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쿠버 한국 해외취업 선호 도시 1위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세계한인 | 밴쿠버 한국 해외취업 선호 도시 1위

표영태 기자 입력17-08-25 09:01 수정 17-08-26 06:46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본문

93%이상 경쟁사회 한국 탈출 원해

대부분 캐나다 이민자 되는 것이 꿈

 

한국의 직장인들의 대부분이 해외로 나가고 싶어하며 그 대상 국가로 캐나다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영어회화 교육전문기업인 시원스쿨이 25일 20-40대 남녀 직장인 59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해외취업 선호도’ 자체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직인 전부 다라고 할 수 있는 93.4%가 기회만 된다면 해외취업을 하고 싶어했다. 또 10명 중 4명(41.6%)의 응답자는 단순히 해외취업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평생을 해외에서 살고 싶어 했다.

이렇게 한국의 직장인들이 한국을 떠나고 싶은 이유로 명목적으로 가장 상투적인 대답인 ‘향후 커리어 개발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31.4%)가 가장 많았다. 하지만 이와 유사한 정도(30.5%)의 응답자가 ‘근무시간 및 노동 강도 등 한국의 근로조건에 대한 불만족 때문’이라고 대답해 실제 속마음은 헬조선으로 불리는 한국의 근무 환경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한국의 대부분의 기업은 선진국과 달리 직원을 인간이 아니라 소모재로 인식하고 효율성이 최대화 될 때까지 쥐어 짜며, 효용성이 떨어지면 바로 쉬운 해고로 버리는 비인간적인 기업정신으로 외형적으로만 세계적인 재벌로 커 왔기 때문이다.

이렇게 심적으로 상처입은 한국의 직장인들이 선호하는 나라로 가장 이민 친화적인 국가인 캐나다22.3%를 꼽았다. 그 뒤로 한국인의 막연한 어메리칸 드림이자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페이스북, 구글과 같이 세계적인 청년 창업 기업이 많은 미국(21.3%)에 이어 호주(13.2%), 영국(5.8%), 독일(5.6%)의 순이었다. 

그래서 해외 취업 선호 국가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서는 ‘일과 개인 삶의 균형이 잘 이뤄질 것 같아서’(16.8%), ‘가족과 함께하는 삶이 가능할 것 같아서’(13.7%)가 각각 1위와 2위에 올랐다. 이외에도 해외취업 선호 이유들로 내용은 ▲미세먼지가 없는 등 자연환경이 좋아서(11.5%) ▲해당 국가 생활 방식이 좋아서(11.5%) ▲자녀 교육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10.6%) 등으로 모두 캐나다를 가리키고 있다.

직장인이 캐나다를 선호한다는 조사결과는 올 1월 11일 발표된 취업포털 잡코리아와 아르바이트포털 알바몬이 성인남녀 4802명을 대상으로 '이민' 관련 설문 조사결과와도 일치한다.

잡코리아와 알바몬의 조사에서도 한국의 성인남녀 10명 중 7명(70.8%)은 기회만 된다면 해외로 이민을 가겠다고 대답했다.

해외 이민에 대한 선호도는 여성(74.9%)들이 남성(66.3%)에 비해 8.6%포인트 높았다. 세대별로 보면  20대가 73.7%로 나타나는 것을 비롯해 30대가 72.4%, 40대가 62.8%, 그리고 50대 이상 42.8%로 나타나 젊을수록 한국을 떠나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대 대선을 치르기 전에 조사된 결과로 연령별로 상식과 양심을 원하는 정부를 선호하는 순서를 반영해 결국 불법독재 정부에 익숙해 그냥 체념하고 사는 연령대와 자유민주주의를 제일가치로 교육 받은 연령대가 바라는 헬조선으로부터 탈출욕구가 상관관계가 있어 보인다.

이를 입증하듯이 해외 이민을 가고 싶은 이유로는(복수응답) ▶ 치열한 경쟁 사회에서 떠나 여유로운 삶을 살고 싶다는 이유가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1.2%로 절대적으로 높았으며 이어 ▶ 부정부패된 정부에 가망성이 없어서 24.8%, ▶ 해외 선진 복지제도를 누리고 싶어서 18.1%, ▶ 자녀 교육을 위해서 15.0%, ▶ 부의 양극화 문제가 심각해서 13.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이민가고 싶은 국가로는 ▶ 캐나다가 22.1%로 1위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 호주 14.4% ▶미국 11.3% ▶ 뉴질랜드 10.9% ▶ 스위스 6.3% 등이 5위까지 차지했다.

이민가고 싶은 국가를 선택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사회 분위기와 문화를 선택한 응답자가 35.4%로 가장 많았으며,  복지제도 29.8, 자연환경 13.3%, 소득수준 6.6%, 일자리 4.7%, 교육제도 3.9% 등의 순이었다.

하지만 한국의 직장인들이 치열한 경쟁사회나 경제가치에 의한 인간성 매몰로 인해 해외 취업이나 이민을 선호하면서도 여전히 한국적인 돈 많이 벌기와 돈 많이 주는 직장에 대한 환상이 남아 있다. 이런 표면적인 기대욕구와 내적인 기대요구의 부조화로 인해 캐나다에 와서 다시 불만을 표출하는 한인 취업희망자들이 많다.

일부 한국 젊은이들은 캐나다의 취업 환경을 전혀 이해하지 못한 채 처음부터 풀타임 취업을 원하거나 이민 등 부수적인 이유를 내세워 고용주와 마찰을 빚기도 한다.

표영태 기자

관련 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2,386건 509 페이지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뉴스 제목
세계한인 재외공관장, 한반도 평화ㆍ경제 외교 논의
강경화 외교부장관이 재외공관장들과 국립현충원을 방문해 순국선열에 참배했다.재외공관장 2일차 다양한 일정 소화분임토의ㆍ총리 오찬ㆍ안보강연   2017년 재외공관장회의 둘째 날인 19일(화) 오전 공관장들은 '국익중심 외교 : 경제활성화'를 주제
12-19
캐나다 주캐나다 대사관 한반도 및 동아시아 안보 심포지움 개최
    주 캐나다 대한민국 대사관(대사 신맹호)는 지난 12일 캐나다 외교부 및 주 캐나다 미국대사관과 공동으로, 2017년 한반도 및 동아시아 안보 심포지움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안 셔거트(Ian Shugart) 연방 외
12-19
밴쿠버 연말연시 총영사관 휴무
(주밴쿠버총영사관 민원실 모습(밴쿠버중앙일보 DB)) 연말연시를 맞아 주밴쿠버 총영사관이 휴무에 들어간다. 25일과 박싱데이 26일에 문을 닫고 내년 1월 1일도 직원이 출근하지 않아 민원 업무가 처리되지 않는다.이 기간 중 위급한 사건사고 발생시 비상전화 6
12-19
캐나다 10월 방문 한인 2만 6000명
지난 10월 캐나다를 찾은 외국인 수가 전달 대비 1.5%가 증가했는데 한인 방문자 증가율에 이에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통계청이 발표한 10월 관광 통계자료에 따르면 한인 방문자 수는 2만 6000명이었다. 전달에 비해 0.5%
12-19
부동산 경제 밴쿠버 비거주자 소유 주택, 수는 적어도 고가로 몰려
최근 밴쿠버와 토론토 주택 가격 상승에 외국인 부동산 투기자가 몰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이들이 주로 고가 주택을 소유하고 있다는 통계자료가 나왔다. 연방통계청은 캐나다모기지주택공사와 함께 조사한 메트로 밴쿠버와 광역 토론토의 비주거자의 주택 소
12-19
이민 "캐나다 이민 친화적 국가 자랑스럽다"
연방정부, 12월 18일 '세계이주의 날' 성명  1UN이 정한 '세계이주의 날(International Migrants Day)'을 맞이해 아메드 후센 연방 이민부 장관과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외교부 장관 그리고 매리-클라우드 비보 국제개발부 장관이
12-18
캐나다 美 시애틀 열차 탈선
[사진=워싱턴주고속도로순찰대]월요일 출근길 고속도로로 떨어져 고속주행용 새 선로·새 열차 첫날 사고6명 사망·80여 명 병원 후송미국 시애틀에서 암트랙 열차가 탈선해 고속도로로 추락하면서 6명이 사망하고 80여 명이 병원으로 후송됐다. 사고는 18일
12-18
밴쿠버 써리 새 종합병원 건립 추진
아드리안 딕스 주 보건부 장관은 인구가 급증하는 써리시의 실정에 맞게 추가로 새 종합병원을 건립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18일 발표했다. 딕스 장관은 "써리 메모리얼 병원의 일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써리시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는데 완벽하게 의료서비스를
12-18
밴쿠버 [UBC 한인학생 기자단의 눈] UBC의 지진 대책은 어떤가?
지난달 한국 포항에서 지진으로 수능이 연기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이러한 지진피해는 비단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이하 UBC)의 소재지인 밴쿠버 또한 지진을 발생시키는 북아메리카 판
12-18
밴쿠버 [유학생 인턴의 밴쿠버 이야기] 버나비의 디어레이크를 찾아서
어느 주말 오후, 버나비에 있는 엄청난 크기의 호수와 너무 예쁜 산책로가 펼쳐진 디어 레이크 호수에 다녀왔다. 구글 지도를 보다가 크고 특히 이름이 마음에 들어 무작정 11월 어느날 버스를 타고 찾아 갔다. 구글이 알려주는 곳에 내렸는데 으슥한 산책로가 나와서 걱정했지
12-18
밴쿠버 이번 주 밴쿠버 한파 '꽁꽁'
[사진=flickr/Dennis Crabtree​]화요일 눈...금요일 -10℃예년과 달리 맑은 날씨를 보였던 밴쿠버 지역의 초겨울 날씨가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눈이 내리는 것을 비롯해 기온이 영하로 떨어진다는 예보가 나왔다. 기상청이 18일 오전 11시 18분
12-18
밴쿠버 BC주 그리즐리 전면 사냥 금지
BC주에서 논란이 되던 그리즐리 사냥이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전면 금지하는 쪽으로 결정됐다. 국토천연자원농어촌개발부 더그 도널드슨 장관과 환경기후변화전략부 조지 헤이맨 장관은 BC주 전역에서 그리즐리에 대한 사냥을 금지한다고 18일 발표했다. 도널드슨
12-18
캐나다 연방 보수당, 마리화나 합법화 저지 총력
마틴 상원의원, 한인언론 간담회 연방 자유당 정부가 내년 7월 마리화나의 합법화를 목표로 추진하는 가운데, 제1 야당이 보수당을 비롯한 연방상원의 야성 의원들은 이를 저지하거나 지연시키기 위해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상원 야당 부대표인 연아 마
12-18
캐나다 한-캐나다 2단계 상호인정협정(MRA) 체결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지난 15일 캐나다와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이하 ‘적합성평가’)에 대한 2단계 상호인정협정(MRA,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상
12-18
세계한인 문 대통령, 재외공관 "동포와 재외국민 안전과 권익에 집중"
문재인 대통령이 12월 18일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재외공관장 초청 만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상)  문재인 대통령이 12월 18일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재외공관장 초청 만찬에서 각국 대사 등과 건배하고 있다.(하) &nbs
12-18
캐나다 마리화나 흡연자 490만명
15세 이상 20명 당 3명 꼴합법화로 세수 확보 좋지만 건강 숙제 풀어야 마리화나의 합법적 판매가 입법화 중인 가운데 마리화나 사용자 수가 15세 이상 인구 16%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통계청은 '캐나다 마리화나 소비에 대한 경험적 추산
12-18
부동산 경제 비트코인이 뭐길래 캐나다 중은 총재까지...
스티븐 폴로즈 중앙은행 총재 [사진=캐나다 중앙은행]"투자보다 도박에 가까워" 경고  광풍 수준의 관심이 집중돼 투자냐 투기냐 논란으로까지 번진 비트코인에 대해 급기야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도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며 자제를 촉구했다. 스티븐 폴
12-15
세계한인 재외동포재단 예산 축소
2018년 예산 613억... 3억 깎여  재외동포재단(이사장 한우성)의 내년도 예산이 613억1600만원(약 7200만 달러)으로 확정됐다. 최근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내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2018년도 재외동포 교육사업비는 194억4400만원(약
12-15
밴쿠버 KEB하나은행 코퀴틀람지점 이전
같은 건물 1층으로"고객편의 위해 쾌적하고 더 넓게"  KEB하나은행 코퀴틀람 지점(지점장 홍창화)이 15일 노스로드 센터(4501 North Rd.) 2층에서 1층에 위치한 한남슈퍼 우측 옆 108 유닛으로 확장 이전했다. 홍 지점장은 "기
12-15
캐나다 연말 비행기 탑승 전 이건 꼭 확인하자!
[사진=밴쿠버국제공항]매일 8만 명 밴쿠버공항 이용 예상소형 칼 기내 반입 허용, 미국행 여전히 금지 연말 휴가철 항공편을 이용해 떠나는 여행객이 많다. 밴쿠버국제공항도 성수기를 맞아 비상체제에 들어갔다. 12월 중순부터 내년 첫 주까지 최대 8만30
12-15
밴쿠버 스카이트레인 주말 연장 운행 검토
 메트로밴쿠버 지역의 대중교통 이용율이 증가하고 에버그린 라인 도입 등으로 스카이트레인의 편리성이 증대되면서 밤늦게까지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트랜스링크는 금요일 밤과 토요일 밤 늦게까지 스카이트레인의 운행시간 연장을 고려
12-15
캐나다 토론토 칼부림 범인은 30대 한인 여성
13일 오전 가족을 흉기로 공격한 후 자해해 병원으로 후송되는 가해 한인 여성. [사진=CTV토론토 방송화면]  4개월 아기·남편 공격최근 캐나다에 정착피고인 변호사 "알려진 것과 많이 달라" 주장13일 오전 토론토에서 발생한 생후 4개월 영아 및 남
12-15
밴쿠버 [UBC 한인학생 기자단의 눈] 급식체, 인정할 수 있는 부분?
ㅇㅈ? ㅇㅈ각인부분? ㅇㄱㄹㅇ ㅂㅂㅂㄱ ㄹㅇㅍㅌ 아~~~ 오지구요 지리구요 소쩍새가 날아드는 각이구요 인정따리 인정따 쿵취따취 샘오취리도 에취하고 인정하는 각이고요” 최근 SNS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글이다. “급식체”라고 불리는 이 문체는 인터넷에서 청소년들
12-15
세계한인 국외 테러 대비 관계기관 대책회의 개최
한국 정부는 15일 국외 테러 등에 대비한 재외국민보호 관계부처 대책회의를 개최해 최근 해외 테러동향을 평가하고 해외 우리국민의 안전을 위한 정부 대책을 점검하고 추가 조치를 협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회의에는 이재완 외교부 재외동포영사국장 주재로
12-15
밴쿠버 한인 청년 안전도 챙기고 취업 노하우도 얻고
총영사관 회의실에서 열린 한국 청년들의 안전과 취업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세미나가 열렸다. 세미나는 격식 없이 서로의 의견을 주고 받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총영사관, 워홀 취업 희망자 정보 세미나 워킹 홀리데이와 취업 교육 프로그램을 받는 한국 청년들
12-14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