의문이 들어 트럼프대통령에 소통창구인 트위터와 백악관의 발표를 살펴보았다. 하지만 놀랍게도 트럼프 정부에서 또한 전작권 환수에 동의한다는 이야기는 일체 나오지 않았다. 

 

한국 언론들이 대서특필했던 미국과의 전시작전통치권 ‘반환’입장은 한쪽에서만 민감하게 다루고 반응해서 생각되고 있다는 것이다. 두 나라 국방부장관들이 모여서 같은 입장을 발표한 것에 비해 두 나라의 언론과 입장이 너무 다른 곳에 초점이 맞추어진 것처럼 보인다. 과연 미국입장에서는 전시작전통치권이 넘어 가는 것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인지 아니면 미국이 의도적으로 반응을 하지 않는 것인지 정확하게 파악해야 할 것이다. 이에 있어서 한국 정부는 정확한 대응을 할 것을 필자는 요구하는 바이다.

 

 

8a8cbe94206e4545c32e1b3b61df6249_1536877738_4201.jpg
김 바울, Paul R Kim,  

칼럼리스트, 통번역사, SGIC통번역강사, 현대중국학회 소속

UBC대학교 인문학부 아시아학과 학사졸업 후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국제통상 및 국제협력학 석사 취득. 과정에서 외국계 의료기업 통번역 근무를 거쳐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의사협회 영어교육과 세미나 발표 등 경력 이어 2018년 회사 리사운드 설립, 대표이사로서 통번역 및 영어, 한국어 교육사업 강연 등 진행 중.

홈페이지: https://ithepaul.wixsite.com/resound

카카오톡 Kakaotalk: paulRkim 

이메일: ithepaul@me.com

ithepaul@me.com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271건 3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1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생명보험의 명세서(Statement)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3452
70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해약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3441
69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순수보험료’와 ‘추가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2 3430
68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저평가업종투자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3414
67 금융 [경태 박사의 아름다운 은퇴를 위한 인생설계] 고소득자의 은퇴 상속전략 - 경제적인 RRSP 대체수단과 은…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3413
66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제목: ‘멍’ 잡으려다 멍든 캐나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0 3396
65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자동차 보험과 생명보험의 차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3391
64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그 놈의 정’ 때문에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3 3380
63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연 5% 수익률 올리기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3378
62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보장성’과 ‘저축성’의 차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3378
61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유가 39% 반등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3351
60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2019년 ‘한국, 미국, 북한, 캐나다’ 새해 신년사 전…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3343
59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후. 배드딜보다는 노딜.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339
58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해약시에 해약환급금이 없는 이유–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3308
57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은 가장의 의무입니다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3294
56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보험료는 서비스에 대한 비용입니다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 3288
55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순수보험료’도 비용입니다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3262
54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1분기 경제리뷰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3242
53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OFF the Record로 인해 캐-미에 NAFTA는 O…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3238
52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캐나다의 저축성 상품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3237
51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섬이 아닌 반도로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3237
50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유니버살 라이프의 주 계약과 옵션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2 3229
49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배당주 인기지속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3182
48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시의원의 입장에서 코로나 19 위기에 맞선 스티브 의 역할.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3180
47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2014년 Winner & Loser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3177
46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RRSP 3월 2일까지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3175
45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2003년 이라크 2019년 이란? 북한?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3175
44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4분기는 강세장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3173
43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하반기 유가회복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3148
42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투자성향별 자산배분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3126
41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연말 경제 현황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3098
40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미달러, 중국, 원자재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3093
39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10월 ~ 5월 상승장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3087
38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하노이의 아침에서 맞이하는 제2차 북미정상회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3078
37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유니버살 라이프의 탄생과 구조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3077
36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금리, 유가, 루니 삼저(三低)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3050
35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1분기 유럽, 중국 약진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1 3034
34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단기조정 매수기회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015
33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놓치기 쉬운 유니버살 라이프의 함정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3002
32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경제 및 주식 전망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0 2994
31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미국금리인상 다가와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979
30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캐나다 경제현황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2965
29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금리인상은 내년에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2956
28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또 다시 금리주목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951
27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가을은 매수기회?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944
26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보험료 해부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8 2929
25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 한일 초계기 갈등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2913
24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국내보다 해외 투자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908
23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순환주 비중확대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2887
22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QE종료와 주식시장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2868
21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보험금’에 대한 ‘비용’(순수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817
20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캐나다의 비과세 소득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2809
19 금융 정아의 투자의 맥(脈): 2015년 추천업종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2801
열람중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한미전작권합의(Wartime Operational Contr…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2744
17 시사 [바울 번역가의 영자지와 한국 언론 논조 비교]바울 번역가의 외국언론과 한국언론 비교분석.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644
16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 일찍 가입할수록 유리한 이유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6 2528
15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다양한 가입 조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2496
14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의 ‘순수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2484
13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무서운 장기계약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 2379
12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레벨(Level)의 두 가지 다른 의미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2377
11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지금까지 부었는데....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367
10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보험금’ or ‘해약환급금’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2307
9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해약부담금’(Surrender Charge)이란?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305
8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유니버살 라이프의 ‘투자계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2284
7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죽은 생명보험 살리기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2282
6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공평하게 부과되는 ‘순수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2282
5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저축성 생명보험의 보험료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4 2260
4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생명보험 가입시 주의사항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257
3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홀 라이프(Whole Life)의 혜택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248
2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비교불가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 2246
1 금융 [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해약하기 전에 검토할 사항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 2169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