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유일의 분단국가, 한국의 비무장지대가 들려주는 목소리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캐나다 | 전세계 유일의 분단국가, 한국의 비무장지대가 들려주는 목소리

밴쿠버 중앙일보 기자 입력23-10-12 13:10 수정 23-10-12 13:1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본문


10월 13일~1월 27일, ‘경계협상-오타와’ 전시



주캐나다한국문화원(원장 이성은, 이하 문화원)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원장 정길화, 이하 KOFICE), 리얼디엠지프로젝트(감독 김선정, 이하 RDP), SAW Centre (대표 Tam-Ca Vo-Van, 이하 SAW)와의 협력을 통해 캐나다 수도 오타와의 문화원 전시실과 SAW갤러리에서 10월13일부터 내년 1월27일까지 <경계협상-오타와> 전시를 개최한다. 본 사업은 KOFICE의 2023 트래블링 코리안 아츠와 리얼디엠지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기획된 전시다.


《경계협상―오타와》는 비무장지대(이하 DMZ)의 장소성과 역사, 분단의 의미를 환기하는 한편 미래의 DMZ에 대해서 제고해 보는 전시로, 전 광주비엔날레 대표이자 아트선재센터의 예술감독인 김선정씨가 2012년 시작한  ‘리얼디엠지프로젝트(REAL DMZ PROJECT)’에서 시작 되었다. 철원의 안보 관광 코스와 양지리 마을을 중심으로 한 전시와 커미셔닝 작업을 시작으로  2019년에는 문화역서울 284에서 이제까지의 전시를 망라하는 대규모전시가 열렸으며, 이후 덴마크, 브라질, 영국, 프랑스, 남아프리카공화국, 호주, 독일 등 해외에서도 전시 하였다.  


 본 전시는 주 캐나다 한국문화원과 SAW Centre 내 SAW 갤러리에서 개최된다. 두 전시장은 남과 북이 70년의 세월 동안 거울처럼 서로를 반영해왔듯이 DMZ의 여러 다른 모습을 마주 보듯이 구성된다.  SAW 갤러리에서는 최찬숙, 임민욱, 제인 진 카이젠  등 국내외에 잘 알려진 세계적인 작가들의 작품과 아드리안 괼너, 윤진미 등 캐나다를 대표하는 현대미술가들의 작품을 통해  남과 북의 관계와 분단 상황과 분단에 처한 사람들을 조명한 작업이 소개되며, 이 외에도 철원 양지리 마을을 중심으로 민간인 통제구역 주민의 삶을 보여 주는 혜안폴권카젠더의 작품이 전시된다. 


 문화원 전시실에서는 일반인이 들어갈 수 없는 DMZ에 작품을 설치한다는 가정하에 만든 작품이 공개된다. 이불, 임민욱, 함경아, 토비아스 레베르거, 수퍼플렉스가 가상의 DMZ공간에 설치한 거대한 설치작업들의 모습을 담은 영상을 통해 DMZ의 미래를 꿈꾸는 작업들을 전시하며, 조경진과 조혜령 그리고 이끼바위쿠르르가 70년간 사람의 출입이 제한된 DMZ에 남은 동물과 식물, 비인간적인 요소 등 생태 환경적 부분을 다루는 작업을 선보인다. 그 이외에도 이불, 함경아, 전소정은 남북 화합에 대해 이야기하는 작품들을 통해 DMZ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한다


1973년 건립 이래 올해로 개원 50주년을 맞는 SAW Centre는 캐나다의 대표적인 예술가 직접 운영 기관(artist-run-centre)으로, 정치적이고 사회성 있는 공연 및 미디어아트 작품들을 주로 다루어 왔다. 현재 매년 3만여 명의 방문객들이 찾고 있는 SAW는 오타와-가티누 지역의 주요 문화기관으로서 자리잡고 있다.


 이번 전시에는 DMZ를 둘러 싼 관심과 논의들을 불러 일으킬 다양한 부대행사들도 마련된다. 10월13일(금) SAW Centre에서 있을 개막식 행사에는 캐나다 젊은이들의 DMZ 행사 참여를 환영하는 K-Pop 커버댄스 공연이 SAW의 전천후 실험예술 공간인 Club SAW에서 개최되고, 10월14일(토)에는 문화원 전시 개막식과 패널토론, 그리고 영상상영이 있다. 본 패널토론에는   전시의 기획을 맡은 김선정 예술감독과 윤진미, 아드리안 괼너, 혜안폴권카젠더 등의 전시작가들이 참여한다. 패널토론에 이어서 아드리안 비야르 로하스의 2017년 베를린영화제 출품작 <전쟁의 가장 멋진 순간> 영상이 상영될 예정이다.  

 

이성은 문화원장은 “2023년은 한국과 캐나다가 수교6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 깊은 해이다. 이러한 뜻깊은 해에  남과 북의 분단으로 인해 만들어진 여러 가지 현상을 동시대 예술의 시각으로 고민하는 <경계협상-오타와> 전시를 캐나다의 수도에서 현지의 대표적인 현대미술관인 SAW Centre와의 협력으로 공동주최 한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는 캐나다가 1950년 한국전 최초 참전국이었고 현재도 전략적 파트너로서 한국과 현대사를 같이 하고 있는 최우방국이라는 사회,역사적 연대감을 바탕으로하여, 지난 십여년 간 그 열기를 더하고 있는 캐나다인들의 K-Culture에 대한 뜨거운 관심과 사랑이 이제는 DMZ라는 한국적이고도 범세계적 이슈로까지 그 화두를 넓히고 있다는 것을 입증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본 전시가  기존 문화원 전시의 방문객과는 또 다른 젊고 다양한 관람객층에게 DMZ를 둘러싼 한국의 역사와 한국사회의 특수성을 소개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현지인들의 한국에 대한 이해의 폭을 더욱 넓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 밝혔다. 


이번 전시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문화원 웹사이트 

https://canada.korean-culture.org/ko/1237/board/572/read/126102를 참고하면 된다. 


전시정보: 

- 제 목: <경계협상-오타와> 전시

- 참여작가: 제인 진 카이젠, 혜안폴권카젠더, 임민욱, 최찬숙, 윤진미, 아드리안 괼너, 이불, 함경아, 토비아스 레베르거, 수퍼플렉스, 김동세, 조경진, 조혜령, 전소정, 이끼바위쿠르르, 아드리안 비야르 로하스 등 총 20명 

- 전시기간: 2023. 10. 13. ~ 2024. 1.27.

    2023.10.13(금) 오후7시-자정: 전시개막식과 특별공연 (SAW 갤러리)

    2023.10.14(토) 오후5-8시: 패널 토론과 특별영상 상영회 (문화원 다목적홀)

    2023.10.18(수) 오후7:30-9:30: 리버베드와 함께하는 한국계 캐나다 작가 문학 작품 낭송 및 특별공연 

    2023.11월 중  캐나다 전쟁기념관의 한국전 정전 70주년 기념 전시 연계 행사

    2024. 1.27. 전시폐막 행사 및 전시도록 발간 기념행사 (일정 추후 확정) 

- 장 소: 주캐나다 한국문화원 전시실, SAW Centre

- 주 관: 한국문화원, SAW Centre

- 주 최: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주캐나다 대사관  

- 주 제: 한반도의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와 그 접경지역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진행하는 회화, 설치, 미디어 등 동시대 미술프로젝트 전시. 


전시장 정보: 

1.주캐나다한국문화원 (150 Elgin Street, Ottawa): canada.korean-culture.org /  

- 관람시간: 월요일~금요일/ 9:00~17:00   

- 문의: canada@korea.kr/ 613-233-8008 


2. SAW Centre (67 Nicolas Street, Ottawa):  https://saw-centre.com/ 

- 관람시간: 화요일~토요일/ 11:00~18:00 

- 문의: info@saw-centre.com/ 613-236-6181 


밴쿠버 중앙일보


관련 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441건 14 페이지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뉴스 제목
캐나다 캐나다인이 우버에서 가장 자주 잊어버리는 10가지 물건
당신의 우버 차량 안에 무엇이 남아 있을까…우버는 최근 제8회 연례 분실물 지수를 발표하며 캐나다인들이 우버 이용 중 가장 자주 잊어버리는 물품들을 공개했다. 의류가 가장 많이 잊혀진 물건으로 꼽혔으며 이어서 가방, 헤드폰 순으로 나타났다. 휴대폰은 생각보
04-22
캐나다 자동차 굉음 좋아하는男 '사디즘ㆍ사이코패스' 연관
차량 애호가 커뮤니티는 연구 결과에 대한 반응 엇갈려소음을 사랑하는 이들, 그 뒤에 숨겨진 심리는?자동차의 굉음이 밤잠을 설치게 하는 것은 낯선 일이 아니다. 온타리오주 웨스턴 대학교의 줄리 에이킨 셔머 교수가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개조된 머플러를 통해 자동차 소음을
04-22
캐나다 토론토 10대, 급행열차 지붕 위에 올라 타다 떨어져 중상
토론토 경찰은 지난 20일 자정 무렵 15세 소년이 급행열차(GO 열차)의 지붕 위에 올라 타다 떨어져 생명이 위태로울 정도의 중상을 입어 병원에 이송되는 사건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소년은 친구들과 함께 열차의 지붕에 올라타다 변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사고는 유니언
04-22
캐나다 加방문 김진표 의장, 상원의장과 협력 강화 논의
김진표 국회의장이 오타와 상원 회담장에서 가네 상원의장과 회담을 마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위엔 파우 우·레베카 페터슨 상원의원, 안규백·윤호중·한정애 의원, 김진표 국회의장, 레이몽드 가네 상원의장, 주호영&midd
04-21
캐나다 입소문 '자연 보조제' 복용후 심각한 부작용… 보건당국 조사 착수
히알루론산 식이 보충제, 부작용으로 소비자 경고디클로페낙 함유 확인, 캐나다 내 판매 중단 요구매니토바 주 스타인바흐에 사는 칼라 앤 퍼거슨 씨는 입소문을 통해 우마리 히알루론산 식이 보충제(Umary Hyaluronic Acid Dietary Supplement)의
04-21
캐나다 加 대형은행 CEO “자본이득세 인상, 심각한 우려”
"투자와 혁신에 잘못된 신호" 경고 캐나다 경제에 미칠 영향에 주목캐나다의 주요 금융기관 중 하나인 National Bank of Canada의 로랑 페레이라 CEO가 최근 트뤼도 정부의 자본이득세 인상 계획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로
04-21
캐나다 앨버타주, 역사상 최대 규모의 물 공유 협약 체결
가뭄위기 대응 지역 간 협력 강화 물 사용량 줄이기로 합의앨버타주가 118년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물 공유 협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하면서, 가뭄 위기에 대한 지역 간 대응책이 강화되고 있다. 이번 협약은 앨버타주 남부 지역의 주요 도시들인 레드디어, 캘거리,
04-21
캐나다 국세청, 온라인 접속 위한 새로운 인증 방식 도입
디지털 인증, 우편 수령 대기시간 단축 기대캐나다 국세청(CRA)이 온라인 접속을 위한 새로운 인증 방식을 발표했다. 기존의 우편으로 액세스 코드를 요청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디지털 인증으로 대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전망이다.킴 무디 세무사는 새로운
04-21
캐나다 '제1회 로블로에서 훔치는 날' 포스터 파문
절도를 부추기는 캠페인, 사회적 논란 일으켜토론토의 몇몇 지역에서 "로블로에서 훔치자!"라고 적힌 포스터가 발견돼 사회적 논란이 일고 있다. 이 포스터는 '제1회 로블로에서 훔치는 날'로 5월 12일을 지정하며 로블로가 소유한 여러 매장
04-19
캐나다 캐나다 최대 금괴털이 에어캐나다 직원과 짜고 범행
에어 캐나다 전ㆍ현직원 포함 9명 기소금괴 6천개와 현금다발 도난 당해 금괴 일부 녹여 불법 총기 구입에 사용지난해 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에서 발생한 대규모 금괴 절도 사건과 관련하여, 경찰이 에어 캐나다의 현직 및 전직 직원을 포함한 총 아홉 명의 용의자를
04-18
캐나다 美국경 넘어 기름 구입, 신고하지 않을 경우 벌금 부과
24시간 미만 면세 한도 적용 안돼정확한 신고로 불이익 피해야최근 BC주의 일부 지역에서 기름값이 리터당 2달러를 넘어서면서, 국경을 통과해 미국에서 저렴한 기름을 구입하려는 캐나다 운전자들 사이에서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애보츠포드의 한 페이스북에서는 최근 수
04-18
캐나다 연방 예산안, 자본 이득세 개정으로 고소득층 부담 증가 예상
연방정부는 2024년 예산안을 통해 자본 이득세의 변화를 제안함으로써, 고소득층이 그들의 수익에서 더 큰 부분을 부담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조치는 주식, 부동산, 사업체 매각 등의 자산 판매 수익에 적용되는 것이다.제안에 따르면, 개인이 연간 25만 달러를 초
04-18
캐나다 팀 호튼, 5만5,000달러 짜리 보트 당첨 오류 사과…고객들 소송 검토 중
기술적 오류로 고객 혼란 유발연이은 실수로 신뢰도 하락 우려실제 당첨자 없음에도 당첨 알림팀 호튼의 '롤 업 투 윈(Roll Up To Win)' 프로모션 중 발생한 기술적 오류로 인해 캐나다 전역의 수많은 고객이 5만5,000달러 상당의 보트를 당첨된
04-18
캐나다 캐나다 치과보험 "치과 의사 참여 계약 없이 청구 가능"
치과 협회장, 여전히 프로그램에 대한 주저보건장관, 치과 의사들의 광범위한 참여 예상연방 정부는 17일, 캐나다 치과 보험 계획(Canadian Dental Care Plan, CDCP)에 환자를 치료하는 치과의사와 치과 서비스 제공자들이 프로그램에 공식적으로 등록하지
04-18
캐나다 침입종 '작은입우럭', 밴쿠버 아일랜드 생태계 위협
에코 호수(Echo Lake) 긴급 퇴치 작업 시작작은입우럭 이동 금지 위반 시 법적 처벌낚시꾼들에게 작은입우럭 퇴치 협조 요청BC주정부는 밴쿠버 아일랜드의 외딴 호수에서 침입종인 작은입우럭(Smallmouth Bass)를 퇴치하기 위해 낚시꾼들의 도움을 요청했다. 작
04-18
캐나다 ‘내집 장만부터 장애 수당까지’ 연방 예산 발표
중산층 진입 지원 및 주택 공급 확대에 초점고소득층 증세, 주택 정책 강화로 경제 활력 도모2024년 연방 예산이 공개되었다. 정부는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젊은 세대가 중산층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수 십억 달러의 신규 지출을 계획했다.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04-17
캐나다 [모르면 손해 연방예산] 주택을 구입하고 싶으신가요?
연방정부가 2024년 예산을 공개했다. 이 예산은 수십억 달러의 새로운 지출을 포함하고 있으며, 새로운 수익원으로 상쇄될 예정이다. 자유당은 이번 예산을 "세대 공정성"을 향한 것으로 설정하고, 공식 발표에 앞서 주요 항목들을 선택적으로 발표하는 비전
04-17
캐나다 연방정부, 400억 달러 적자에 추가 지출 529억 달러 발표
크리스티아 프릴랜드 재무부 장관 부유층, 기업에 자본 이득세 인상 190억 달러 징수밀레니얼 세대와 Z 세대에 대규모 주택 프로그램 제공연방정부가 향후 5년간 예정된 계획보다 529억 달러를 추가로 지출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크리스티아 프릴랜드 재무부 장관은
04-17
캐나다 [모르면 손해 연방예산] 취학기 자녀 지원과 혜택
연방정부가 최근 발표한 2024년 예산에는 취학기 자녀를 둔 가정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가 포함되어 있다. 이 중 하나는 새로운 학교 급식 프로그램에 대한 자금 지원으로 이 프로그램에는 향후 5년간 10억 달러가 투입되어 40만 명 이상의 학생들에게 혜택을 제공할
04-17
캐나다 [모르면 손해 연방예산] 갈아타고 수리하기 쉬워지는 통신사와 아이폰
정부는 휴대폰 계약에 얽매여 있을 때 다른 통신사의 더 저렴한 요금제가 등장하는 상황에 대해 소비자의 불만을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새로운 정책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통신법 개정을 통해 통신사들이 고객이 다른 통신사로 전환할 때 추
04-17
캐나다 [모르면 손해 연방예산] 은행의 잔액부족 수수료 규제 정책
현재 잔액부족 수수료 (NSF, Not Sufficient Fund)는 최대 50달러에 이를 수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은행 수수료 가운데 수표 결재 시 충분한 잔액이 부족할 경우 은행측이 벌금식으로 물리는 NSF 수수료를 현행 건당 50달러에서 10달러를 넘지 못하
04-17
캐나다 [모르면 손해 연방예산] 장애인 혜택ㆍ국가약품 계획
2024년 예산에는 지난 6월 왕실 동의를 받은 캐나다 장애인 혜택법(Canada Disability Benefit Act)에 관한 자세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의 초기 자금은 첫 5년 동안 61억 달러, 이후 연간 14억 달러가 할당되었다.이 프로그램의
04-17
캐나다 [모르면 손해 연방예산] 중소기업 사장님 또는 기업가이신가요?
이번 예산에는 기존 중소기업의 성장을 돕고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되는 조치들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연방 정부는 500명 미만의 직원을 둔 기업에 "환경 오염에 대한 가격 수익금을 긴급히 환급"할 것이라고 밝힌 새로운 캐나다 중소기업 탄
04-17
캐나다 [모르면 손해 연방예산] 투명한 콘서트 티켓과 항공료 규제 강화
연방정부가 2024년 예산을 통해 다양한 비용 절감 조치를 도입했다고 발표했다. 이 조치들은 각 주와 준주에 일명 '숨겨진 수수료'를 줄이도록 요청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캐나다인들이 가능한 한 지갑에 더 많은 돈을 남길 수 있도록 돕는 것
04-17
캐나다 [모르면 손해 연방예산] 전기차 지원 확대 계획
연방정부는 2035년까지 모든 신차 판매가 전기차로 이루어지기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자유당 정부는 스텔란티스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을 유치하여 수 십억 달러를 배터리 및 차량 제조 공장에 투자하였다. 자원부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확장하기 위해
04-17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