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칩샷(Chip shot)과 피치샷(Pitch shot) > 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문화 |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칩샷(Chip shot)과 피치샷(Pitch shot)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4-06 16:42 조회3,641회 댓글0건

본문

PGA투어 발스파(Valspar) 챔피언십에서 무명의 애덤 헤드윈(Adam Hadwin) 선수가 우승을 차지하였습니다. 헤드윈은 캐나다 BC주 아보츠포드(Abbotsford)에 거주하고 있다고 합니다. 모처럼의 캐네디언 우승이고 비록 백인이지만 가까이 사는 이웃이라서 그의 우승이 반갑게 느껴지는가 봅니다.

 

사본 -day.pitch.pl-xayers.16.jpg

사진 설명: PGA프로골퍼 제이슨 데이(Jayson Day)의 피치샷

 

골프게임에 GIR(Green in Regulation)이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GIR은 흔히 파온(Par 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파(Par)에서 2타를 뺀 타수로 그린에 올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공을 그린에 올릴 때,
파3홀에서 한 번(One shot)에 올리는 경우,
파4홀에서 두 번(Two shot)에 올리는 경우 그리고
파5홀에서 세 번(Three shot)에 올리는 경우를 GIR 또는 파온 했다고 합니다.


온 그린(On green)을 하게 되면 공을 홀에 굴려 넣는 퍼팅이 기다리고 있으며 파온 이후 2개의 퍼팅으로 홀 아웃을 하게 되면 파(Par)를 했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골프는 골퍼의 의도대로 결과가 만들어지지는 않습니다. 파온이 되지 않은 경우가 비일비재(非一非再) 하다는 이야기입니다. 파온 즉, GIR은 프로골퍼의 경우 70%를 상회하지만 아마추어의 경우 50%를 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럴 경우 공은 정규타수(Regular stroke)만에 그린에 올라가지 못하고 그린 주변에 머물러 있게 되고 골퍼는 숏게임(Short game)을 해야만 합니다. 숏게임이란 말그대로 짧은 거리의 샷을 의미하며 통상 홀까지 100 yds이내의 샷을 통칭(通稱)합니다.


서론이 길어졌는데, 숏게임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는 것이고 숏게임의 대표이라고 할 수 있는 칩샷(Chip shot)과 피치샷(Pitch shot)에 대해 간단히 언급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가까운 거리에서 공을 홀에 접근 시키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공을 낮은 탄도(彈道)로 보내서 많이 굴러가도록 하는 방법, 다른 하나는 공을 높은 탄도로 보내서 공중(空中)으로 많이 날아가고 굴러가는 거리를 짧게 하는 방법입니다. 전자를 칩샷이라고 하고 후자를 피치샷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굳이 정량적으로 표현하라고 한다면 칩샷은 공중으로 날아가는 거리 – 캐리(Carry) – 보다 착지 후 굴러가는 거리 – 런(Run) – 가 더 긴 샷이고 피치샷은 반대로 캐리보다 런이 짧은 샷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 각각의 요령에 대하여 간략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칩샷과 피치샷은 많은 거리를 필요로 하는 샷이 아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좁은 스탠스를 선 상태에서 체중은 왼발 쪽에 더 두어야 하고 스윙중 체중이동이 많지 않으며 스윙의 크기가 작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칩샷은 런닝 어프로치(Running Approach)라고 불리기도 하며 (낮은 탄도를 만들기 위하여) 헤드 로프트(Loft)가 낮은 클럽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공의 위치는 오른발 부근에 놓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스트로크(Stroke)는 손이 공 보다 앞에 있는 핸드퍼스트 또는 다운블로(Down Blow)가 이상적입니다. 또한 손목의 움직임을 자제하는 것이 좋으며 이는 일정부분 퍼팅스트로크를 연상하면 됩니다.


이에 반해 피치샷은 칩샷보다 높은 탄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로프트가 더 큰 클럽이 유리합니다. 그리고 칩샷 보다는 공을 왼쪽에 위치시키며 되며 손목의 부드러움을 어느 정도 살릴 필요가 있습니다.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는 우리 속담처럼 골프는 더 적은 타수를 기록하는 골퍼가 이기는 게임이고 어떤 방식의 숏게임이던 공을 홀에 더 가까이 붙일 수 있다면 그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칩샷이던 피치샷이던 선택은 골퍼의 오롯이 몫입니다. 하지만, 골프 인스트럭터들은 입을 모아 이야기 합니다. ‘가능하다면 공을 굴려서 보내’라고요. 일반적으로 그것이 더 쉽고 정확하기 때문입니다.

 

 

골프 티칭프로 최광범(K.B Choi)
kbchoigolf@gmail.com
778-994-7315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권호동
그레이스강
김경태
김양석
민동필
박혜영
서동임
심현섭
아이린
안세정
유상원
이경봉
이용욱
조동욱
조영숙
주호석
최광범
최재동
최주찬
한승탁
Total 36건 1 페이지
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6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구금 심의 (Detention Review)와 입국 허가 청문회 (Ad…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5 1988
35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메디컬검사로 인한 입국 불가(Medical Inadmissibility…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 2308
34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지금까지 유일하게 승인받은 Temporary Resident Permit (TR…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427
33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Temporary Resident Permit (TRP) 의 요건 및 절차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2837
32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Admissibility Hearing 절차 (6) – 최종 결정 (withdr…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455
31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추방 결정하는 입국 허가 청문회(Admissibility Hearings…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4 2686
30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Admissibility Hearing 절차 (5) - 사면 간주 (Deemed…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2431
29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Admissibility Hearing 절차 (4)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2579
28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간주된 사면(deemed rehabilitation)과 확인방법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2955
27 시사 [외부투고] Pachinko를 읽고- New York Times bestseller book written … 최종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2398
26 밴쿠버 [샌디 리 리포트] 정부 조달에 관한 캐나다 국방 장관 Harjit Sajjan : 정부에 판매 및 공급하… 샌디 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2422
25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2020-2021 포스트 그레쥬에이션 워크퍼밋 (Post Graduat…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3387
24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Admissibility Hearing 절차 (3)-약식명령문 번역본에 폭행이 …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3807
23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Admissibility Hearing 절차 (2)-범죄기록과 약식명령문에 오…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 4020
22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Admissibility Hearing (1)-CBSA 오피서와 인터뷰 후 개…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4 3903
21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매니토바 주정부 이민 - Skilled Workers in Manito…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2 5825
20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PGWPP(Post-Graduation Work Permit Progra…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6 4278
19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혈중알콜농도 0.08 미만 음주운전 기록과 Criminality 이슈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6883
18 이민 [이민칼럼-이경봉] 인도주의에 의거한 이민신청 (Humanitarian Compensation Categor… 이경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 5131
17 이민 [박혜영의 더불어 캐나다 살아가기] 초청된 부모님의 노년 연금(Old Age Security) 박혜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7820
16 건강의학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유틸리티 아이언(Utility Iron)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3405
15 이민 [최주찬의 이민칼럼] 브릿징 오픈 취업비자 (Bridging Open Work Permit) 최주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6895
14 이민 [조영숙의 캐나다 이민칼럼] 사면(Rehabilitation) 신청의 요건 조영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5 6337
13 부동산 [이용욱의 부동산 레이더] Coquitlam, Westwood Plateau, Silver Oak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4333
12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현금’(Cash Surrender Value) or ‘보험금’(Deat…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6696
11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보험금’(Death Benefit)과 ‘해약환급금’(Cash Surre…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4580
10 부동산 렌트용 베이스먼트 허가 (Legal Suite) 를 받으려면,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4941
9 금융 [김양석의 알기 쉬운 보험 이야기]- ‘보험금’(Death Benefit)에 대한 ‘순수보험료’는 비용입니다… 김양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4029
8 부동산 비트코인(bitcoins)과 부동산거래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5030
열람중 문화 [최광범 프로의 골프이야기] 칩샷(Chip shot)과 피치샷(Pitch shot) 최광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3642
6 부동산 전기 차단기(Circuit Breaker) 리셋(Reset) 방법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1 10439
5 부동산 [부동산 칼럼] 계약금 (Deposit) 문답 최재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1 6065
4 건강의학 [ '건강하게 삽시다'] 간염(Hepatitis) 손영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6 3656
3 부동산 It ain't over till it's over 이용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4270
2 부동산 [한승탁의 주택관리 길라잡이] 나는 우리 집 핸디맨 (6) - 벽 전기 스위치 교체(Replacing a W… 한승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2 4785
1 금융 [남궁 재 회계사의 부동산 세금 이야기] 해외 부동산 양도소득 신고(Foreign capital gain) 남궁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8287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