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학 학점 3.5점, 코트의 ‘엄친딸’ 신재영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교육 | 미국 대학 학점 3.5점, 코트의 ‘엄친딸’ 신재영

온라인중앙일보 기자 입력15-11-12 09:33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본문

기사 이미지

신재영은 여자프로농구의 기대주다. 중학교 때 미국에 건너가 공부를 하면서 농구의 기본기를 익혔다. LA올림픽 은메달리스트 출신인 어머니 김화순씨(왼쪽 아래)의 영향을 받은 신재영은 “엄마의 명성에 부끄럽지 않는 딸이 되겠다”고 말했다. [양광삼 기자]

 

 

LA올림픽 은메달 김화순의 딸
올 신인 5순위로 신한은행 입단
원정 경기 버스 안에서 시험공부
훔볼트대 비즈니스 마케팅 전공

기사 이미지

LA올림픽 은메달리스트 출신인 어머니 김화순씨. [양광삼 기자]

신재영(23)은 올해 국내 여자프로농구(WKBL)에 데뷔한 새내기 선수다. 기본기가 탄탄하고, 3점 슛 능력이 뛰어나 신인 드래프트 전체 5순위로 신한은행에 입단했다. 키 1m72cm에 예쁘장한 외모 덕분에 데뷔전부터 ‘농구하는 수지(가수 겸 배우)’로 불렸다. 그는 1984년 LA올림픽 당시 한국 여자농구 은메달을 이끈 농구스타 김화순(53·동주여고 코치)씨의 둘째 딸이기도 하다.

 신재영은 한국 여자농구 선수로는 처음으로 미국대학체육협회(NCAA) 1부 리그 무대에서 뛰었다. 그는 미국에서 농구와 학업을 병행하면서 대학 4년간 평점 3.5(4.0 만점)를 받은 우등생이었다. 신재영은 NCAA 1부였던 루이지애나 먼로대에 입학한 뒤 3학년 때 캘리포니아주 훔볼트대로 옮겨 지난 7월 졸업했다. 4학년 때는 NCAA 2부 리그에서 29경기에 출전했다. 가드로 뛰면서 평균 11.8점에 3점슛 성공률 44.4%를 기록, 팀의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농구에 대한 열정만큼 학구열도 뜨거웠다. 캘리포니아주대학체육협회(CCAA)에서 수여하는 ‘아카데믹 어워드’를 두 차례나 받았다. 운동을 하면서도 좋은 학점을 받은 선수에게 주는 상이다. 1학년 땐 두 학기 연속 4.0 만점을 받았다. 10일 경기도 구리실내체육관에서 만난 신재영은 “내 인생의 중심은 농구였지만 공부를 통해 인생을 생각하는 폭도 넓어졌다”고 말했다.

  NCAA에 등록된 학교의 선수자격 기준은 엄격하다. 아무리 운동 실력이 뛰어나도 평점 2.0 이하거나 일정 횟수 이상 수업에 불참하면 대회 출전에 제한을 받는다. 수업에 자주 빠지면 장학금도 삭감된다. 미국에선 운동선수도 학업을 등한시해선 안된다는 건 기본 상식이다. 미국프로농구(NBA) 전(前) 스타 섀킬 오닐(43)은 학사(경영학)·석사(MBA)·박사(교육학) 학위를 받아 ‘거대한 아리스토텔레스(big aristotle)’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기사 이미지

 신재영은 중학교 1학년 때 어머니의 권유로 미국 시애틀로 건너갔다. 농구의 기본기를 배우기 위해 유학길에 오른 신재영은 농구 뿐만 아니라 공부도 열심히 했다. 영어를 한마디도 못해 따돌림을 당하기도 했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았다. 신재영은 “중3 때 적응을 도와준 미국인 친구가 운동뿐 아니라 공부도 잘 하고, 동아리·봉사 활동도 열심히 했다. 그 친구를 보면서 힘을 얻었다”면서 “디즈니 만화영화를 보고, 친구들과 적극적으로 대화하면서 언어장벽을 극복했다”고 했다.

 대학에선 시간을 쪼개가며 공부를 했다. 강의실과 체육관만 오가는 지루한 일상을 견뎌냈다. 그는 “원정 경기를 위해 장시간 이동할 땐 버스 안에서 숙제를 하고, 시험 공부를 했다. 경기 때문에 수업을 빠지는 경우엔 학교에서 무료로 과외 선생님을 붙여주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는 재정을 전공한 언니의 영향을 받아 비즈니스 마케팅을 전공으로 택했다. 부전공은 커뮤니케이션이었다. 그는 “새로운 분야에 대한 호기심이 많아 더 많이 배우고 싶었다. 공부에도 욕심이 많았다”고 말했다.

 올해 국내무대에 데뷔한 신재영은 농구 선수로서의 성공을 꿈꾼다. 그는 “단 1분을 뛰더라도 팀에 도움이 되는 선수가 되고 싶다. 엄마의 명성에 부끄럽지 않는 딸이 되겠다” 며 “먼훗날 농구를 관두게 되면 스포츠 행정가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글=김지한 기자 hanskim@joongang.co.kr
사진=양광삼 기자

관련 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2,414건 692 페이지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뉴스 제목
캐나다 트랜스캐나다, 15.2조원에 컬럼비아 파이프라인 인수
트랜스 캐나다의 대표이사가 컬럼비아 파이프라인 이수를 발표하고 있다.     트랜스캐나다가 컬럼비아 파이프라인을 130억달러(약 15조2100억원)에 인수한다.  17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캘거리에 본사를
03-19
캐나다 캐나다 방문 한국인 크게 늘어 -연방통계청
  캐나다화의 가치하락에 힘입어 캐나다를 찾는 한국인 방문객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연방통계청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월 캐나다를 찾는 한국인 방문객은 1만2천658명으로 지난해 동기의 1만 1천115명에서 13.9%나 증가했으며
03-19
밴쿠버 UBC 이사, 탈세 혐의 사임
이사진 두둔 고등교육부 장관, "CRA와 비슷한 일 겪은 사람들 많아"   지난 해, 존 몬탈바노(John Montalbano) 이사장이 ‘교사의 학문적 자유 침해’ 논란으로 물러나는 홍역을 겪었던 U
03-18
밴쿠버 UBC 이사, 탈세 혐의 사임
이사진 두둔 고등교육부 장관, "CRA와 비슷한 일 겪은 사람들 많아"   지난 해, 존 몬탈바노(John Montalbano) 이사장이 ‘교사의 학문적 자유 침해’ 논란으로 물러나는 홍역을 겪었던 U
03-18
밴쿠버 교사연합과 주정부 갈등, 이번에는 아동가족부로 불똥 튀어
짐 아이커 교사연합 회장(좌), 스테파니 카듀 아동가족부 장관(우)   교사연합, "주정부 보호 아동, 사망에 책임져야"   지난 14일(월)에 새 회장을 선출한 BC 공립교사연합(BC
03-18
밴쿠버 교사연합과 주정부 갈등, 이번에는 아동가족부로 불똥 튀어
짐 아이커 교사연합 회장(좌), 스테파니 카듀 아동가족부 장관(우)   교사연합, "주정부 보호 아동, 사망에 책임져야"   지난 14일(월)에 새 회장을 선출한 BC 공립교사연합(BC
03-18
밴쿠버 성 패트릭의 날, 밴쿠버 녹색 물결로 뒤덮어
      지난 17일(목)은 아일랜드의 수호성인 기념일 ‘성 패트릭의 날(St. Patrick’s Day)’이었다.   앞서 13일(일)에 밴쿠버 다
03-18
밴쿠버 성 패트릭의 날, 밴쿠버 녹색 물결로 뒤덮어
      지난 17일(목)은 아일랜드의 수호성인 기념일 ‘성 패트릭의 날(St. Patrick’s Day)’이었다.   앞서 13일(일)에 밴쿠버 다
03-18
이민 새누리 비례대표에 미주 출신 8명 신청
남문기·김영호·진안순·주준희 등 당선권은 20번 내, 22일 발표 예정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와 관련하여 새누리당 비례대표 공천신청자에 미주 한인 출신도 8명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03-17
이민 이용수할머니·혼다의원 "일본의 거짓말은 또다른 범죄"
이용수 할머니와 마이크 혼다 의원이 또다시 한 자리에 모여 일본 정부를 강력 질타했다. 두사람은 14일 산타클라라 대학 벤슨홀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일본의 책임회피는 또다른 범죄이고 일본의 사죄와 배상없이 세계 성폭력의 문제는 줄일 수 없다"고
03-17
밴쿠버 포트 무디 주유소 펌프 경고 스티커 프로젝트, 찬반 갈등 속 진행
뉴 호라이즌(New Horizon) 단체가 만든 스티커. 포트 무디는 새로운 맞춤형 스티커를 제작할 예정이다     클레이 시장, "지자체 권한 벗어난 규정 때문에 주유 업계와 법정 공방 가능성 높아" &
03-17
밴쿠버 포트 무디 주유소 펌프 경고 스티커 프로젝트, 찬반 갈등 속 진행
뉴 호라이즌(New Horizon) 단체가 만든 스티커. 포트 무디는 새로운 맞춤형 스티커를 제작할 예정이다     클레이 시장, "지자체 권한 벗어난 규정 때문에 주유 업계와 법정 공방 가능성 높아" &
03-17
밴쿠버 부동산 시장 과열 공개 미팅, 주민 7백여 명 참석
        'Hellenic Community Hall'에서 열린 타운 미팅에 참석한 시민들    부제: 제 1 야당 신
03-17
밴쿠버 부동산 시장 과열 공개 미팅, 주민 7백여 명 참석
        'Hellenic Community Hall'에서 열린 타운 미팅에 참석한 시민들    부제: 제 1 야당 신
03-17
밴쿠버 클락 수상, "녹색당 발의, 대학 성폭력 예방법 통과시키겠다"
  UBC와 BCIT 등 BC 주를 대표하는 여러 대학에서 캠퍼스 내 성폭력 사건이 일어나 큰 충격을 안겨준 바 있다.   주의회에서 한 의석을 차지하고 있는 BC 녹색당의 앤드루 위버(Andrew Weaver, Oak
03-17
밴쿠버 클락 수상, "녹색당 발의, 대학 성폭력 예방법 통과시키겠다"
  UBC와 BCIT 등 BC 주를 대표하는 여러 대학에서 캠퍼스 내 성폭력 사건이 일어나 큰 충격을 안겨준 바 있다.   주의회에서 한 의석을 차지하고 있는 BC 녹색당의 앤드루 위버(Andrew Weaver, Oak
03-17
밴쿠버 '운전 중 핸드폰 사용' 요주의 인물, 일주일 사이 두 차례 더 적발
RCMP가 공개한 문제의 여성의 운전 기록   지난 10일(목), 리치몬드 RCMP가 2011년 이후 무려 열 두 차례나 운전 중 핸드폰을 사용하다 적발된 여성의 운전 기록을 공개한 바 있다. <본지 12일(토) 기사 참조>
03-17
밴쿠버 여론조사, '개로 인한 위험은 견주 책임'
견종 성질에 원인 있다는 의견도 많아   대형견을 많이 키우고 있는 캐나다에서는 이들이 사람이나 다른 개를 공격해 피해가 발생하는 일이 종종 일어난다.   특히 핏불이나 로트와일러와 같은 견종은 이러한 뉴스에 자
03-16
밴쿠버 토피노 시의회, Airbnb 금지법 통과
오스본 시장, "단기 숙박 제공 주택 늘어나면 장기 체류자 어려움 커져"   BC 주정부가 ‘나눔의 경제(Sharing Economy)’를 강조하며 우버(Uber)와 에어비앤비(Airbnb)
03-16
밴쿠버 토피노 시의회, Airbnb 금지법 통과
오스본 시장, "단기 숙박 제공 주택 늘어나면 장기 체류자 어려움 커져"   BC 주정부가 ‘나눔의 경제(Sharing Economy)’를 강조하며 우버(Uber)와 에어비앤비(Airbnb)
03-16
교육 가주 공학 분야 대학원 강세…하버드, 의대·경영대학원 1위
  실리콘밸리, 제트추진연구소(JPL)가 있는 캘리포니아주가 공학 분야 최우수 대학원 상위권 순위를 휩쓸었다.    US뉴스앤월드리포트가 15일 발표한 '2017년도 분야별 최우수 대학원 순위'에 따르면
03-16
밴쿠버 잭슨 델타 시장, "알렉스 프레이져 등 주요 다리 모두 유료화해야"
스톤 교통부 장관, "진행 중 프로젝트 완료 이전에는 논의 계획 없어"   메트로 밴쿠버 지역의 교통 체증 완화를 두고 주요 도로 및 다리 유료화가 대안으로 떠 오른지도 수년이 지났다. &nb
03-16
밴쿠버 잭슨 델타 시장, "알렉스 프레이져 등 주요 다리 모두 유료화해야"
스톤 교통부 장관, "진행 중 프로젝트 완료 이전에는 논의 계획 없어"   메트로 밴쿠버 지역의 교통 체증 완화를 두고 주요 도로 및 다리 유료화가 대안으로 떠 오른지도 수년이 지났다. &nb
03-16
밴쿠버 BC주 산악지대, 눈사태 사망자 계속 늘어나
이번 시즌 사망자 13명, 그 중 12명이 스노우보더   BC주 산악지대들이 예년보다 많은 눈으로 스키 시즌 호황을 누리고 있는 가운데, 예상치 못한 눈 사태와 이로 인한 사망자 및 부상자 발생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03-16
밴쿠버 BC주 산악지대, 눈사태 사망자 계속 늘어나
이번 시즌 사망자 13명, 그 중 12명이 스노우보더   BC주 산악지대들이 예년보다 많은 눈으로 스키 시즌 호황을 누리고 있는 가운데, 예상치 못한 눈 사태와 이로 인한 사망자 및 부상자 발생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03-16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