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취업비자에서 이민으로 얼마나 이어지나?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이민 | 임시취업비자에서 이민으로 얼마나 이어지나?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 업데이트 18-01-29 12:40

본문

첫 입국 후 5년이 영주권 취득 고비
2005년 이후 취업비자 정착률 높아
270c1be3aa7697dda3dae9d54f93c96b_1518217656_8486.jpg

임시취업비자로 캐나다에 들어온 이후 영주권까지 이어지는 경우는 10명 중 1명 또는 2명 정도로 아주 낮았다. 또 첫 입국 후 2년 이내에 근로자의 80%가 캐나다를 떠났다.

연방통계청은 1990년부터 2009년까지 5년 단위로 단기 임시취업비자로 입국한 근로자들에 관한 통계자료를 29일 발표했다.

이 자료의 추산 통계(Observed residence status) 따르면 1990년에서 1994년에 캐나다에 임시취업비자로 들어온 근로자 중 3년 후까지 캐나다에 남아 있는 비율은 27.8%, 5년 후까지는 20.6%, 10년 후까지는 11.4%로 나타났다.
하지만 1995년에서 1999년 사이 입국 근로자는 15.8%, 13%, 14.7%로 오히려 5년 전 근로자에 비해 캐나다 정착 비율이 낮아졌다. 
이는 다음 5년 간인 2000년에서 2004년에도 22.4%, 19.6%, 그리고 17.9%로 직전 5년 근로자보다는 증가했지만 10년 전 근로자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았다.
그러나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입국한 근로자는 3년 후가 39.3%, 5년 후가 37.1%로 직전 5년에 비해서도 크게 늘어나는 등 지난 20년 장기 추적 조사 기간 중 가장 많은 수가 캐나다에 정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장 최근 임시취업비자 근로자들은 캐나다에 정착을 선호하는 경향이라는 분석이다.

취업비자가 아니라 영주권자 신분으로 캐나다에 남는 비율을 봐도 1990-1994년은 3년 후 12.3%, 5년 후 16.7% 그리고 10년 후 17.8%였다. 그러나 1995-1999년에는 7%, 9.2% 그리고 10.2%로 낮아졌으며 2000-2004년에 8.1%, 13.8% 그리고 15.6%로 다소 회복을 했다. 그리고 2005-2009년은 3년 후 13%, 5년 후 21.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보면 5년 후 대부분의 근로자가 영주권 취득 자격이 대부분 생겨 영주권을 취득 비율이 최고점을 찍은 후 이후 증가율은 거의 제자리 걸음상태를 유지한다. 심지어는 영주권 취득 후 출국을 해 오히려 정착자 중 영주권 비율이 하락하기도 한다.

처음 취업비자를 받을 때 연령별을 기준으로 캐나다에 정착한 비율을 보면 25세에서 34세 사이가 가장 높은 비율로 캐나다에 남았는데 3년, 5년, 10년으로 33.7%, 31%, 21.3%였다. 다음이 35세에서 44세로 35%, 31.6%, 그리고 17.8%였다.  18세에서 24세는 14.8%, 13.4% 그리고 10.3%였으며 45세에서 64세는 20.8%, 17.3%, 그리고 7.8%로 가장 낮아졌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10년 후까지 남는 경우는 9.9%, 여성은 28.5%로 여성이 3배 가깝게 캐나다에 정착했다. 10년 후 영주권자로 남는 비율도 7.8% 대 28%로 여성이 3.5배에 달했다.
출신 국가의 일인당 국민 소득이 낮을수록 캐나다에 정착하는 비율도 높아 정착 후 10년까지 남는 비율이 저소득 국가 출신은 50.6%로 높았으며, 고소득 국가 출신은 고작 6.8%에 불과했다.

출신국가의 비행거리와 비교하면 멀수록 정착 비율이 높아 10년 후 비율이 가까운 국가는은 7.6%인 반면 먼 국가는 30.8%로 기록됐다.
영어와 불어 등 공식언어를 쓰는 나라 출신이 10년 후까지 남는 비율은 15.7%로 그렇지 못한 국가 출신의 16.8%에 비해 약간 낮았다. 하지만 영주권을 받고 정착한 비율은 14.7% 대 13.9%로 공식언어 사용자 비율이 오히려 높았다. 

취업비자 카테고리별로 보면 재택요양프로그램(Live-in Caregiver Program)으로 들어온 임시취업비자 근로자의 캐나다 정착률은 다른 카테로기에 비해 현격하게 높았다.
이들의 3년 후 캐나다 체류 정착률은 91.9%, 5년 후도 91.1%를 기록했으며 10년 후에도 거의 대부분인 87.4%가 캐나다에 남았다. 특히 이들이 10년 후에 캐나다에 영주권자 신분으로 체류하는 비율도 86.9%로 대부분 영주권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단기 임시취업비자 근로자의 대부분이 캐나다 첫 입국 후 첫 2년 동안 60%에서 80%가 캐나다를 떠난다는 결론이다. 그러나 2년을 넘기고 나면 오래 정착하는 비율이 높아졌다. 또 2005년 이후 들어온 근로자가 캐나다에 정착하는 비율이 급격히 증가했는데 이는 연방정부가 숙련기술자나 저숙련기술자 모두에게 영주권을 부여하는 다양한 임시근로자 영주권 프로그램을 증가한 결과로 분석된다. 

또 이번 조사의 다른 발견점은 저소득 국가나 사회가 안정적이지 못한 국가 출신의 경우가 더 정착할 비율이 높다는 사실이다. 즉 고숙련의 선진국 출신 근로자는 다른 나라에서도 일자리가 보장되고 고소득이 보장되기 때문에 캐나다에 정착하는 매력이 적다는 분석이다.

표영태 기자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Total 22,679건 485 페이지
제목
[캐나다] 조폐공사, 해리왕자 결혼식 기념주화 발행
[사진 캐나다조폐공사]액면가 20달러 은주화스와로브스키 크리스털로 장식, 1만5천개 한정 영국 왕자의 결혼식에 맞춘 각종 기념행사에 캐나다 국영기업도 이름을 올렸다.  캐나다조폐공사는 오는 19일 결혼하는 해리 왕자와 미국 배우 메건 마클을 기념하기 ...
이광호
05-09
[부동산 경제] 버나비·코퀴틀람 저소득층 번 돈 다 렌트비로
50% 저소득층 렌트비 위험수위퀘벡주의 임대택정책 모범답안  한인 이민자 1세대가 대부분 저소득층에 속하는데 메트로밴쿠버에서 한인들이 거주하는 주요 도시의 렌트비가 저소득층 수입보다 더 높다는 분석보고서가 나왔다. BC비영리하우징협회가 전국 ...
표영태
05-09
[밴쿠버] 에스컬레이터 3대 고치는 데 2년
스카이트레인 그랜빌역 시무어 통로 차단 던스미어 쪽 이용해야 스카이트레인 그랜빌역의 에스컬레이터 작동이 2년간 작동이 중단된다. 기존 에스컬레이터 철거 및 새 장비 설치로 인한 중단으로, 출퇴근 시간에 상당히 붐비는 그랜빌역이 더욱 혼잡해질 것으로 예...
이광호
05-09
[밴쿠버] BC주민 NDP정부 주택가격 안정정책 지지
외국인 취득세인상도 지지호건 지도력 긍정적인 편작년 한국의 대선과 함께 치러진 BC주 총선에서 주 선거 사상 유래없이 과반을 넘는 정당이 없이 혼돈으로 시작된 새 주정부가 선거 1년 후 주민으로부터 전폭적인 지지는 없지만 상대적으로 다른 정당에 비해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표영태
05-09
[부동산 경제] 3월 신축허가액 BC주 다세대가 주도
단독주택 허가액 큰 폭 감소캐나다의 건설 경기가 BC주 다세대 주택 신축허가에 의해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연방통계청이 9일 발표한 3월 신축 건설 허가액 통계에서, 총 허가액이 84억 달러로 전달에 비해 3.1% 늘어났다. 이는 주로 BC주와 퀘벡주의...
표영태
05-09
[밴쿠버] 나나이모 페리 터미널서 난데없는 경찰 총격
자동차 강탈 용의자 사망 한 차량탈취범이 경찰의 총격에 사망하는 사건이 페리 터미널에서 발생해 페리를 기다리던 많은 승객들이 잠시 충격해 빠졌는 일이 발생해 이에 대한 외부 수사팀이 적정한 조치인지 확인하기 위해 수사에 나섰다. 밴쿠버섬응급대응팀(Is...
표영태
05-08
[밴쿠버] 패시픽하이웨이 국경 입국 차량서 다량 불법무기…
 미국인 19정 권총 밀반입 미국에서 다량의 무기와 탄창을 몰래 캐나다로 들여오던 미국인이 국경에서 체포됐다. 캐나다국경서비스국(Canada Border Services Agency, CBSA)은 8일 오전 10시 30분 써리에 위치한 패시픽...
표영태
05-08
[세계한인] 캐나다 최초 퇴역군인을 위한 걷기 대회
6월 3일 밴쿠버 외 8개 도시 캐나다 최초로 퇴역군인들을 위한 연례 걷기대회가 올해 처음 전국적으로 개최된다 캐나다 퇴역군인들이 주도로 제1회 연례 퇴역군인을 위한 걷기 대회(First Annual Canadian Walk for Veterans)를...
김병일
05-08
[캐나다] 캐나다 이동통신 요금 비싸지 않아요!?
 캐나다의 이동통신요금이 세계적으로 높은 편이라는 악명을 떨치고 있는데, 통신 속도 등 서비스 품질을 따지면 높지 않다는 주장이 나왔다. 몬트리올경제연구소(Montreal Economic Institute, MEI)는 8일자로 2018년도 캐나다정보통...
표영태
05-08
[밴쿠버] 시민들 찌푸리게 한 악취 정체가...
 7일 오후 메트로 밴쿠버에 퍼져리치몬드 농장·오물처리시설서 나온 냄새로 추정 밴쿠버 다운타운에서 오후 2시 무렵부터 고약한 냄새가 나기 시작했다. 시민들은 가로수에 거름을 뿌린 것으로 생각했고 또 일부는 주변 쓰레기통에서 나오는 냄새로 여겼다. 그러...
밴쿠버 중앙일보
05-08
[캐나다] 잇단 부적절 처신... "망신살 연방NDP"
퀘벡 출신 무어 의원 '부적절 행위'로 당원권정지다른 의원 징계 요구했다 자신의 '과거 폭로' 논란또 다른 연방NDP의원이 부적절한 처신을 이유로 당에서 징계됐다. 지난주 당에서 제명된 같은 당 동료 에린 위어 의원과 유사한 이유로 징계를 받는 두 번째 경우다.공교롭게...
밴쿠버 중앙일보
05-08
[밴쿠버] BC 삼성 LG 가전 사면 최대 300달러 …
6월 15일까지 지자체와 함께전기료 아끼는 다양한 방법들 전기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가전제품 구매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BC 하이드로가 보조금을 내걸고 현명한 소비를 유도하는 이벤트를 시작했다. BC 하이드로는 6월 1...
표영태
05-08
[부동산 경제] 4월 캐나다 신축주택 수 안정세
 캐나다 전체적으로 신축주택 수가 전달 비해 약보합세를 보였다.  캐나다모기지주택공사(CMHC)가 8일 발표한 4월 신축주택 관련 통계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총 22만 5696채가 신축에 들어가 올 3월의 22만 6942채와 비교해 약간 줄어...
표영태
05-08
[밴쿠버] [유학생 인턴의 밴쿠버 이야기] 비싼 미용 밴…
   밴쿠버에서 미용실 비용이 너무나 비싸 주머니가 가벼운 유학생이나 임시 체류자로는 미용실 가기가 조금은 두렵다. 이런 소문 때문에 밴쿠버에 오기 전 머리를 미리 싹둑 짤라 왔다.  하지만 여기 한국보다 더 싸게 헤어 관리...
신현정 인턴
05-07
[밴쿠버] 밴쿠버 올해도 5.18 기념식 조촐하게?!
2017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는 일부 단체장과 소수의 참가자들로 조촐하고 엄숙하게 진행됐다.(밴쿠버 중앙일보 DB)   제 38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5.18민주화운동 밴쿠버기념사업회는 오는 18일 오전 10시 30분에...
표영태
05-07
[밴쿠버] 5월, 밴쿠버의 K-POP 팬들이 열광할 이벤…
  Vancouver Kpop Con (VKC)가 Hard Rock Casino에서 오전 10시부터 오후 10시까지 5월 19일과 20일 이틀에 걸쳐 개최될 예정이다. Kpop Con은 한국의 대중음악을 사랑하는 팬들을 위해 토론토의 엔터테인...
황제이든 인턴
05-07
[밴쿠버] 한인차세대 과학기술자를 키우기 위한 행사
지난 토요일 진행된 AKCSE (The Association of Korean-Canadian Scientists and Engineers) 주관 2018년도 수학 경시대회 (NMC 2018)가 5월 5일 Douglas College Westminster Campus에...
표영태
05-07
[밴쿠버] KOTRA 밴쿠버 잡페어 성황리에 개최
KOTRA밴쿠버무역관 잡페어에서 참가 기업의 구인 직종 정보를 확인하는 한인 젊은이들.(상)밴쿠버시 경찰서에서도 한국어를 하는 한인 영주권자나 시민권자를 찾기 위해 잡페어에 참가했다. 이날 약 30%의 구직 신청자들이 영주권자나 시민권자들이었다.(하) - 채용...
밴쿠버 중앙일보
05-07
[밴쿠버] 신학대 돕기 위한 기금 마련 음악회
앰브로즈 홀딩스의 최원철 대표가 기금 마련 행사장을 찾아준 독지가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상) 참석자들이 촉망 받는 젊은 음악가인 퍼스트 첼리스트 브라이언 윤과 세컨드 첼리스트인애쉬톤 림의 공연을 감상하고 있다.(하)   밴쿠버에...
표영태
05-07
[밴쿠버] 한국 도자기의 얼을 되살리자
클레이포유 전시회 개막 한국전통도자기 문화유산을 캐나다에서 이어가고 있는 클레이포유의 정기 전시회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한국전통 도자기의 장인 김정홍 도예가와 제자들의 모임인 클레이포유(Clay for You, 회장 한경희)의 제 14회 도자기 전시...
표영태
05-07
[밴쿠버] "어버이는 역사를 이끄는 산 증인"
노인회 어버이날 행사 한국에서 어린이날에 밴쿠버에서는 어버이의 소중함을 알리는 뜻깊은 행사를 펼쳤다. 밴쿠버노인회(회장 최금란)은 지난 5일 한인회관에서 '2018 어버이날'행사를 거행했다. 이날 행사장에는 최 회장을 비롯해 노인회 전현직 회...
표영태
05-07
[밴쿠버] 다운타운 베이 백화점 건물 팔린다
 6억7500만 달러…아시아계 부동산기업에매각 후 임대 형태로 계속 영업 밴쿠버 다운타운의 허드슨스 베이 백화점 본점 건물이 매각된다. 글로브앤메일은 허드슨스 베이 백화점 건물을 소유하고 있는 허드슨스 베이사(HBC)및 리오캔 부동사투자사가 ...
밴쿠버 중앙일보
05-07
[캐나다] 연방 자유당 지지도 1% 포인트로 보수당 앞질…
자유당 5% 포인트 상승보수당 3% 포이트 하락 내일 연방총선이 있다면 어느 당을 찍을 것이냐는 질문으로 알아본 연방 정당별 지지도에서 한 달 전 보수당에 밀리던 연방자유당이 새 여론조사에서는 지지율이 오르며 간발의 차이로 앞섰다. 입소스 캐나다가 4...
표영태
05-07
[캐나다] "휴대전화로 재난정보 울려도 놀라지 마세요"
 9일 오후 1시 55분 전국 동시 테스트방송・휴대전화 경보음으로 안내 재난정보 서비스 대비 상태를 점검하는 테스트가 9일 전국에서 시행된다. 정부는 재난이나 안전사고가 일어났을 때 휴대전화로 실시간 알림을 받을 수 있는 재난정보 서비스를 최근 전국에...
이광호
05-07
[밴쿠버] 밴쿠버시 월 2000달러 이하 임대주택 100…
  월렌트비 375~2000달러3만~8만 달러 중산층 대상 전국에서 가장 높은 렌트비로 악명이 높은 밴쿠버시가 향후 3년간 임대주택을 대폭 늘려 중산층 가정에 제공할 계획이다. 밴쿠버시는 커뮤니티토지기금(Community Land T...
표영태
05-04
게시물 검색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