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질서 파괴범 미국, 캐나다 목재 관세 또 자기 멋대로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캐나다 | 국제질서 파괴범 미국, 캐나다 목재 관세 또 자기 멋대로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 업데이트 22-08-04 15:59

본문

20세기부터 30년간 이어지고 있는 불공정 반덤핑 관세

러시아보다 더 한 침략 국가 미국의 악 그 자체인 행동



우크라이나를 침략하는 러시아보다 더 많은 나라를 더 자주 불법적으로 침략해 온 미국이 이번에도 국제질서를 파괴하고 캐나다의 목재에 대한 근거 없는 반덤핑 관세 부과를 유지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4일 매리 응(Mary Ng) 국제통상수출진흥소기업경제개발부(Minister of International Trade, Export Promotion, Small Business and Economic Development) 장관이 미국 상무부가 캐나다의 소프트우드 목재에 대해 반덤핑 관세에 규탄 성명을 발표했다.


응 장관은 "인정되지 않는 불공정한 소프트우드 목재에 대한 관세를 지속하기로 해 실망스럽다. 비록 지금보다 관세가 현재 수준보다 조금 인하되겠지만, 진짜 공정한 조치는 아무 근거 없는 관세를 당장 철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작년 11월 24일 캐나다 소프트우드 목재에 대해 17.99%의 관세를 부과했다. 이는 과거보다 8.99%가 높은 것이다.


그런데 미국의 캐나다 목재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는 최근의 일이 아니다.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임금과 저물가로 목재를 생산할 수 있는 캐나다가 미국과 국경을 마주하고 있으면서, 미국은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캐나다에서 건축용 목재를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미국의 목재 산업체가 가격 경쟁력에 밀리지 20세 말부터 캐나다의 목재에 대해 반덤핑 관세라는 명목으로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이때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주가 바로 캐나다 목재 생산의 중심지였던 바로 BC주였다. 캐나다에서 알버타주와 함께 자원 부자 주로 부유 했던 BC주는 그 후 잃어버린 10년 이라는 힘든 시기를 겪었고, 많은 노동 인력과 관련 산업의 침체기, 그리고 전체 경제의 저성장기로 접어 들었다.


그런 BC주가 다시 경제 회복을 한 원인 중의 하나가 IMF이후 해외어학연수 붐이 일면서 한국 어학연수생이 밴쿠버로 몰려 들면서 경제 회복의 기회를 잡을 수 있었다.


당시 캐나다 정부와 BC주정부는 세계무역기구(WTO)에 미국의 반덤핑 관세가 부당하다는 소송을 제기했고, WTO는 반덤핑 관세가 근거가 없다는 등의 이유로 부당 판결을 내렸다. 그러나 세계 질서는 안중에도 없는 미국이 이후에도 WTO에 항소를 하는 등 압력을 가했으나 결국 WTO 협정과 부합하지 않는다는 최종 결정을 내렸다.


결국은 미국의 국익에 맞지 않는 결정이라며 WTO의 결정에 불복해 이후에도 27.2%라는 높은 관세를 부과했다.


당시 미국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의 결정도 뒤집고, WTO의 결정도 뒤집으면서 단 한가지도 국제질서를 지키지 않고 아무 근거도 없이 자국과 자국산업의 이익을 위해 관세를 부과해 왔다. 


이후로도 미국은 수시로 캐나다 목재에 대한 반덤핑관세와 상계관세 부과했고, 지난 2017년에도 관세를 부과하자 캐나다가 2018년에 WTO에 또 제소하게 됐다.


2018년 8월 24일 WTO패널 결정은 상계관세만을 다루었으며, 패널은 캐나다정부가 벌채요금 책정시 시장가격과 비슷하도록 환산표(economic-metrics)를 사용하고 있고 미국이 이를 감안하지 않고 캐나다정부가 보조금을 주고 있다고 주장하며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국제무역규범을 위반하고 있다고 결정했다.


트럼프 정부 때는 NAFTA가 미국에 불합리하다며, 일방적으로 협정을 파기하고, 강제적으로 멕시코와 캐나다에 Canada-United States-Mexico Agreement (CUSMA)를 강요했다. 목재 산업이 캐나다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다는 점을 상기시킨 응 장관은 CUSMA을 비롯해 WTO 등 모든 국제조약에서 미국이 불공정하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제차 강조했다.(“Canada’s forestry sector is supporting hundreds of thousands of good, middle-class jobs for Canadians across the country, and we will continue to vigorously defend their interests through all available avenues, including litigation under NAFTA and CUSMA, as well as at the WTO. International tribunals have consistently found the U.S. duties to be unjustified, and we believe this will again be the case.”)


BC주 정부도 이번 미국의 만행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캐서린 콘로이 산림부 장관, 래비 캘론 직업경기회복혁신부 장관, 조지 초우 무역부 장관이 공동으로 "미 상무부가 불공정한 관세 관련 발표에 지속적으로 억장이 무너진다"며, "국제 인플레이션과 관련해 물가 상승을 직면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관세가 오히려 양국의 주택이나 목재 가격을 상승시킬 뿐"이라고 말했다.


또 "연방 정부와 협조해 불공정한 미국에 대항해 정의를 이룰 것이고, NAFTA, Canada-United States-Mexico Agreement, 그리고 WTO의 질서 아래 소송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보다 더 많은 살육을 한 미국의 일방적인 반인륜적인 군사 침략 행위를 포함해 세계 자유무역질서를 파괴하는 행위까지 포함하면 악의 축이 아닌 악 그 자체인 나라다.


표영태 기자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Total 1,479건 31 페이지
제목
[캐나다] 연방정부 CEBA상환 1년 재연장 2024년1…
자영업자단체 2만 달러 면제 제외 불만  응급자금 대출 기업 중 일부만 전액상환코로나19 대유행으로 자금난을 겪는 중소기업들을 위해 연방정부가 실시했던 응급대출에 대한 회수가 다시 연장됐지만 자영업체는 불만을 제기했다.저스틴 트뤼도 연방총리는 14일 특별기자회...
표영태
09-14
[캐나다] 제6회 오타와 한국영화제, “캐나다 국제영화제…
주캐나다한국문화원 9월 26일~10월 8일까지 온라인과 오프라인 동시에 총 15편 영화 상영해외문화홍보원(KOCIS, 원장 김장호)과 주캐나다 한국문화원(원장 이성은)은 9월 26일부터 10월 8일까지 캐나다의 수도 오타와에서 제6회 오타와 한국영화제(Otta...
밴쿠버 중앙일보
09-14
[캐나다] 캐나다 산불 진화 해외긴급구호대 외교부 격려 …
산림청은 지난 5일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숲체원에서 ‘캐나다 산불진화 파견 성과보고회’를 열었다. 사진=산림청한국 외교부는 12일(화)(한국시간) 오후 12시부터 1시 30분까지 지난 한 달간의 캐나다 산불 진화 임무를 마치고 귀국한 대한민국 긴급구...
밴쿠버 중앙일보
09-12
[캐나다] 한국과 캐나다 사법외교 위해 캐나다 대법원장 …
리샤 바그너(Richard Wagner) 캐나다 대법원장과 캐서린 맨더빌(Catherine Mandeville) 퀘백 고등법원 판사가 방한했다. 바그너 대법원장은 한국 헌법재판소 창립 35주년 기조연설을 위해 유남석 대한민국 헌법재판소장 초청을 받았다. (사진=주한캐나...
밴쿠버 중앙일보
09-12
[캐나다] 캐나다 인구 증가로 고용인구도 증가
연방통계청의 실업률 그래프15세 이상 고용률은 오히려 감소전국 실업률은 5.5%, BC 5.2%로캐나다의 고용된 인구가 전달에 비해 늘어났지만, 이는 전체 인구 증가에 따른 것으로 전체 인구 대비로 보면 오히려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연방통계청이 발표한 8월 노동시장 ...
표영태
09-08
[캐나다] 캐나다, K-콘텐츠 북미 진출 르네상스 속 불…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작년 스페인에서 한류 콘텐츠 박람회 '케이-콘텐츠 엑스포 인 스페인(K-CONTENT EXPO in Spain)'을 개최했다. 사진=한국콘텐츠진흥원.9월 멕시코와 미국에서 연이어 ‘K-콘텐츠 엑스포’...
표영태
09-08
[캐나다] 캐나다 중앙은행 기준금리 5%로 동결
Bank of Canada facebook물가 안정, 경제성장률 둔화에 따라여전히 인플레이션 압박, 인상 여지세계 경기가 둔화되고 캐나다 물가도 3%대로 안정되면서 연방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일단 동결했다.연방중앙은행(Bank of Canada)은 기준 금리를 5%로 동...
표영태
09-07
[캐나다] "캐나다 연방정치에서 뭣이 중헌디!"
생활비 경제, 주택가격, 의료보건 등환경은 상대적 낮고, 이민 고작 3%캐나다가 직면한 문제들 중에 먹고 사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이어 의료보건과 주택 문제가, 그리고 환경문제는 그 다음이라는 조사결과들이 나왔다.비영리설문조사기관인 앵거스리드연구소(Angus Reid...
표영태
09-07
[캐나다] 연방 보수당 지지도 앞서간다는 조사결과들
앵거스리드연구소(Angus Reid Institute) 9월 여론조사 그래프앵거스리드, 리서치코 연이어 발표트뤼도 부정평가 윤 대통령과 비슷45대 연방총선이 내년 10월 20일 이전까지 치러져야 하지만, 보수당의 지지도가 자유당보다 높다는 조사결과가 연이어 나오고 있다...
표영태
09-07
[캐나다] US뉴스 선정 세계 가장 좋은 국가 순위 캐나…
다문화가 존중되는 캐나다에서, 제2회 만두축제가 한인사회 중심으로 열렸다. 표영태 기자1위 스위스, 3위 스웨덴, 4위 오스트레일리아, 5위 미국비서구권 일본 6위, 싱가포르 16위, 중국 20위, 한국 21위미국 언론인 US 뉴스가 25개의 세계 최고의 국가를 선정했...
표영태
09-06
[캐나다] 캐나다서 은행 온라인이체 관련 사기 주의
Unsplash의 PiggyBank몬트리올 총영사관 안전공지 사례로공공 와이파이, 은행앱 사용을 자제최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은행 이체 관련 계좌 전액이 출금되는 사건이 발생해 이에 대한 한인들의 유사한 피해에 주의가 요구된다.주몬트리올총영사관은 e-Trnasfer 관...
밴쿠버 중앙일보
09-06
[캐나다] 한-캐나다 수교 60주년, 문화로 더욱 가까워…
묵향 공연 사진(출처 국립극장)캐나다 오타와 등 9월 장애예술교류 전시 국립무용단 '묵향' 등 문화교류 행사 이어져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원장 정길화), 주캐나다한국문화원(원장 이성은)과 함께 올해 한국-캐나다 수교 60주년을 기념...
밴쿠버 중앙일보
09-01
[캐나다] 적대적 세계 속 김정은 정권의 외교전략을 엿볼…
UBC박경애 교수 사회로 서울서 북 토크스캇 스나이더와 공동출판  북토크 위한 세미나북한의 외교정책에 대한 일면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아주 특별한 세미나가 서울에서 열릴 예정이다.주한캐나다대사관은 UBC지식교류협력프로그램(KPP, 소장  박경애 교수)...
표영태
08-31
[캐나다] 6월 임금노동자 늘었지만 평균 주급 전달보다 …
연방통계청의 임금노동자 그래프처음으로 전국 고용자 수 1800만 돌파작년에 비해 3.6% 상승한 1203.64달러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캐나다도 다른 나라와 같이 고금리 정책을 펴고 있지만, 노동시장은 여전히 양호한 편이다.연방통계청이 31일 발표한 노동시장 통계에 따...
표영태
08-31
[캐나다] 캐나다 투자회사 Onewiex 투자사기 한인 …
중국 사이트에 올라 원윅스 투자 홍보 내용 사이트 이미지한국서 이미 피해자들 수 천 만원씩 사기 당해캐나다 정부 인증 퀀텀 트레이딩 회사로 소개최근 한국에서 캐나다 금융투자회사 Onewiex로부터 가상화폐 등의 투자 사기 피해를 입었다는 신고가 다수 접수되고 있는데, ...
표영태
08-29
[캐나다] 캐나다 진출 한국기업, 노동허가 없이 한국 청…
재외동포청 워킹홀리데이 인포센터 페이스북 사진워홀 외에 ‘청년 전문가’ 및 ‘인턴십’ 통해서내년 1만 2000명 한국 청년들 고용할 기회주캐나다한국대사관 9월 15일까지 수요조사캐나다와 한국이 기존 워킹홀리데이 이외에 청년 전...
표영태
08-29
[캐나다] "영주권 받았으면 그만이지 왜 훈련을 받아!"
IRCC FACEBOOK2010~2011 이민자 83.3% 포스트세컨더리 불참여성 주로 35세 이전, 상대적 교육 받는 비율 높아10여 년전 캐나다에 영주권을 받아 온 이민자들의 대부분은 이민 왔을 때 능력 이상 별도의 숙련 교육을 받는데 인색한 것으로 나타났다.연방통...
표영태
08-28
[캐나다] 2021년 캐나다 사망자 중 남성 증가 여성 …
작년 11월에 있었던 '2022년 넘어짐 예방을 위한 건강 워크숍'에서 필립 한의원 이규민  원장이 태극권 준비 동작을 이용해 근력을 강화하고, 유연성을 높이는 체조 시범을 보였다. (표영태 기자)캐나다 당시 총 사망자 31만, 1640명으로 집...
표영태
08-28
[캐나다] 주몬트리올총영사관의 한-캐 수교 60주년 기념…
주몬트리올총영사관은 한-캐 수교 60주년 기념 국제예술 교류 행사인 '미래 여행: 적응의 시간' 전을 공공기관인 SAT(Societe des arts technologiques)와 공동으로 지난 15일(월)부터 20(일)까지 개최했다. 행사에는 한국 작품...
밴쿠버 중앙일보
08-25
[캐나다] 2023년 재미한인장학생 BC주 2명 선발
영광의 장학생은 UBC재학 박은영, 최시아10월 중 장학증서와 미화 1000달러 장학금 주캐나다대한민국대사관(대사 임웅순)은 2023년도 캐나다 지역의 재미한인장학기금(The Korean Honor Scholarship) 장학생 6명을 발표했다.장학생으로 선발...
밴쿠버 중앙일보
08-25
[캐나다] 소외된 목소리에 주목하며 양국의 미래가치 추구…
9월 5~29일, 캐나다문화원 전시실 한-캐 수교 60주년한-캐 장애전시 교류전 <모두의 어떤 차이> 전시진행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박보균), 해외문화홍보원(KOCIS, 원장 김장호),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원장 정길화), 그리고 주캐나다한국문화원(원장 이성...
밴쿠버 중앙일보
08-25
[캐나다] 캐나다에서 직장 생활 1년도 참기 힘든 도시는
밴쿠버 1년 이내 이직율 20.5%로 전국 최고오타와는 10년 이상 근속 직원이 27.22%로밴쿠버에서 직장생활을 하는 직원들이 1년 이상을 한 직장에 가만 있지 못하고 다른 직장을 찾는 비율이 캐나다에서 가장 높은 도시로 조사됐다.온라인 취업이력서 포털 사이트인 re...
표영태
08-24
[캐나다] 캐나다인 "새 이민자가 캐나다 주택 위기 초래…
이민자가 주거비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Nanos의 조사 결과보고서 캡쳐50만 명 새 이민자 목표 주택가격 상승 부추겨다양한 조사서 연방정부 고주택가 책임 있다고캐나다의 집값은 물론 렌트비도 비정상적으로 오르고 있는데, 그 원인 중의 하나가 많은 이민자를 받아들이기 때문이...
표영태
08-24
[캐나다] 캐나다 한인, 3세대가 지나도 여전히 빈곤한 …
백인보다 높은 흑인, 남아메리카, 아랍 등에 속해중국계 5.1%, 일본계 5.2%, 필리핀계 5.4%로 낮아보정비율에서는 동남아시안보다 더 높은 빈곤율한국이 경제 규모에서 10대 강국에 속하는 선진국이지만, 캐나다 한인 이민자는 3세대가 지나도 빈곤율이 흑인, 남아메리...
표영태
08-24
[캐나다] 캐나다인 59%, 현재 산불 기후변화와 상관있…
BC Wildfire Service FACEBOOK  55%, 향후 10~20년 후 더 악화될 것앵거스리드연구소 최신 설문조사 결과BC주 산불이 재앙수준으로 악화되고 지구 전체로로 산불과 가뭄, 그리고 홍수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 이는 기후변화에 따른 것이고, ...
표영태
08-22
게시물 검색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