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루어 나가는 두뇌능력을 소유한 지도자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가입후 관리자의 승인을 받고 나서 글을 작성 할 수 있습니다.

아래 이메일로 가입하신 이메일 주소를 알려 주시면 회원 등업을 해드리겠습니다.

info@joongang.ca

자유게시판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루어 나가는 두뇌능력을 소유한 지도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1-01-22 11:27 조회1,385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루어 나가는 두뇌능력을 소유한 지도자

   

이 내용은 민동필 박사가 학생 또는 부모들로부터 받는 공부 방법, 두뇌의 발달, 사고력을 키우는 방법 그리고 공부 방법과 사회문제 등에 관한 질문들에 답을 하는 내용입니다. 이와 비슷한 주제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는 분들은 min@PonderEd.ca로 연락주세요.

   

◆ 지금까지의 민 박사님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생각해보니 일반적인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은 모두 외부로부터의 자극을 받았을 때 시작되는 것 같아요. 무엇인가 원하는 것이 있는 경우 또는 당면한 문제가 있을 때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생각을 시작하는 것 같거든요. 그리고 조금 더 깊이 들여다보면 이러한 두뇌능력을 사용한다는 것도 쉽지는 않은 것 같아요. 만일 이러한 두뇌능력이 가능했다면 현재 코로나로 인해 모이지 못해 힘들고 우울해 하는 사람들이 많은 상황에서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았어야 할 것 같은데 정부가 내놓는 수많은 방법들도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는 것이 현실이잖아요. 그만큼 힘들다고 보이는데 이 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간 두뇌능력이 외부의 자극 없이도 사고를 시작하는 두뇌능력이라고 했잖아요? 그리고 그 예로 공자, 맹자, 노자 등 성인이라고 하셨고요. 조금 더 자세하게 이야기 해 주실 수 있나요? 

   

- 그러죠. 혹시 노자의 도덕경을 읽어보신 적 있으세요? 

   

◆ 아니요. 민 박사님은 읽어보셨나요? 

   

- 아니요. 저도 읽어보지 않았어요. 하지만 대신 ‘노자를 웃긴 남자’라는 책을 읽었죠. 

   

◆ 어떤 책이었나요? 

   

- 도올 김용옥이라는 사람은 들어보셨죠? 

   

◆ 예, 들어봤죠. TV에서도 몇 번 봤고요. 그 사람이 쓴 책이었나요? 

   

- 아니요. 그 사람의 강의를 듣고 내용이 너무 엉망진창이라고 생각한 사람이 도덕경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 것인지를 보여주는 내용의 책이었어요. 

   

◆ 도올 김용옥이라면 인정받는 학자인데 그 사람의 해석이 틀렸다고 주장하는 내용의 책이라고요? 

   

- 예.

   

◆ 그게 사실이라면 도올 김용옥은 학자라고 볼 수 없겠네요?

   

- 사실 제 생각은 조금 달라요. 학자는 연구를 하는 사람들을 뜻하잖아요? 연구라는 것은 같은 내용도 다른 각도에서 보고 또 해석을 하는 방법도 바꿔가며 고서들의 내용을 분석하는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죠. 

   

◆ 그 말은 도옥 김용옥의 경우에는 주어진 문장을 있는 그대로 해석하는 것에 매달린 것이 아니라 새로운 각도에서 자신이 분석을 했다는 뜻인가요? 

   

- 저는 그렇게 봐요. 반대로 ‘노자를 웃긴 남자’를 쓴 작가는 내용을 있는 그대로 한국어로 번역했다고 볼 수 있고요. 

   

◆ 그러면 어느 것이 더 믿을 수 있는 내용인가요? 

   

- 글쎄요. 예를 들어 코로나 바이러스가 퍼지는 경로에 대한 의견이 분분해 온 것처럼 학자들은 각각 다른 관점에서 관찰하고 실험한 내용을 근거로 자신들의 이론을 이야기 하지만 모든 것을 한 번에 다 설명하지는 못하죠. 이렇듯 도올 김용옥과 같은 학자들이 해석한 내용이라고 해서 모두 신뢰할 수 없어요. 그렇다고 해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처음 퍼지기 시작했을 때 나왔던 ‘코로나 바이러스는 큰 비말에 의해 퍼진다!’라는 이론을 철석같이 믿고 모든 상황을 거기에 맞춰 해석을 한다면 그것도 신뢰할 수 없겠죠. 

               

                                               

           

   

◆ 그렇다면 결국 학자로서 다른 견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것도 또 해석에 충실해서 해석한 내용도 둘 다 신뢰할 수 있는 게 없다는 뜻인가요? 

   

- 그렇게 봐야겠죠. 하지만 사고력을 키우는 공부를 한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도올 김용옥의 도덕경에 대한 해석이 아닌 그 사람의 접근법을 배우는 것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겠죠. 

   

◆ 그렇군요. 그런데 왜 갑자기 이 이야기를 꺼내신 건가요? 질문과는 동떨어진 내용 같은데요. 

   

- 이제 연결해 볼게요. 도올 김용옥이 도덕경을 강의하고 ‘노자를 웃긴 사람’을 쓴 작가가 그것을 비판하는 등의 행위는 도덕경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죠? 

   

◆ 그렇죠. 도덕경이 없었으면 도올의 강의도 책도 없었을 테니까요. 혹시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 중 외부의 자극을 통해 두뇌가 움직이는 것을 이야기하기 위해서 예를 든 건가요? 

   

- 맞아요. 그러면 이제 원작자인 노자의 경우를 생각해 볼게요. 도덕경을 쓸 때 노자는 어떤 외부자극을 받았었을 까요? 

   

◆ 글쎄요? 사람들의 살아가는 모습 아닐까요? 

   

- 그렇죠? 사람들의 살아가는 모습을 관찰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생각을 시작했겠죠? 

   

◆ 예. 그것도 외부로부터의 자극이 아닐까요? 

   

- 외부로부터의 자극처럼 보일 수 있겠지만 사실 관찰을 하는 사람의 두뇌능력에 따라 생각을 시작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달라지기 때문에 꼭 그렇지는 않아요.

   

◆ 무슨 뜻인지 이해가 가지 않는걸요. 

   

- 이렇게 생각해 볼게요.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은 누구든지 관찰을 할 수 있는 것이고 또 관찰을 해 온 것들이니 노자만이 특별히 다르게 본 것이 있다고 할 수는 없죠? 지금 질문자도 살아오면서 사람들의 다양한 모습을 관찰해 오지 않았나요? 

   

◆ 예, 보고 듣고 느끼고 살았죠. 이렇게 이야기하고 보니 조금 알 것 같네요. 누구든 보고 듣고 느끼며 살아가지만 그러한 것들을 가지고 생각을 시작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는 뜻이로군요. 예전 스티브 잡스의 경우처럼, 수많은 사람들이 과거 컴퓨터가 흔하지 않던 시절 대학에서 알림판을 손 글씨로 써서 붙였고 또 그것을 읽었지만 필체를 컴퓨터에 접목하겠다는 생각을 했던 사람은 없었다는 것과 같군요.

   

- 예. 맞아요. 누구든 사람들의 삶을 관찰할 수 있지만 도덕경과 같은 내용을 스스로 생각해내고 정리할 수 있는 사람은 역사에 몇 되지 않는다는 뜻이죠. 그러니까 노자와 같은 사람들이 역사에 남아 아직도 내려오고 있는 것 아니겠어요? 

   

◆ 그렇군요. 누구든 보고 듣는 것들이지만 그러한 것을 사고로 이어가는 것은 정말 쉽지 않아 보이네요. 역사에서 천재들을 찾아보기가 어려운 이유도 여기에 있는 것 같고요. 그런데 이런 두뇌능력을 성인들의 두뇌능력이라고 본다면 석가모니나 예수도 성인이라고 불리는데 그 이유가 이러한 두뇌능력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봐야 하는 것인가요?

   

408253482_LW5Era7v_1a351858c145fbd98e2d1c310823fde36e17b06f.png

===================================================

민동필 박사는 미국 워싱턴주의 Washington State University에서 생화학/생물물리학 박사학위를 받고 뉴욕의 코넬대학 의과대학 (Weill Cornell Medical School)에서 박사 후 과정을 거쳤으며 콜럼비아 대학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있었다. 이후 캐나다로 이민 오면서 캐나다 국립 연구원에서 연구를 하며 동시에 혈우병 치료제에 관한 연구를 몬트리올에 위치한 콩코디아 대학의 겸임교수로 있으면서 진행했다. 이후 밴쿠버로 이주한 후 고기능 자폐아들의 교육을 위해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년간 진행해 왔고 그 결과 학생 및 일반인들이 할 수 있는 공부 방법으로 확장하여 최근 ‘사고의 전개과정을 기반으로 한 교육’이라는 새로운 공부 방법을 만들어 세상에 내어 놓았다. 새로운 공부 방법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http://www.PonderEd.ca 에서 볼 수 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51건 2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91 지식을 배우는 공부는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1203
190 절대평가라는 방법으로 학생들을 평가하겠다는 한국정부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1194
189 두뇌가 나를 조종하는가? 내가 두뇌를 통제하는가?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1193
188 개천에서 용이 난다?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1192
187 지식을 익히는 공부의 역효과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1191
186 그대여, 피라미드의 꼭대기에 오르고 싶은가?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1189
185 9월 18일 오후 5시 30분 유튜브 생물학 라이브 강의를 시작하며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 1187
18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만큼 글쓰기가 어렵고 힘든데 왜 그런가요?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1180
183 예습 복습 공부 방법의 응용 (유튜브 비디오)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1178
182 명령하는 자를 따른다는 것은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1174
181 Concepts of Biology and Study methods Lecture series – Cells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1172
180 효과적인 공부 방법이란?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1171
17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용? 중도?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 1170
178 생물학 + 공부방법: 심혈관계 1부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1164
177 생물학 + 공부방법: 호흡체계 1부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1160
176 공부와 자녀교육에 대한 모든 것 - 자녀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 (유튜브)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3 1155
17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가진 지식의 양이 많아야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는 건가요?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9 1154
174 (동영상) 코로나 바이러스로부터 나를 조금 더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9 1150
173 유튜브 동영상: 정치인이 유권자 위에 군림하는 이유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2 1149
17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은 경쟁의 최전선에서 상대와 겨룰 수 있는 힘의 원천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1 1147
171 생물학 + 공부방법: 바이러스 박테리아 1부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1145
170 천재란?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1145
16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지닌 지도자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8 1145
168 일상에서 학교공부의 효율을 늘릴 수 있는 예습 복습 공부 방법의 응용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 1144
167 부모가 자녀의 공부환경을 만들어주는 방법 2 – 논리적 설명 없이 명령으로 일관하는 부모를 통해 자녀들이 배…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3 1141
166 내일 오후 4시 30분 TV 똥덩이 - 치매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9 1137
165 공부 방법과 삶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1133
164 학교 공부를 효율적으로 하는 공부 방법 - 배경 (유튜브 강의)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1130
163 스펙에 매달리는 학생들과 학부모들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 1126
16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5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1121
161 그대여, 피라미드의 꼭대기에 오르고 싶은가? 2 댓글1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4 1120
160 유튜브 동영상: 가르치는 방법 - 학생들의 사고력을 늘려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교수법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1119
159 생각인가? 본능인가?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8 1112
158 11월 세미나 안내 1 - 두뇌와 공부의 모든 것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7 1110
15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3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 1107
156 영화 터미네이터는 현실이 될 수 있을까?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1103
15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6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1102
154 삶의 고통으로부터의 자유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1101
153 캐나다 한인 늘푸른 장년대학 하반기 프로그램 (광고)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098
152 아는 것이 힘이라고 지식을 강조하는 부모는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9 1098
15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는 사람의 이해력을 탓하는 교육자의 이면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1097
150 Biology concepts + Study methods lecture - Genetics + mutant…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1094
149 지식을 쌓는다는 것은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1093
148 지식을 찾는 질문은 무시당하는 삶의 씨앗 1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1092
147 [동영상 강의] 두뇌가 나를 조종하는가? 내가 두뇌를 통제하는가?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1090
146 밴쿠버 중앙일보와 민동필 박사가 함께 계획한 학부모 간담회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0 1089
145 두뇌가 나를 지배하는가 아니면 내가 두뇌를 통제하는가? 1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 1089
14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3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1087
14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1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1086
142 [유튜브 강의] 동물적 본능을 지배하는 두뇌를 통제하는 방법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8 1082
141 지식을 찾는 질문은 무시당하는 삶의 씨앗 2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1082
140 피라미드식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르는 방법 - 유튜브 강의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1081
139 TV 똥덩이 유튜브 방송 시간 변경 및 이번 주 주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1080
138 자녀들이 공부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방법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1079
137 부모가 자녀의 공부환경을 만들어주는 방법 3 – 선택받는 삶을 요구하는 부모의 교육이 자녀의 공부에 미치는 …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30 1077
13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식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르는 방법 3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076
135 학교 공부를 효율적으로 하는 공부 방법 - 공부 방법 그리고 공부 방법이 삶에 미치는 영향 (유튜브 비디오 …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 1073
13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2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1066
133 생물학 개념과 공부 방법 강의 시리즈 3 – 공부 방법의 전체적인 과정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4 1065
132 Concepts of Biology and Study methods Lecture series – Study…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4 1059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