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는 우리 땅’ 세상에 알린 대한제국 칙령 41호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 | ‘독도는 우리 땅’ 세상에 알린 대한제국 칙령 41호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 업데이트 15-07-26 12:09

본문

26011622.jpg하야시 시헤이(林子平·1738~93), 대삼국지도(大三國之圖) 18세기 일본의 유학자이자 지리학자였던 하야시 시헤이(林子平·1738~93)가 제작한 1802년판 대삼국지도다. 조선은 노란색, 일본은 빨간색으로 돼 있다. 확대한 부분은 울릉도와 독도다. 당시 일본 명칭인 ‘마쓰시마(松島)’가 적혀 있고 노란색으로 조선의 영토에 포함시켰다. 울릉도 왼쪽에 ‘조선의 것(朝鮮ノ持之)’이라고 해설을 달았다. 중앙일보 2015년 7월 17일자 1면(1802년 일본 지도 ‘독도는 조선 것’). [사진 우리문화가꾸기회]
26011613.jpg

[총평]
두만강 북쪽 지역인 간도는 고조선, 고구려, 발해 등의 영토였으며, 우리 민족의 주요 활동 무대였다. 1712년 조선과 청의 관리가 영역을 둘러보고 경계를 확정해 백두산정계비(白頭山定界碑)를 세웠다. 이 비에는 서쪽은 압록강, 동쪽은 토문강을 경계로 한다고 기록되어 있었다. 19세기 후반 계속된 자연재해와 삼정의 문란 등으로 간도로 이주하는 조선인이 늘어나면서 간도 귀속을 둘러싼 분쟁이 일어났다. 백두산정계비에 명시된 ‘토문강’을 조선은 쑹화강의 지류라고 주장했고 청은 두만강이라 주장했다. 조선은 간도를 분명한 우리 영토로 인식했다.

대한제국은 1897년과 1898년 두 차례에 걸쳐 간도 현지를 답사하고 간도가 우리 영토임을 확인했다. 대한제국은 1901년 회령에 변계 경무서를 설치했으며 1902년에는 이범윤을 간도에 파견했다. 다음해에 다시 이범윤을 간도 관리사로 보냈으며 간도를 함경도의 행정구역에 포함하고 이를 청에 통고했다. 이범윤은 간도의 토지와 호구를 조사하고 조선인을 보호하는 영사의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간도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관청을 설치하고자 간도에 거주하는 한국인에게 조세를 징수했다. 그리고 간도는 대한제국의 영토이므로 청에 세금을 납부할 의무가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그러자 청은 간도 지역에 연길청을 설치하고 행정 사무를 개시했다. 대한제국의 적극적인 영토 정책과 청의 대응 조치로 두 나라 사이에 국경 문제가 다시 불거졌다.

그러나 일제는 간도에 통감부 파출소를 설치했다. 이는 사실상 간도가 대한제국의 영토라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었다. 간도 파출소가 편찬한 ‘한청국경문제의 연혁’이라는 문서에는 토문강이 쑹화강 상류로서 두만강과 관계없으며 두만강이 결코 국경선일 수 없다는 사실이 여러 조항에 걸쳐 논증되어 있다. 통감부는 1909년 청에 “간도는 조선 영토의 일부이기에 간도 거주 조선인은 청 정부에 대한 납세 의무가 없다”는 사실을 알렸다.

일제는 1909년 청과 ‘간도협약(간도에 관한 청일협정)’을 체결해 남만주 지역의 철도 부설권과 푸순 탄광 채굴권을 얻는 대가로 간도를 청의 영토로 인정했다. 일제는 을사늑약을 근거로 외교권을 불법적으로 사용해 간도 협약을 체결했다. 을사늑약은 조약체결권자(비준권자)였던 고종 황제가 비준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맺은 간도협약은 법리적으로 무효라고 할 수 있다.

간도와 마찬가지로 독도는 우리나라의 고유 영토다.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확립해 왔다. 이러한 사실은 『삼국사기』 『동국문헌비고』 『숙종실록』 『만기요람』 등의 기록과 지도를 통해 확인된다. 일본의 옛 지도에도 독도는 조선 땅으로 표시되어 있다. 일본 외무성이 최초의 독도 관련 고문헌이라고 주장하는 『은주시청합기(隱州視聽合記)』에서도 독도가 조선의 땅임을 인정하고 있다. 1877년 일본 메이지 최고 행정기관인 태정관의 문서에는 “울릉도와 독도는 일본과 관계없다”고 기록되어 있다. 19세기까지 일본은 울릉도와 독도를 조선의 영토로 인식하고 있었던 것이다. 대한제국은 1900년 10월 칙령 제41호를 반포해 이를 근대법적으로 재확인했다. 대한제국은 울릉도를 울도로 개칭하고 울도 군수가 관할하는 지역에 독도를 포함시켰다. 그리고 이 사실을 중앙 관보에 게재해 독도가 대한제국의 영토라는 사실을 세상에 공표했다.

독도 영유권을 부정했던 일본은 러일전쟁 중에 독도를 무인도로 규정하고 다케시마(竹島)라는 이름으로 일본 시마네현에 불법 편입했다.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고시 제40호’에 근거해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나 법적 효력을 가지지 못한다.

최근 대학수학능력 문제 중 독도 관련 문항이 거의 없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독도 문제가 교육 현장에서 겉돌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 또한 커지고 있다. 이에 수능 한국사 시험에 독도 문제가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 독도 관련 예상 문제를 풀어보면서 수능 시험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총평=김취정 (고려대 강사·문학 박사)

[핵심 키워드]
간도는 우리 민족의 주요 활동 무대였다. 청은 간도를 자신들의 발상지라고 하여 17세기 후반부터 간도 지역의 출입을 금지했다. 조선 숙종 때 청의 요청에 따라 1712년 국경을 답사하고 압록강과 토문강을 경계로 한다는 백두산정계비를 세웠다. 19세기 중엽 이후 간도의 귀속 문제로 논란이 다시 발생했다. 백두산정계비문의 내용에서 문제가 된 점은 동쪽의 경계로 삼는다고 새겨져 있는 토문강의 위치였다. 조선은 토문강이 쑹화강의 상류임을 확인하였고, 청은 토문강을 두만강이라 주장했다. 일본은 1909년 간도협약을 통해 남만주의 철도부설권과 탄광채굴권 등을 얻는 대가로 간도 지역을 청국 측에 넘겨주었다. 간도협약은 일본이 불법적으로 간도를 청국에 넘겨준 조치였다. 

 

26011739.jpg
26023748.jpg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Total 22,501건 1 페이지
제목
[캐나다] 캐나다 주요 언론 "한국, 대북 확성기 방송 …
'북한의 오물 풍선 도발' 일제히 보도National Post, CTV News, Toronto Star, Vancouver Is Awesome 등 캐나다 주요 언론들은 한국이 북한의 도발에 대응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했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최근 북...
밴쿠버 중앙일보
06-10
[캐나다] 실업률 상승 속 고용률 저조, 내달 추가 금리…
미국 고용 시장은 호황, 캐나다는 신중한 금리 인하 필요성 강조캐나다 중앙은행은 지난 6월 5일 금리를 25베이시스 포인트(0.25%) 내려 4.75%로 조정했다. 이는 최근 금리 인상 사이클에서 처음으로 금리가 인하된 것이다. 캐나다의 실업률은 5월에 6.2...
밴쿠버 중앙일보
06-10
[밴쿠버] 고공 타워크레인이 우리집 침범 "불안해 못 살…
자료사진고공 타워크레인, 주택 위 공중에 떠있어 안전 우려 초래밴쿠버 라일리 파크(Riley Park) 지역의 한 부부가 인근 콘도 개발업체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개발업체 스트리트사이드 디벨롭먼트 사의 6층짜리 콘도 건설현장에 설치된 고공 타워크...
밴쿠버 중앙일보
06-10
[캐나다] 대형 라이브 공연 취소 속출… 팬들 지갑이 텅…
콘서트 티켓 가격의 역설… 슈퍼스타만 살아남나대형 페스티벌 취소 속출, 중소 아티스트들은 설 자리 잃어최근 몇 년간 라이브 음악 산업은 팬데믹 이후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다. 팬들은 오랜 격리 생활을 벗어나 콘서트와 페스티벌에 몰려들었고, '펀플레이션...
밴쿠버 중앙일보
06-10
[캐나다] 캐나다의 중국 상대 전략 "너무 굽신거렸다" …
캐나다 상무부는 지난해 베이징의 무역 관행을 비판했지만, 전직 대사는 오타와가 지나치게 굽신거리는 자세로 임했다고 지적했다.로브 스튜어트 국제 무역부 차관은 중국 상무부 부장 왕 쇼우원(Wang Shouwen)과의 회의에서 캐나다산 소고기와 애완동물 사료 수입 금지, ...
밴쿠버 중앙일보
06-10
[캐나다] 새 영주권 시범 프로그램으로 가족 재회 꿈 이…
8년 만에 가족 재회, 새로운 이민 정책이 가져온 변화에블린 드 베라 씨는 1982년 홍콩으로, 1986년에는 캐나다로 이주하면서 고향 필리핀과 가족을 떠났다. 세 자녀를 위해 더 나은 삶을 찾고자 한 그녀의 여정은 긴 이별의 아픔을 안겨주었다.드 베라 씨는 아이들과 ...
밴쿠버 중앙일보
06-10
[캐나다] “어떻게 아이 키우나” 캐나다 부모들의 경제난…
희생과 절약으로 경제 위기를 버티는 부모들최근 경제 상황이 어려워지면서 아이를 키우는 캐나다 부모들이 어떻게 생활비를 감당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다. 소셜 뉴스 웹사이트 '레딧' 사용자가 “30대 초반의 부부들이 어떻게 아이를 키울 돈을 ...
밴쿠버 중앙일보
06-10
[캐나다] 공개적 축하 이혼 파티 영상 급증, "자녀에게…
인스타그램에서 영감 받은 케이크와 함께 이혼 파티인스타그램과 틱톡에서 이혼을 축하하는 파티 영상이 급증하면서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한 영상에서는 전 신부가 결혼 드레스를 모닥불에 던지고 다른 영상에서는 친구들이 '그의 차에 열쇠를 제공하겠...
밴쿠버 중앙일보
06-10
[밴쿠버] [The 많은 뉴스] 6월 10일(월)
▶클릭을 하면 'The 많은 뉴스'를 볼 수 있습니다.■ 코퀴틀람의 전설적 동네 주점이 문 닫는 이유■ 홍수 빈발 ‘수마스 프레리’, 호수로 복원 논란■ 밴쿠버 시, 주차 티켓 문자 사기 주의보■ 음주운전 사고로 세 자녀 잃은 어머니...
밴쿠버 중앙일보
06-10
[캐나다] 올들어 BC주 산불 200건 감소, 메트로 밴…
"맑은 하늘, 산불 시작 크게 줄어"작년 이맘때 메트로 밴쿠버는 산불 연기로 인해 공기질 경보가 발령됐지만 올해는 연기가 거의 없어 맑은 하늘을 보이고 있다. BC 산불 서비스의 에밀리 피콕 씨에 따르면 올해는 2023년의 기록적인 시즌에 비해 산불 ...
밴쿠버 중앙일보
06-10
[캐나다] 캘거리 "주요 수도관 파손, 물 절약 없으면 …
캘거리 긴급 상황 당국은 시내 주요 수도관 파손으로 인한 물 제한 조치가 언제 해제될지 아직 예측할 수 없다고 전했다.캘거리 수도국장 낸시 매케이와 시장 조티 곤덱, 긴급 관리국장 수잔 헨리가 일요일 오후 브리핑에서 파손된 수도관 상황을 설명했다. 매케이는 손상된 관을...
밴쿠버 중앙일보
06-10
[밴쿠버] 밴쿠버 콜하버서 수상비행기와 보트 충돌, 2명…
지난 8일 밴쿠버 스탠리 파크 인근의 콜하버에서 수상비행기와 보트가 충돌해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경찰은 오후 1시경 하버 에어의 수상비행기가 여객 보트와 충돌했다고 밝혔다. 추가 정보는 조사가 진행됨에 따라 공개될 예정이다.하버 에어 대변인은 "...
밴쿠버 중앙일보
06-09
[캐나다] 캐나다, AI 인재 찾기 열풍… 글로벌 채용문…
기술 기업부터 스타트업까지, AI 전문가 글로벌 채용 열풍조직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AI 전문가 채용 트렌드 분석인공지능(AI) 시스템이 직원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고객 서비스를 강화하면서, 기술 기업뿐만 아니라 모든 산업 분야에서 AI에 능통한 인재를 확보하려는 ...
밴쿠버 중앙일보
06-09
[캐나다] 加-美 국경, 국제 범죄 조직 활개... "3…
멕시코 카르텔, 국경 따라 확장캐나다-미국 국경을 따라 국제 범죄 조직의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마이크 파누어스 BC주 공공안전부 장관은 7일, 양국 법 집행 기관 간의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파누어스 장관은 에스콰이말트에서 열린 치안 기관 회의에 참...
밴쿠버 중앙일보
06-09
[캐나다] 중국의 충격적인 선거 개입… 캐나다의 실수 드…
중국과의 관계 재평가 필요성, 국제 사회의 대응 방안 필요지난주 캐나다는 중국의 선거 개입 사실을 알게 되면서 중국과의 우정이 큰 실수였음을 확인하며 친구와 적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됐다.  2017년 12월 5일,...
밴쿠버 중앙일보
06-09
[캐나다] 연방 법원, BC주 연어 양식장 면허 갱신 거…
양식장이 야생 연어에 미치는 불확실한 위험 '합리적' 평가머레이 전 장관의 면허 갱신 거부 결정 '절차적 공정성' 충족연방 법원이 BC주 연어 양식장 15곳의 면허 갱신을 거부한 오타와의 결정을 검토해 달라는 두 원주민 공동체와 양식장 운영...
밴쿠버 중앙일보
06-09
[밴쿠버] 비올리스트 정성우 독주회 열려
2년 전 Our Lady of Fatima 성당에서 “당신을 향한 가장 소중한 선물” 독주회를 성공적으로 마친 비올리스트 정성우가 더욱 노련하고 세련된 연주자로 성장하여 다시 한번 무대에 오른다. 이번 독주회는 9일(일요일, 오후 5시),...
밴쿠버 중앙일보
06-08
[밴쿠버] 살인, 총격, 약물사망 일상화… 혼란의 밴쿠버…
약물 비범죄화의 실패, 총격, 폭력 사건 증가정책 실패 인정하지 않는 에비 주수상밴쿠버가 최근 몇 년간 약물 처벌 완화 정책의 실패로 인한 혼란과 폭력에 시달리고 있다.2021년 미국의 오리건주는 노숙자와 중독 문제 해결을 위해 강력한 약물 소지 처벌 완화 정책을 시행...
밴쿠버 중앙일보
06-08
[캐나다] "캐나다 달러, 70~72센트까지 떨어질 우려…
"금리 차이로 인한 루니화 하락, 인플레이션 가능성""금리 인하, 인플레이션 부추길 가능성"캐나다 중앙은행이 이번 주 정책 금리를 0.25% 인하했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가을까지 금리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
밴쿠버 중앙일보
06-08
[밴쿠버] 코퀴틀람 학교 주변 추행 사건, 경찰 용의자 …
메일라드 중학교 인근에서 용의자 목격용의자, 어두운 후드티와 운동복 착용코퀴틀람 경찰이 최근 몇 주간 발생한 추행 사건에 대해 조사 중이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 5월 27일부터 6월 4일까지 로체스터 애비뉴(Rochester Ave)에 있는 메일라드 중학교(Mailla...
밴쿠버 중앙일보
06-08
[캐나다] 수천 명 속인 전화 사기, 캐나다 전역 휩쓸어…
CRA 사칭 체포와 송환 명령으로 조직 정체 밝혀져RCMP 사기꾼 체포, 피해액 3천 4백만 달러 이상 추정캐나다 전역에서 수백만 달러를 가로챈 대규모 전화 사기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최근 중국에서 돌아온 용의자가 체포되고, 또 다른 용의자가 인도로 추방되면서 사건의...
밴쿠버 중앙일보
06-08
[캐나다] 음주운전 사고로 세 자녀 잃은 어머니, 이번엔…
남편 극단적 선택 후 연이은 재난, 아이들 유골함도 불타2015년 음주운전 사고로 세 자녀를 잃은 온타리오주의 제니퍼 네빌-레이크 씨의 집이 화재로 전소돼 안타까움을 사고 있다.다행히 화재 당시 그녀는 집에 없었지만 아이들의 유골함 마저 화재로 사라졌다고 전했다.&nb...
밴쿠버 중앙일보
06-08
[밴쿠버] 밴쿠버 누드 비치 이용자들, '관음증 증가' …
당국 "의료 응급 상황에 접근성 개선 필요"프라이버시와 안전 사이, 해변 관리의 딜레마밴쿠버의 누드 비치로 유명한 렉 비치(Wreck Beach) 이용자들이 안전과 접근성 개선을 위한 조치가 오히려 관음증 증가와 장소 훼손을 초래하고 있다고 불만을 제...
밴쿠버 중앙일보
06-08
[밴쿠버] 밴쿠버 시, 주차 티켓 문자 사기 주의보
문자 속 링크 클릭 금지, 개인정보 유출 우려사기범들, 링크 통해 벌금 지불 요구밴쿠버 시는 최근 주민들에게 주차 티켓 사기 문자에 주의하라는 경고를 했다. 이 사기 문자에는 주차 티켓이 연체되었으며 특정 날짜까지 이를 지불하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사기범들은 추가 수수...
밴쿠버 중앙일보
06-08
[밴쿠버] 홍수 빈발 ‘수마스 프레리’, 호수로 복원 논…
UBC 과학자들, 주민 이주와 농장 재배치 제안정치권과 주민, 호수 복원에 강력 반대보고서에 따르면 BC주 애보츠포드의 수마스 프레리 지역을 호수로 되돌리기 위해 일부 주민과 농장을 재배치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와 논란이 일고 있다. UBC 과학자들이 작성한 이 보고서는...
밴쿠버 중앙일보
06-08
게시물 검색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