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궁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캐나다를 떠난 후, 주택 양도소득은?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금융 | [ 남궁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캐나다를 떠난 후, 주택 양도소득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06-01 12:16 조회5,578회 댓글0건

본문

  • 질문

 

                  O씨는 자녀들이 모두 성장하면서 캐나다를 떠나 한국으로 돌아갈 계획입니다. O씨는 현재 캐나다에 본인과 가족들이 살고 있는 주택이 있는데 한국으로 돌아간 이후에는 두 자녀가 살 예정입니다. 캐나다를 떠나면서 주택을 자녀에게 증여할 것을 생각하기도 하였으나 당분간은 본인 명의로 갖고 있기로 했습니다. O씨는 법적으로 캐나다 내에 주택을 계속 보유하는 것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캐나다를 떠난 이후 주택을 매각해서 발생할 세금 문제가 걱정입니다. O씨는 주거주지 주택의 양도소득에 대해 세금을 내야 한다면 이를 최소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 검토

 

 

캐나다를 떠나는 시점에서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은 그 소재지에 따라 세법상 처리가 달라집니다. 우선, 일부의 예외를 제외하면 해외에 있는 부동산은 떠나는 시점의 시장가격에 매각한 것으로 간주하고(Deemed disposition) 양도소득에 대한 세금, 즉 출국세를 내야 합니다. 하지만 캐나다 내에 있는 부동산은 출국세 대상에서 제외되므로 간주매각 처리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납세자가 원할 경우 간주매각 처리할 수 있습니다. 한편, 캐나다 세법에서는 본인이나 가족 등이 살았던 주택에서 발생하는 양도소득에 대해서는 비과세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혜택은 캐나다 거주자에게만 제공되므로 비거주자는 캐나다를 떠난 이후 발생한 주거주지 주택의 양도소득에 대해 세금을 내야 합니다. 이러한 경우 비거주자는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양도소득세를 줄일 수 있는지 O씨의 경우를 예를 들어 살펴보겠습니다. O씨의 주택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살펴보면 첫째, 2005년 5월에 $500,000에 주택을 취득하였고, 둘째, O씨가 떠날 시점인 2015년 7월의 부동산 시세는 $800,000으로 이때까지 $300,000($800,000 - $500,000)의 양도차익이 발생하였습니다. 한편, O씨는 캐나다를 떠나고 5년 후인 2020년에 동 주택을 $1,000,000가량에 팔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O씨가 캐나다를 떠나는 시점에서 주거주지 주택의 양도소득과 관련하여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의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캐나다를 떠나면서 시장가격에 판 것으로 간주하고 같은 가격에 재취득한 것으로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O씨가 시장가격인 $800,000에 부동산을 판 것으로 신고할 때, 떠나는 시점까지 발생한 양도차익에 대해서 주거주지 비과세 혜택을 이용하면 낼 세금은 없습니다. 한편 세법상 O씨의 부동산 취득금액은 $500,000에서 $800,000으로 변경되므로 O씨가 2020년에 부동산을 $1,000,000에 매각한다면 양도차익은 $200,000($1,000,000 - $800,000)으로 계산되고 이 중 50%인 $100,000을 과세소득으로 신고합니다. 이때 비거주자인 O씨가 내야 할 세금은 $29,000가량으로 예상됩니다. 둘째, 비거주자가 되는 시점에서 간주매각한 것으로 처리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이때는 O씨가 실제로 부동산을 매각하는 2020년에 양도소득을 계산하고 이에 대한 세금을 내게 되는데 O씨가 캐나다에 살면서 주택을 주거주지로 이용한 기간에 대해서는 세금을 면제받습니다. 이에 따라 양도소득세를 계산하면, 총 매각이익은 $500,000($1,000,000 - $500,000)이고 이 중 보유 기간 16년(2005년~2020년) 중 캐나다 거주 기간인 11년(2005년~2015년)과 세법에서 추가로 인정해주는 1년을 더한 12년을 제외한 4년에 해당하는 부분이 과세되는 양도차익입니다. 이에 따라 양도소득은 $500,000에 4/16를 곱한 $125,000으로 계산되고 이 중 50%가 과세되므로 세금은 $16,000가량으로 예상됩니다.

 

위의 두 가지 경우 양도소득세가 달라지는 이유는 비거주자가 된 이후의 주택가격 변동과 비과세 기간의 비율(총 보유연도 중 주거주지로 지정한 기간)의 변동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첫째, 비거주자가 된 이후 주택 가격이 오르지 않거나 오랫동안 주택을 보유할 것으로 예상되면 간주매각으로 처리하여 주택의 취득원가를 변경하는 것이 유리하고 둘째, 비거주자가 된 이후 주택 가격이 급하게 오르거나 짧은 기간 내에 팔 것으로 예상될 때에는 간주매각으로 처리하지 않는 것이 유리합니다.

 

한편 주택 가격 변동에 대한 예측이 어렵고, 최종적으로 각 방법 간의 세금 차이가 크게 발생한다면 최종 매각 시점에서 두 가지 방법에 대한 양도차익을 계산한 후, 유리한 방법을 소급하여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간주매각처리가 유리한 것으로 계산되면 늦게라도 간주매각 신청을 하면 됩니다. 하지만 늦게 신청할 때에는 최대 $8,000까지의 벌금을 내야 하고, 최초 신청 가능 기간으로부터 10년이 지나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한편, 캐나다를 떠나는 시점에서 캐나다 부동산을 간주매각한 것으로 신고하기 위해서는 떠나는 연도의 세금신고서에 T2061A(Election by an Emigrant to Report Deemed Dispositions of Taxable Canadian Property and Capital Gains and/or Losses Thereon) 양식을 첨부해야 하며, 이 때에는 양도세 계산을 위한 T1243(Deemed Disposition of Property by an Emigrant of Canada) 양식 및 보유자산 신고를 위한 T1161(List of Properties by an Emigrant of Canada) 양식도 함께 첨부해야 합니다.

 

  • 답변

 

 

O씨는 캐나다 내 주거주지 주택에 대해서 캐나다를 떠나는 시점에서 이를 간주매각한 것으로 신고하거나 신고하지 않는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O씨의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해 보면 떠나는 시점에서 주택을 간주매각 처리할 경우 양도소득세를 $29,000가량 내야 하지만, 간주매각 처리하지 않을 때는 $16,000가량의 세금만 내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O씨는 캐나다를 떠나는 시점에서 주거주지 주택을 간주매각 처리하지 않는 것이 유리합니다. 각 방법에 따라 내야 할 세금은 캐나다를 떠난 이후의 부동산 가격 변동 및 보유 기간 등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캐나다를 떠난 이후 매각 시까지 부동산 가격이 급하게 상승하거나 보유 기간이 짧을 것으로 예상된다면 간주매각 처리하지 않는 것이 유리합니다. 한편, 비거주자의 세금신고는 캐나다를 떠난 연도의 다음 연도까지 하면 되므로 떠난 이후의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ngj.gif
남궁 재 회계사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245건 3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5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사회가 원하는 영주권자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3984
44 변호사 [문변과 함께 떠나는 법률 여행] 캐나다 법률, 살인 사건 어떻게 처벌할까 ?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5860
43 부동산 [부동산 칼럼] 캐나다 중앙은행 기준금리 동결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3763
42 변호사 [캐나다 법률 여행] 비즈니스 거래할 때 검토해야 할 사항들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6946
41 변호사 [캐나다 법률 여행] 차별을 참지 마세요 !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5137
40 변호사 [캐나다 법률 여행] B.C주에 있는 법원, 어떤 것일까 ?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5659
39 이민 [이민칼럼] 캐나다 이민역사 150년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 6790
38 금융 [ 채무 칼럼] 캐나다에서 가장 싸게 파산하는 방법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4374
37 변호사 캐나다 헌법, 어떻게 제정되었나 문대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5913
36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외국인 노동자들의 명과 암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6 5250
35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영주권은 어떻게 받나?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10166
34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난민정책의 이모저모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2 4788
33 이민 [이민 칼럼] 개선되는 캐나다 이민정책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8 4200
32 금융 캐나다 국세청은 세금체납자의 세금을 감면해 줄까요? (2)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3784
31 금융 캐나다 국세청은 세금체납자의 세금을 감면해 줄까요? (1)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3508
30 금융 캐나다 새 정부예산안과 재정관리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1 3985
29 이민 [이민 칼럼] 6개월 유예된 캐나다 전자 여행 허가제도(eTA)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4010
28 이민 캐나다 난민정책이 이민자에 미치는 영향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2 5804
27 금융 2016년 새해 캐나다 경제 전망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8 5579
26 금융 캐나다에서 채무청산하는 방법 – 개인회생 (4)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8 5687
25 금융 캐나다에서 채무청산하는 방법 – 개인회생 (3)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 4223
24 건강의학 ‘한국식’ 음식, ‘캐나다식’ 음식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 4114
23 금융 캐나다에서 채무 청산하는 방법, 무엇이 있을까 ?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4668
22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새 정부의 난민정책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3 3727
21 금융 [SUNNIE JUNG과 함께 하는 채무 칼럼] 캐나다에서 신용카드 채무 청산 방법(2)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0 3721
20 금융 [SUNNIE JUNG과 함께 하는 채무 칼럼] 캐나다에서 신용카드 채무청산 방법 (1) 써니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3 3616
19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영주권 포기절차 개정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5962
18 금융 [남궁 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한국 거주자의 캐나다 부동산 취득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7505
17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사회가 이민과 외국인 노동자를 보는 두 가지 시선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6 4454
16 부동산 [부동산 칼럼] 캐나다의 주택 소유권에 대하여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6 5021
15 이민 이민칼럼 - 노동허가서 발급과 캐나다 내 노동력 부족현상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3930
14 이민 [이민 칼럼] BC 주정부 North West 지역 파일럿 프로그램과 캐나다 내 주정부이민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4337
13 이민 [이민칼럼] 배우자 초청서류 신청 시 캐나다 안(Inside)과 밖(Outside)의 차이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7 6394
12 이민 [이민칼럼] 캐나다 무비자 방문 시 주의할 것 들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5758
열람중 금융 [ 남궁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캐나다를 떠난 후, 주택 양도소득은?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5579
10 이민 [이민칼럼] 한국–캐나다 FTA발효와 취업비자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5285
9 금융 [김순오 회계사의 세무 칼럼] 2014년도 캐나다 세법 변경 사항 김순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4234
8 금융 [김정아의 투자의 맥(脈)] 캐나다경제전망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0 3672
7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가 Express Entry 를 시행하는 이유 Q&A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4710
6 이민 [이민칼럼] 캐나다 사회에서 보는 강제결혼 풍습과 동성애자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4033
5 금융 [김정아의 투자의 맥(脈)] 캐나다 경제현황 김정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2967
4 이민 [이민칼럼] 캐나다가 필요로 하는 이민자의 수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4334
3 이민 [이민 칼럼] 캐나다 입국 거절과 출국명령 리앤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30 7688
2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나무로 지은 캐나다 집 소음으로부터 완전히 자유 할 수 없어!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5177
1 금융 [김경태 박사의 아름다운 은퇴를 위한 인생설계] 캐나다인의 미국 해외자산 보고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4926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