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외국인 부동산 거래에 양도소득세 부과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부동산 경제 | 캐나다, 외국인 부동산 거래에 양도소득세 부과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 업데이트 16-10-05 23:14

본문

over_1004van@gmail.com_20161003215801262.jpg

 

캐나다 연방정부가 외국인 부동산 투기 억제책을 내놨다.
 
3일 CBC 등에 따르면 이날 빌 모뉴 연방재무장관(위사진.)은 밴쿠버와 토론토 등 부동산 과열 지역의 열기를 식히기 위해 외국 투기 자본 유입을 제한하기 위한 억제책으로 거래 시 발생하는 양도 소득( capital gains/자본이득세)에 대해 세금을 오늘(3일)부터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세금 부과 대상은 캐나다 소재 주소에 실제 거주하지 않는 외국인이다. 이들 외국인이 부동산 거래 시 발생하는 양도 소득에 대해서는 세금을 내야 한다. 캐나다에 실제 거주하지 않으면서 주택을 구매하고 이를 되팔 때 발생하는 소득을 신고하지 않는 식으로 행해지는 탈세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모뉴 장관은 "캐나다에 있는 사람에게 가장 우선해 내집마련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며 세제 도입 배경을 설명했다.
 

모노 장관이 발표한 또 다른 조치는 오는 17일부터 모기지보험 구입 대상이 되는 대출수혜자들은 향후 금리인상 시 자신이 충분한 상환능력이 있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한 소위 ‘스트레스 테스트’를 거쳐야 한다는 것. 이들은 다시 말해 전국 주요 은행들이 공시한 5년짜리 모기지 금리(현재 기준 4.64%)를 감당할 능력이 있다는 것을 소득으로 증명해야 한다는 얘기다. 단 기왕에 모기지를 받았거나 모기지 보험을 신청한 사람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한편 금융기관 관계자들은 두 번째 변경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금리비교전문 사이트 ratehub.com에 따르면 연봉 10만 달러인 사람이 4만 달러를 다운페이하고 2.17%의 금리로 모기지를 받는다고 가정할 때 대출 상한선이 지금은 $665,435이지만 앞으로는 그 금액이 $505,762로 24%나 줄어든다는 것.

 

몬트리올은행(BMO)의 한 이코노미스트는 “새로운 조치로 인해 특히 집값이 높은 지역에서 대출 받기가 훨씬 어려워졌다”면서 “다만 가계부채 규모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밴쿠버와 토론토 주택시장의 위험을 낮춰주는 데는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최근 BC주정부가 도입한 외국인 취득세 15% 부과와 함께 이번 연방정부의 부동산 억제책이 부동산 시장에 큰 여파를 미칠 것으로 평가했다.
 
한편 BC주정부는 수년째 지속된 부동산 가격 급등의 원인으로 외국인, 특히 중국 자본의 투기성 거래를 지목하고 부동산 안정화 대책으로 외국인 취득세라는 세제를 도입했다.
 
이에 따라 주정부는 지난달 2일부터 광역 밴쿠버 일대에서 외국인이 부동산을 구입할 때 15%의 취득세를 매기고 있다.

정부의 모기지 규정 강화 (2008년 이후)

*2008년 7월
당시 연방보수당 정부는 최장 40년까지 허용했던 모기지 상환기간을 35년으로 단축했다(주택 가치의 80% 이상을 대출받는 ‘하이레이쇼(high ratio)’에 한해).

*2010년 2월
주택을 담보로 빌릴 수 있는 두 번째 모기지의 최대 액수를 주택가치의 95%에서 90%로 하향조정했다. 투자용으로 매입하는 주택에 대해선 20% 이상 다운페이를 의무화했다. 

*2011년 1월
하이레이쇼 모기지 상환기간을 최장 30년으로 다시 단축하고, 두 번째 모기지에 대해서도 주택 가치의 85%까지만으로 고삐를 더 바짝 당겼다.

*2012년 6월
하이레이쇼 모기지 상환기간을 다시 25년으로 줄였다. 또 하이레이쇼 모기지 대출을 신청하는 사람이 소득의 44% 이상을 모기지 상환에 사용하지 않도록 ‘스트레스 테스트’를 신설했다. 두 번째 모기지에 대해서도 집가치의 80%로 다시 조정했다. 

*2015년 12월
50만~100만 달러 주택에 대해서도 하이레이쇼 모기지 대출일 경우엔 의무 다운페이를 종전 5%에서 10%로 상향조정했다.
 
밴쿠버 교차로

 

본 기사는 밴쿠버 중앙일보와 밴쿠버 교차로 간의 기사 교환 협정에 의해 게재됩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Total 22,454건 605 페이지
제목
[이민] [2017 정유년 새해 인사말] 한국전쟁 참전…
    캐나다 상원을 대표해 평화와 희망, 기쁨 그리고 사랑으로 가득찬 새해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지난 2016년은 한국전쟁의 희생을 기억하는 기념비적인 해였습니다. 가평전투(1951년 4 월) 및 고왕산 고지 355 전투...
dino
01-05
[이민] [2017 정유년 새해 인사말] 한인 사회 발…
    존경하는 서부 캐나다 동포여러분,   2017년 정유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에도 동포 여러분이 하시는 모든 일이 만사형통하고 온 가정에 행운과 행복이 가득한 한해가 되시길 기원드립니다. 지난 한해를 돌아보...
dino
01-05
[밴쿠버] 캐나다 방통위, '통신요금 문제없다' 주장
  '요금 비싸다'는 시민 생각과 다소 괴리 있어   전 세계에서 가장 비싼 데이터 요금으로 악명이 높은 캐나다이지만 캐나다 방송통신위원회(CRTC, 이하 방통위)는 "고객 불만이 줄었다"며 문...
표영태
01-05
[이민] 재외국민은 척결 대상?, 무분별하고 논리 맞지…
한국장학재단, 재외국민 특별전형 합격자 소득평가 정상화    KBS가 지난 2년간 재외국민 특별 전형 입학자의 국가장학금이 부당 수급이 의심된다는 보도가 나가자 한 한국 언론이 '척결' 헤드라인까지 쓰며 재외...
표영태
01-05
[밴쿠버] 공급 모자란 제설 소금, 가장 좋은 대안은 모…
  사이언스 월드에서 주민 제안 실험, "식용 소금이 가장 비슷하나 가격이 문제"     계속되는 눈과 추위로 메트로 밴쿠버 길이 미끄럽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지자체와 소방서가...
이지연기자
01-05
[밴쿠버] 리치몬드, 밴쿠버에 이어 단기 임대 규제화 추…
    현 규정상 불법, 그러나 1천 5백 여명 등록 - 찬반 논쟁 격화     지난 4일(화), 리치몬드 시청이 에어비앤비(Airbnb)로 대표되는 단기 임대 시장 규제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
이지연기자
01-05
[밴쿠버] 주 총선 앞두고 정치 베테랑 잇따른 은퇴 발표
    1991년 이후 20여 년간 MLA 지낸 하멜(NDP), "남편과 가족 돌보기 위해 정계 은퇴" 발표     올 5월 BC주 총선을 앞두고 주요 정치인들의 은퇴 소식...
이지연기자
01-05
[밴쿠버] 겨울 추위 계속, 시간당 전기 소비율 역대 최…
    3일(화) 오후 5시부터 6시까지 10, 126 메가왓트 최고 기록     유난히 추운 올 겨울, BC 주 전기 소비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확히는 1시간 동안 사용된 총 전기...
이지연기자
01-05
[이민] [2017 정유년 새해 인사말] 유가 및 외환…
  다사다난했던 2016년을 보내고 2017년 정유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지난 한 해,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수출 감소와 저성장 기조, 높은 청년실업율 그리고 정치적 불안정 등으로 매우 힘든 시기를 보냈습니다.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대...
표영태
01-04
[이민] 한국 국적회복 처리 1년 넘게 걸려
  독립유공자 후손 특별 귀화 - 수속 시간 가장 짧아   한국 국적을 보유했던 외국 국적자의 일반적인 국적회복 신청 시간이 6개월 이상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무부 산하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표영태
01-04
[밴쿠버] 올 겨울 강설량 양호, 그러나 불편과 위험은 …
    12월 강설량 역대 16위, 그러나 눈오는 패턴은 불규칙     올 겨울, 추위와 함께 많은 눈이 내리며 밴쿠버라이트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또 적지 않은 사람들이 최근 겨울 중 ...
이지연기자
01-04
[이민] 한국 외교부 ‘능동적 외교’ 전개 의지 표명
테러 빈발 시대 자국민 보호 강화 외교부는 지난 4일 오전, 서울정부청사 별관에서 2017년도 외교안보 분야 업무보고를 가졌다. ‘전환기 국제정세 능동적 한국 외교’라는 주제로 현재의 전환기적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6대 핵심 외...
표영태
01-04
[밴쿠버] 4일(수) 새벽, 사우스 코스트 1만 여 가구…
피해 지역을 나타내는 BC 하이드로 지도     지난 4일(수) 새벽, BC 주 사우스 코스트(South Coast) 지역에 강풍이 불면서 전신주들이 쓰러져 1만 여 가구가 정전되었다. 걸프 ...
이지연기자
01-04
[밴쿠버] 4일(수) 아침 라이온스 게이트 전면 폐쇄
    다리에 올라간 남성 때문, 현재 경찰이 조사 중     밴쿠버와 노스쇼어 지역을 잇는 라이온스 게이트 브릿지(Lions Gate Bridge)가 지난 4일(수) 오전 출근 시간 중 1시간 반 ...
이지연기자
01-04
[이민] 해외 고소득자 국가장학금 지원 차단 장치 마련
    소득관련 증명서 필수 등 국외소득 재산 검증 체계 마련     교육부는 3일 KBS <해외재산 파악 안해…국가장학금 ‘줄줄’> 제하 보도와 관련, &ldq...
표영태
01-04
[이민] 한국 패션 쥬얼리, 캐나다 제품 공급
  씨드아이글로벌, 캐나다에 70여개 '샵인샵' 형태로 제품 공급   구로구에 위치한 패션 쥬얼리 업체가 해외 시장을 목표로 창업해 캐나다 시장 진출에 공을 들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2년...
표영태
01-04
[밴쿠버] 동물보호단체, "올 겨울 애완동물 관리 각별히…
    야외 활동 동물 위험 요소 많아...외출 시 반려견 발 살피고 차 밑에 고양이 확인해야     유난히 추운 올 겨울, 동물보호단체 SPCA가 "애완동물 관리에 각별히 신경써...
이지연기자
01-04
[밴쿠버] 밴쿠버 소방서, "미끄러 방지 소금 제한량 지…
퀘벡 스트리트(Quebec St.) 소방서 앞, 소금을 받아가기 위해 줄을 선 사람들     판매 목적로 가져 가는 사람 많아..."무료 소금은 오로지 주민 안전 위한 것" 소방서 입장  ...
이지연기자
01-04
[이민] 정유라 때문에 욕먹은 캐나다 ?
    (출처=JTBC 방송 캡쳐)   정유라 패딩, 고가의  '노비스' 브랜드로 오해 체포 당시 입었던 패딩, 불꽃 엉뚱한 곳 튀어     금수저 도...
표영태
01-04
[밴쿠버] 재야 촛불을 밝힌 사람들
          2016년 병신년 마지막 날, 박근혜 퇴진을 요구하는 촛불 집회가 '세월호를 기억하는 밴쿠버 사람들'(세기밴), '즐거운 밴쿠버아고라',...
표영태
01-04
[밴쿠버] "새해 그 어떤 고난도 극복한다"
2017년 밴쿠버 북극곰 수영대회가 새해 첫날 오후 2시 30분 잉글리쉬 베이에서 수 천명이 참가한 가운데 열렸다. 예년보다 추운 날씨로 참가자 수가 줄어 들었을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3일 현재 공식 참가자 수는 발표되지 않았지만 1,500정도가 참가한 것으로 ...
표영태
01-04
[밴쿠버] 불꽃 잔치로 새해 맞은 밴쿠버
캐나다 플레이스 앞에 마련된 피크 메인 스테이지 공연 모습. 이날 행사는 캐나다 건국 150주년을 기념하는 새해 환영 행사도 함께 했다.   르멕스가 후원한 가족 관람장에서 불꽃놀이 시간을 기다리며 가족단위로 놀이를 하고 있다. ...
표영태
01-04
[밴쿠버] 노숙자 쉘터 활용 커뮤니티 센터 프로젝트 연착…
시민과 노숙자 공동 상생 위한 노력 계속      유난히 눈도 많고 강추위가 계속되고 있다. 길거리에서 잠자는 노숙자 경우, 생명 위협까지 느낄 수 있다. 노숙자가 많은 밴쿠버시 공원 위원회가 지난 2일 새로운 쉘터를 개설했다...
dino
01-03
[이민] 영화 <마스터> 티켓 당첨자 발표
오는 6일 개봉, 이병헌과 강동원 연기 대결 볼 만       한남 슈퍼가 영화 마스터(MASTER) 티켓 당첨자 명단을 발표했다. 한남은 지난 해 12월에 고객들을 대상으로 마스터 티켓 증정 특별 행사를 진행한 바 있다...
dino
01-03
[이민] [2017 정유년 새해 인사말] 화합과 단결된…
    존경하는 밴쿠버 동포 여러분. 병신년은 역사 속으로 사라져 가고 대망의 정유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에는 만사형통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연로한 노인회 회원 분들은 새해에도 건강을 잘 지켜 보람있는 삶을 사시기를 빕니다. ...
dino
01-03
게시물 검색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