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 인사이트] 시진핑 뜻과 달리 중국 파워 게임이 사드 보복 부추겨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한국 | [차이나 인사이트] 시진핑 뜻과 달리 중국 파워 게임이 사드 보복 부추겨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 업데이트 17-03-21 01:00

본문

유상철 논설위원

유상철 논설위원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한국에서 뭇매를 맞고 있다. 거칠고 졸렬한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보복을 주도한다는 의심을 받기 때문이다. 과거 강력한 반부패 정책을 토대로 중국의 부상을 이끄는 카리스마 넘치는 지도자란 평판은 간 곳이 없다. 한데 최근 중국의 사드 대응과 관련해 시진핑의 진의(眞意)가 잘못 전달된 측면이 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중국 정가의 내부 파워 게임과 맞물려 사드 보복이 과잉으로 치닫고 있다는 것이다. 
 
사드 보복 배후는 시진핑?
 
 
물불 가리지 않는 중국의 사드 보복 탓에 한국 경제가 큰 곤욕을 치르고 있다. 답답한 건 이 같은 중국의 사드 몽니가 도대체 언제 끝날지 가늠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그저 ‘시간이 좀 걸리지 않겠나’ 하는 맥 빠진 예측만 나오고 있을 뿐이다.
 
한국의 불만은 주로 시진핑 주석에게로 쏠린다. 중국에서 가장 강력하게 사드 반대를 외치는 사람이 바로 시진핑이란 이유에서다. 시진핑은 이제까지 세 차례에 걸쳐 한국 지도자들을 상대로 사드 반대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첫 번째는 2014년 7월 방한 때다. 박근혜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처음으로 사드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어 지난해 6월 말 황교안 총리가 베이징을 찾았을 때가 두 번째다. 한데 불과 열흘도 안 돼 한국이 사드 배치 결정을 선포하는 바람에 중국은 뒤통수를 얻어맞은 것 같은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세 번째는 지난해 9월 중국 항저우(杭州)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때로, 시진핑이 다시 한번 사드 반대 입장을 박 대통령에게 전달했다. 그러나 이 같은 세 차례에 걸친 시진핑의 의사 표시는 한국 지도자들에게 철저하게 무시당했고, 이에 체면을 크게 구긴 시진핑이 강력한 사드 보복을 주문하고 있다는 게 한국의 인식이다.
 
첫 단추부터 잘못 끼워진 사드
 
최근 중국의 한 정통한 소식통은 이와는 다른 이야기를 전한다. 사드가 중국 내부의 권력 게임에 이용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로 인해 악화된 한·중 관계에 대한 책임이 모두 시진핑 탓으로 돌려지고 있다는 주장이다.
 
우선 시진핑 입장에선 사드와 관련해 첫 단추부터 잘못 끼워졌다. 사드가 과잉 위협으로 포장돼 시진핑에게 입력됐다는 것이다. 누가 문제였나. 중국 군부다. 여기엔 강경 목소리를 내기 좋아하는 군 본연의 성향 말고도 두 가지가 더 작용했다.
 
 
하나는 시진핑에 대한 군의 충성 경쟁이다. 시진핑이 집권 후 가장 많이 신경 쓴 것 중 하나가 군권 장악이다. “권력은 총구에서 나온다”는 마오쩌둥(毛澤東)의 말이나 “1주일에 4~5일은 장군들과 어울려야 한다”는 덩샤오핑(鄧小平)의 권고 모두 중국 정치에서 무력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시진핑은 무력 장악을 위해 후진타오(胡錦濤) 시절 군권을 쥐락펴락한 두 명의 군사위 부주석을 부패 혐의로 잡았다. 쉬차이허우(徐才厚)와 궈보슝(郭伯雄)이다. 이 두 사람은 장쩌민(江澤民) 인맥이다. 장은 이들의 뒷받침으로 후진타오의 치세 시절에도 막강한 권세를 누렸다.
 
시진핑이 이들 두 사람을 제거한 것은 군내 장쩌민 세력을 뿌리 뽑은 것에 해당한다. 이후 군에서 시진핑에 대한 충성 경쟁이 벌어졌다. 2015년엔 중국 인민해방군의 7대 군구(軍區) 수장들이 해방군보(解放軍報)를 통해 시진핑에게 충성을 맹세하기도 했다.
 
바로 이처럼 시진핑의 눈에 들기 위해 전전긍긍하는 중국 군부 내의 일부 인사들이 한국의 북핵(北核) 대비용 사드를 미국의 중국 견제용 무기로 확대 해석하면서 사드 문제가 꼬이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다른 한 이유는 중국 군부의 예산 확보와 관련이 있다. 시진핑은 집권 후 경제 발전을 위해 국방예산 증가를 탐탁지 않게 여겼으나 군부가 더 많은 예산 확보를 위해 사드 위협을 과장했다는 것이다. 실제 중국 국방예산은 지난해 수년 만에 처음으로 한 자릿수 성장인 7.6%에 그쳤고, 올해는 더 떨어져 7% 증가에 머무를 예정이다.
 
결국 군부 내 충성 경쟁과 예산 확보 욕심이 사드 위협을 과장해 시진핑에게 입력시킴으로써 시진핑이 2014년 한·중 정상회담 때 굳이 하지 않아도 될 사드 문제를 직접 언급하는 상황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후계자 문제와 사드 여론전
 
한·중 사드 갈등을 꼬이게 한 두 번째는 중국 공산당 선전부의 과잉 여론전이다. 막말 보도를 일삼는 환구시보(環球時報)는 차치하고 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조차 지난해 사드 배치 결정 이후 한국을 저주하고 한국 지도자를 원색적으로 비난하는 글을 실었다.
 
부부싸움을 하더라도 해선 안 될 말이 있다는데 어떻게 이런 일이 생겼나. 중국 공산당에서 선전과 이데올로기를 담당하는 서열 5위 류윈산(劉云山) 정치국 상무위원이 시진핑과 중국 차기 지도자 문제를 놓고 미묘한 관계에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엔 지도자 교체 원칙 중 하나로 격대지정(隔代指定)이란 말이 있다. 현재 지도자는 다음 지도자를 정할 수 없다. 대신 한 대(代)를 뛰어넘어 그 다음 세대 지도자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후진타오는 전임 국가주석 장쩌민이 아닌 그 앞의 덩샤오핑이 결정했고, 시진핑은 후진타오가 아닌 장쩌민에 의해 세워졌다는 것이다. 물론 시진핑의 권력 다지기 과정에서 장쩌민과의 관계가 틀어지기는 했지만 말이다.
 
이에 따르면 시진핑을 이을 중국의 차기 지도자는 후진타오가 키운 후춘화(胡春華) 광둥(廣東)성 당서기다. 이변이 없는 한 후춘화가 1인자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데 최근 상황은 그렇지 않다.
 
시진핑이 ‘핵심(核心)’ 지위를 부여받으면서다. 시진핑은 지난해 초부터 핵심 지위를 부여받기 위한 작업을 벌인 끝에 마침내 지난해 가을 이 지위를 얻었다. 핵심이 된다는 건 두 가지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는 의미를 지닌다.
 
하나는 당내 정치 규칙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67세는 정치국 상무위원이 될 수 있고, 68세는 될 수 없다는 칠상팔하(七上八下)의 원칙이 시진핑에 의해 깨질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는 가을 19차 당대회 때 69세인 시진핑의 측근 왕치산(王岐山)이 정치국 상무위원에 유임될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하나는 후계자 지명에 발언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시진핑은 후계자는 경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경우 후춘화는 차기 지도자 자리를 보장받는 게 아니라 시진핑이 미는 천민얼(陳敏爾) 구이저우(貴州)성 당서기 등과 경합해야 한다.
 
문제는 류윈산이 후진타오 계열로 시진핑과 보이지 않는 갈등을 빚고 있다는 점이다. 시진핑은 한국의 사드 배치 결정 이후 ‘적정한 수준에서 대응하라’고 지시했다는 후문이다. 한데 각 부처가 이를 확대 해석하는 경향을 보여 문제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선전부가 도를 넘는 여론전을 전개한 이면에는 이번 기회를 이용해 현재 중국 브라운관을 주름잡으며 중국 돈을 긁어가고 있는 한류 스타들에게 타격을 입히려는 속셈도 작용했다. 보수적인 중국 인사들 가운데는 대륙을 휩쓰는 한류를 못마땅해 하는 이가 적지 않게 있다.
 
하나 많은 중국인이 한류를 즐긴다. 이들에게서 한류가 주는 즐거움을 빼앗는 것은 민의(民意)에 부합하는 게 아니다. 즉 선전부의 과잉 대응이 시진핑에 대한 원망을 한국뿐 아니라 중국에서도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시진핑이 전혀 의도한 바가 아니다.
 
잘못된 판단과 사태의 악화
 
중국 외교부 또한 사드 갈등 악화의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지난해 1월 북한이 4차 핵실험을 했을 당시 한·중 정상 간의 통화를 발 빠르게 주선하지 못했다. 이에 한국에선 ‘전화 한 통화 못하느냐’는 중국 비판 여론이 일었다.
 
또 유엔의 대북제재 결의안 마련 시에도 ‘북한의 민생 보호’ 운운하며 제재의 구멍을 만든 것 역시 한국의 반감을 사며 한국이 사드 배치를 결정하도록 등 떠미는 효과를 냈다. 특히 중국이 강한 압박을 하면 한국이 물러설 것이라는 잘못된 보고를 시진핑에게 올린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을 낳고 있다.
  
시진핑의 외교 업적 중 하나는 미·일에서 한국이 중국에 기운다는 ‘중국경사론(中國傾斜論)’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한국과의 긴밀한 관계 구축이었다. 하나 이젠 사드 갈등으로 한국을 잃을 상황이 됐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빠른 법이다. 이제라도 시진핑 주석의 의도와는 달리 자꾸만 어긋나고 있는 한·중 관계를 리셋할 필요가 있다. 시작은 상대에 대한 존중이다. 말 하나, 행동 하나에서 서로를 배려하는 따뜻한 마음과 자세로 다시 시작해야 한다. 사드 갈등은 한·중 모두에 상처만을 안기는 백해무익(百害無益)의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유상철 논설위원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Total 22,367건 1 페이지
제목
[밴쿠버] 새벽기도의 선율 비올리스트 정성우 6월 10일…
5월 하순임에도 며칠씩 비가 내리는 밴쿠버이다. 마치 Raining Season이 다시 시작되는 것일까? 그럴 순 없다. 일을 멈추고 잠시 쉬면서 커피와 음악을 듣는다면, 무슨 음악을 들으면서 화창한 밴쿠버 날씨를 기다릴까? ~ 옛사랑 그 이름 아껴 불러보네,...
박응호
05-31
[캐나다] 미국으로 떠나는 캐나다인, 최근 10년 만에 …
수많은 캐나다인들이 최근 미국으로 이주하고 있다. 2022년에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사람은 126,340명에 달했으며 이는 2012년에 비해 약 70% 증가한 수치다.미국 인구조사국의 아메리칸 커뮤니티 서베이(ACS)에 따르면 이 중 5만3,311명은 캐나다에서 ...
밴쿠버 중앙일보
05-31
[캐나다] 이번 주말, 다시 찾아온 오로라 쇼 '하늘을 …
자료사진태양의 거대한 흑점, 강력한 플레어 예고5월 초 환상적인 오로라 쇼를 놓쳤다면 다가오는 몇 주 동안 다시 그 기회를 잡을 수 있을지 모른다. 태양이 계속해서 대규모 플라즈마와 자기 에너지가 방출되고 있으며 이 강력한 태양 플레어가 다시 지구를 향할 준비를 하고 ...
밴쿠버 중앙일보
05-31
[캐나다] 밴쿠버 부동산 시장, 금리 인하로 반전될까
금리 인하 기대감에 밴쿠버 주택 시장 반등 가능성밴쿠버 부동산 시장은 다음 주 캐나다 중앙은행(BoC)의 금리 발표를 앞두고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가 메트로 밴쿠버 주택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중앙은행은 올해 1월...
밴쿠버 중앙일보
05-31
[캐나다] 유방암 40세 조기 검진 '필요 있다' vs …
정부 자문단, '너무 이른 검사는 오진단 위험 키워'보건부장관 '자문단 실망스럽다. 전문가 의견 다시 받을 것'유방암 검진 연령을 40세로 낮추지 않기로 한 정부 자문단의 결정에 대해 여러 암 전문가와 의료진들이 강하게 반발했다. ...
밴쿠버 중앙일보
05-31
[캐나다] 加 "빈곤층 대부분이 백인"... "한인 등 …
인종 차별 없이 빈곤 퇴치 정책 전면 재검토 필요캘거리 소재 싱크탱크 아리스토텔레스 재단(Aristotle Foundation)은 캐나다 정부의 인종기반 빈곤 대책이 잘못된 전제에 기반해 백인 빈곤층을 소외시키고 있다고 발표했다.보고서는 최근 통계청 데이터를 분석하고 ...
밴쿠버 중앙일보
05-31
[캐나다] BC주 인종차별 신고 전화 신설… 주민 지원 …
법무장관 "인종차별 경험 시 어디서 무엇을 해야할 지 몰라"문화별 맞춤 지원, 경찰 신고 도움 등... 1-833-457-5463BC주가 인종차별 사건을 경험하거나 목격한 주민들을 위한 무료 전화 상담 서비스를 목요일에 개설했다.이 상담 서비스는 BC...
밴쿠버 중앙일보
05-31
[캐나다] 올 가을 밴쿠버 출발 크루즈, 파나마 운하를 …
멕시코, 코스타리카, 아루바를 포함한 꿈의 여행올가을, 밴쿠버에서 출발해 멕시코, 코스타리카, 아루바를 거쳐 플로리다 포트 로더데일까지 이어지는 화려한 크루즈 여행이 시작된다. 홀랜드 아메리카 라인(Holland America Line, HAL)은 태평양 연안을 따라 ...
밴쿠버 중앙일보
05-31
[밴쿠버] 노스 밴쿠버에는 환전소가 왜 이렇게 많을까?
론스데일 거리의 환전소 증가, 주민들 불만노스 밴쿠버의 중심지인 론스데일(Lonsdale) 지역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요즘 환전소가 왜 이렇게 많은지 궁금해 한다. 한 주민은 SNS에 "오늘 밤 산책하면서 환전소 찾기 놀이를 해봤다. 런던 드럭스와 3번...
밴쿠버 중앙일보
05-31
[캐나다] 국세청의 팬데믹 지원금 환수, 법적 분쟁 지속
세입자들, 국세청과의 지원금 환수 법적 대결코로나19 팬데믹 동안 지급된 캐나다 긴급 대응 혜택(CERB)과 캐나다 회복 혜택(CRB) 환수와 관련된 소송이 BC주 법원에서 계속 진행 중이다. 일부 세입자들은 자격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혜택을 받았다는 이유로 국세청(C...
밴쿠버 중앙일보
05-31
[밴쿠버] [The 많은 뉴스] 5월 31일(금)
▶클릭을 하면 'The 많은 뉴스'를 볼 수 있습니다.■ 캐나다군, 7만명 지원에 합격자 고작 4,000명… 심각한 병력 부족■ 한국, 종부세 폐지 검토…與 "상속·증여세도 손본다"■ 화이트 록 여름...
밴쿠버 중앙일보
05-31
[밴쿠버] BC주, 코로나 치료제 '파클로비드' 무료 지…
BC주가 캐나다에서 최초로 코로나19 치료제 파클로비드(Paxlovid)를 무료로 제공하기로 했다. 연방 정부는 모든 주에 더 이상 이 약물의 비용을 지원하지 않겠다고 통보했으며, 다른 주들은 이 약물을 약품 지원 프로그램으로 전환하고 있다.파클로비드는 2022년 1월...
밴쿠버 중앙일보
05-31
[캐나다] 회의 한 번에 1,050달러… 논란의 메트로 …
회의 참석 보상 최대 67회까지, 주민들 "불합리하다"메트로 밴쿠버 이사회가 31일, 지역 정부 의장과 부의장의 추가 보상에 대해 투표할 예정이다.이번 제안은 의장과 부의장이 참석할 수 있는 상임 위원회 회의 수를 늘리기 위한 것이다. 현재 그들은 연...
밴쿠버 중앙일보
05-31
[밴쿠버] 킥복싱 대회서 뇌 손상 입은 선수...과실 책…
심각한 부상 당한 선수, 대회 관계자들 소송피고 측, "적절한 조치 있었다"며 반박대회 안전 문제 다시 부각...법적 대응 주목킥복싱 대회에서 심각한 뇌 손상을 입고 식물인간 상태에 빠진 선수가 제기한 소송에서 피고 측이 과실을 부인하고 있다.부상당한...
밴쿠버 중앙일보
05-31
[캐나다] 캐나다 무비자 입국자 망명 급증...처리 비용…
비자 면제국 망명 신청 급증, 정부 재정에 큰 부담연방정부는 지난 5년 동안 비자 없이 입국한 망명 신청자들을 처리하는 데 약 4억 5천 5백만 달러를 사용했다고 의회 예산 책임자(PBO)가 발표했다.PBO는 비자 면제 국가에서 온 망명 신청자들의 처리 비용을 분석했으...
밴쿠버 중앙일보
05-31
[캐나다] 다가올 노인 인구 증가 대비, 레빗 씨의 새로…
'노인 돌봄 혁신' 댄 레빗 씨, 새 노인 권익 대변인 임명BC주에서 110만 명에 달하는 노인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댄 레빗 씨가 이소벨 맥켄지 씨의 뒤를 이어 신임 노인 권익 대변인으로 임명되면서 다가올 노인 인구 증가에...
밴쿠버 중앙일보
05-31
[캐나다] 캐나다에도 스트리밍번들 개시...비용 낮출 수…
넷플릭스, 디즈니+, 프라임 비디오를 한 번에… 비용 절감 가능성은?텔러스 세가지 보는 데 월 20달러캐나다에도 드디어 스트리밍 번들이 도입되었다. 2024년에는 최신 인기 HBO 시리즈의 에피소드를 동료들과 함께 이야기하는 것이 '최신 정보를 아는...
밴쿠버 중앙일보
05-31
[캐나다] BC주, 보수당 분열의 후폭풍, NDP 지지율…
자료사진BC주의 두 우파 정당 간 합병 논의가 실패한 후, 새로운 앵거스 리드 여론조사에 따르면 집권 BC주 NDP가 경쟁자들보다 크게 앞서고 있으며, 공식 야당인 BC주 연합당은 3위로 밀려났다.BC주 NDP는 41%의 지지율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BC주 보수당은...
밴쿠버 중앙일보
05-31
[캐나다] 트럼프, 중범죄 유죄로 캐나다 입국 금지될까?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중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후 캐나다 입국이 금지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캐나다 이민법 전문가 마리오 벨리시모 씨는 트럼프가 유죄 판결을 받은 현재 캐나다에 입국할 수 없다고 밝혔다.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형사 재판에서 34개 혐의 모두...
밴쿠버 중앙일보
05-31
[캐나다] 캐나다군, 7만명 지원에 합격자 고작 4,00…
효율적인 군 운영 위협, 인력난 해결 시급캐나다군이 심각한 인력 부족 문제에 직면해 있다. 국방부에 따르면 지난해 7만명이 군 입대를 지원했으나 합격자는 겨우 4,000명에 불과했다. 이 문제는 현재와 미래의 군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빌 블레어  국방...
밴쿠버 중앙일보
05-31
[밴쿠버] 화이트 록 여름밤을 밝히는 나이트 마켓, 오늘…
자료사진다채로운 현지 음식과 라이브 공연화이트 록의 새로운 나이트 마켓이 오늘(31일) 도시의 해안가에서 문을 연다. 이 마켓은 메모리얼 파크와 부두 서쪽의 웨스트 비치 산책로에서 오후 3시부터 10시까지 열리며 라이브 음악, 푸드 트럭, 독특한 수공예품 등 다채로운 ...
밴쿠버 중앙일보
05-31
[월드뉴스] 한국, 종부세 폐지 검토…與 "상속·증여세도 …
문재인 정부에서 납부 대상이 확대된 종합부동산세가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는 헌법재판소 판단이 나왔다. 헌재는 30일 옛 종합부동산세법 7조 1항, 8조 1항 등에 대한 헌법소원 심판 청구 사건에서 이들 조항이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결정했다. 사진은 30일 상공에서 ...
김기정
05-31
[월드뉴스] "포르노 보는 것 같았다"…마돈나 콘서트 관객…
미국 팝스타 마돈나 콘서트에서 불쾌한 경험을 했다고 주장하는 관객이 정신적 피해 배상 등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30일(현지시간) 미 연예지 TMZ 등에 따르면 지난 3월 7일 캘리포니아 잉글우드에서 열린 마돈나 콘서트를 관람한 저스틴 리펠레스는 법원에 낸 소장에서...
정혜정
05-31
[캐나다] 캐나다 이민정책 축소로 노동인력 크게 줄어
2027년, 인구 110만 명 감소"더 많은 이민자 받아들여야"'노년 인구 증가'가 더 큰 문제캐나다의 최근 이민 정책 축소가 인구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어 2027년에는 인구가 2.5%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로열 뱅크 보고서에...
밴쿠버 중앙일보
05-30
[밴쿠버] 최저임금 인상, 과연 누구에게 이익일까…
BC주 최저임금 17.40달러 시대 개막급여 오르지만, 일자리 줄어드는 악순환소상공인 타격 불가피BC주의 최저임금이 다시 인상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노동 비용 상승에 대한 논쟁이 재점화되고 있다.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한 이 주제는 다시 한번 논란의 중심에...
밴쿠버 중앙일보
05-30
게시물 검색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