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해약시에 해약환급금이 없는 이유–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금융 |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이야기] 해약시에 해약환급금이 없는 이유–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1-04-28 08:28 조회3,271회 댓글0건

본문


 과거에 생명보험에 가입했다가 이런 저런 이유로 해약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생명보험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많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동안 많은 보험료를 내었음에도 불구하고 해약하니 아무 것도 안 돌려 받았거나, 그동안 낸 보험료에 비하여 너무 턱없이 적은 돈을 돌려 받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잘못된 고정관념은 생명보험에 대한 비상식적인 욕심에 근거하거나 그렇지 않다면 생명보험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되는 것입니다.   


 생명보험에 가입하는 이유는 본인 사망시에 가족에게 닥칠 경제적 위험을 대비하기 위한 ‘보험금’(Death Benefit)을 보장받기 위함입니다. 그리고 그 ‘보험금’을 받으려면 가입시에 확정된 ‘순수보험료’(Insurance Cost)를 사망시까지 생명보험사(이하 생보사)에 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순수보험료’는 자동차 보험의 보험료와 마찬가지로 생보사에 ‘비용’으로 지불되기 때문에, 자동차 보험료를 선불로 내지 않으면 사고시에 보험의 혜택을 못 받듯이 생전에 ‘순수보험료’의 지불을 중단하면 사망해도 ‘보험금’은 지급되지 않습니다. 생보사는 이렇게 가입자들이 낸 ‘순수보험료’를 축적했다가, 사망 선착순으로 목돈의 ‘보험금’을 지급합니다. 따라서 자동차 보험료의 지불을 중단하면 아무런 환급금이 없듯이, 생명보험도 사망 전에 ‘순수보험료’의 지불을 중단하면 아무런 환급금이 없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순수보험료’만 부과된 것을 ‘보장성’ 상품이라고 합니다.   


 ‘보험금’의 보장이 생명보험의 주 기능이라면 한편으로는 재산없이 오래 사는 것도 위험으로 볼 수 있기에, 그런 위험을 대비하기 위하여 본인이 생전(노후)에 사용할 자금의 축적까지 고려한 것이 ‘저축성’ 상품입니다. 따라서 ‘저축성’은 본인이 생전(노후)에 사용할 자금의 축적을 위하여 ‘추가보험료’를 내게 되고, 그 ‘추가보험료’는 ‘비용’으로 소멸되지 않고 투자수익율과 투자기간에 따라 별도로 축적되는데, 그것이 바로 ‘해약환급금’(Cash Surrender Value)입니다. 그리고 그 ‘해약환급금’을 매년 나누어 지급받는 것이 ‘연금’(Annuity)입니다. 즉 ‘연금’은 ‘보험금’을 미리 당겨서 생전에 지급받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순수보험료’만 내는 ‘보장성’은 ‘연금’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텀10(Term10), 텀20(Term20), 텀100(Term100)등과 같은 텀 라이프(Term Life)는 ‘순수보험료’만 부과되는 ‘보장성’ 상품입니다. 따라서 사망 전 해약시나 보험기간 만기 생존시에는 당연히 아무 것도 돌려받지 못합니다. 마찬가지로 ‘저축성’ 상품인 홀 라이프(Whole Life, 이하 홀라)나 유니버살 라이프(Universal Life, 이하 유라)에 가입하여 ‘(순수+추가)보험료’를 냈더라도 사망 전에 계약을 해지하면 ‘순수보험료’는 환급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그동안 낸 ‘순수보험료’는 ‘보험금’에 대한 ‘비용’으로 생보사에 이미 지불되어 소멸되었기 때문입니다. 


 홀라와 유라는 보험기간이 평생인 종신보험(Permanent Insurance)입니다. 따라서 모든 인간은 반드시 사망하기 때문에 약속한 보험료를 생보사에 내는 한 언젠가는 반드시 ‘보험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홀라는 생보사가 ‘(순수+추가)보험료’를 부과하여 ‘보험금’과 ‘해약환급금’을 보장하는 반면 유라는 생보사가 ‘순수보험료’만 부과하여 ‘보험금’만 보장하고 ‘해약환급금’의 축적을 위한 ‘추가보험료’는 전적으로 가입자의 소관이라는 점이 다릅니다. 즉 유라는 가입자가 ‘순수보험료’만 내면 ‘보장성’이 되고, ‘해약환급금’의 축적을 위한 ‘추가보험료’를 임의로 더 내면 ‘저축성’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그것이 ‘보장성’이든 ‘저축성’이든 상관없이 ‘보험금’에 대한 ‘비용’인 ‘순수보험료’는 생보사에 지불되어 소멸되는 것입니다. 그러니 사망 전에 계약을 해지하고 그동안 지불한 ‘순수보험료’를 안 돌려준다고 불만을 토로해서야 되겠습니까?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618건 7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8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소양인과 소음인 부부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3887
17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공포의 그린사이드 벙커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936
16 이민 [이민칼럼] 새 시민권법 일부 발효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 7157
15 부동산 밴쿠버 지역의 1/4분기 상업용 부동산 매매 동향 조동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4513
14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생명보험 해약시 주의사항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4475
13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자존심이 강한 사람, 이기심이 강한 사람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4480
12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여름철 비거리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3355
11 부동산 비트코인(bitcoins)과 부동산거래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5036
10 금융 두마리 토끼를 잡으려면...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3786
9 건강의학 [다니엘 한의원의 체질 칼럼] 좋은 일 하고도 욕먹는 사람 권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4004
8 이민 [이민칼럼 – 이경봉] 변경된 시민권 제도와 이민소식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6 6914
7 금융 저금리시대 절세투자전략 김경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6 3828
6 문화 6월의 청량한 콘서트 'AGAIN GOGO' 박은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6 2680
5 밴쿠버 (서병길 평통 협회장 오피니온) BC 신민당의 대마초 옹호의 역사 서병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2472
4 밴쿠버 (서병길 평통 협회장 오피니온) BC 신민당의 대마초 옹호의 역사 --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2625
3 문화 101회 문학사랑 신인작품상 신인작품상에 당선-전재민 전재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2372
2 문화 산행사고로 사망한분의 입관식에 다녀와서 전재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2333
1 이민 [이민 칼럼] '장애자녀' 또는 '장애 부모' 초청 이민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3 6753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