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나비 상공회의소 지속가능성 워크샵 시리즈 Green Talks! Sustainability Forum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밴쿠버 | 버나비 상공회의소 지속가능성 워크샵 시리즈 Green Talks! Sustainability Forum

한준태 마케팅 전문 기자 입력21-09-29 10:28 수정 21-09-30 12:35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본문


 

 

현재 COVID 19 바이러스 글로벌 팬데믹으로 인해 글로벌 비지니스의 환경은 우리가 한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총체적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전 지구적으로 직면한 Climate Change로 인해 전세계에서 가뭄, 지진, 홍수, 화산폭발, 자연화재, 고온, 해수온도 상승, 북극/남극 해빙 등 우리의 자연생태계의 엄청난 변화로 대재앙이 일어나고 있는것을 피부로 느끼고 살고있다.

Climate Change는 COVID 19 바이러스 이외 우리가 현재 직면하고 있는 가장 위험한 대재앙으로 모두가 인식하고 있고 전세계적으로 이에 대응하는 행동 (Activities)과 움직임 (movements)들이 각 개개인뿐만 아니라 기업, 정부 차원에서 많이 나타나고 함께 공유하며 실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지난주 월요일(9/20) 미국 뉴욕 U.N.에서 개최된 ‘SD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Moment 지속가능발전목표 고위급회의’에 우리나라의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하여 기조연설을 한바있다.

현재 글로벌 기업환경은 친환경을 목표로 전세계적으로 Zero Emission(제로 배출가스), Zero Carbon(Zero탄소에너지), Zero Waste(쓰레기 배출 제로), Renewable Energy (재생 에너지), Recycle (재활용) 및 최근 가장 화두가 되고 있는 기업의 ESG (Environment Sustainability Governance) 경영 등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758783364_6fYrqzWO_3eb661a665e0da6c236b9729f390b1cc4756900d.png


지난 9월 28일 화요일 버나비 상공회의소 주최로 Green Talks! 친환경을 주제로 지속가능성 포럼이 Zoom 으로 개최되었다. 필자는 Zoom으로 이번 포럼에 함께 참여하였고, 현재 캐나다 BC주에서 활발한 기업활동을 펼치고 있는 6개의 기업들이 필자가 위에 열거한 친환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개발 및 경영에 대한 현재의 상황 인식, 기업의 대응 및 현재의 실천방법, 그리고 앞으로의 노력등에 대한 깊이 있는 내용에 대해 경청하는 기회를 가졌고 이를 함께 한인커뮤니티의 사업가들 및 독자들과 공유하고자 정리 하였다.

버나비 상공회의소는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사업주체들과의 연결을 통하여 트레이닝, 교육, 정책 개발, 옹호와 자원 공유에 있어 가장 앞장 서왔다.  버나비 상공회의소의 지속가능성 워크샵 시리즈는 사업주체들에게 가장 관련되어 있고 지속가능한 트렌드, 자원들과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을 위하여 준비되었다.  이번에 준비된 Green Talks 2021 Sustainability 세션에는 6개의 기업 대표자들이 참석하여 각 기업의 지속 가능경영에 대한 현재의 트렌드, 기업경영에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지, 앞으로 어떠한 노력들이 더욱 요구되어 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각각 5분동안의 Presentation으로 진행 되었다.  이들 참여 기업 중 몇개의 대표적인 사례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Return-It Canada
Allen Langdon / President & CEO
 

Return It Canada는 BC 주의 주민들에게 널리 잘알려진 재활용 기업이다.
현재 25년 동안 지역 커뮤니티의 자원 재활용을 목표로 기업을 운영해오고 있으며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목표는 바로 ‘Circular Economy 순환경제’ 이다. Zero Waste를 통하여 모든 자원들을 재활용하여 선순환하고 이를 다시 자원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우선시 하고 Recycling 을 주도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SDG (Sustainable Development Goa) 및 Climate Change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현재 Return it Express & Go 라는 신개념의 Recycling Depot를 컨테이너 형태의 간단한 모듈로 만들어 각 지자체에 보급하고 있고 친환경 에너지를 활용하여 (즉. Solar Panel을 사용) 전기 사용을 줄이고 태양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다.

758783364_MP54qGAO_c3247d6702b5f9114bfbdb5877fbdbea869d81fa.png


모아진 폐자원들을 운송하기 위하여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디젤 엔진 트럭을 Zero Emission(배기가스배출) 감축을 목표로 하기위하여 CNG Hybrid-electric Compaction 트럭으로 대체하여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을 줄이도록 노력하고 있다.  



758783364_MFWkZm8I_53545ed75ccb46854d6e756adf427a5a5102e3b4.png 


현재 이러한 기업 경영활동은 마이크로 플라스틱 등으로 인해 심각하게 해양생태계 환경을 해치고 있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NGO 단체 및 Oceanwise 등의 프로그램들과 파트너쉽을 맺고 직원들의 적극적인 동참활동으로도 이루어 지고 있어 전지구적 자연환경 생태계 회복을 위한 작은 실천에 적극 참여하고 있는 선순환의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758783364_wkP8v64q_524f62ea11c74a83d315331f2a3edbab9f5900ef.png

 

My House Design / Build / Team
Graeme Huguet  / President
 

현재 Lower Mainland 에서 신규 주택, 빌딩 건축, 레노베이션, Green, Sustainable 건축에 대한 종합 Consultation 을 제공하고 있는 기업이다.
신규 주택 또는 상업용 건축물을 지을때 필요한 여러가지 솔루션에 대한 자문 및 이에 상응하는 Certification, 에너지 효율 등에 대해 일반인들이 잘 알지 못하는 세부 내용에 대해 정보를 제공한다.


758783364_I2nMAc4V_21400635fe6f2cad5e4d2290e4ae1f0a0a06d8f7.png

 

건축물을 지을때 Energy Efficiency가 가장 중요하다. 히팅 또는 에어컨디셔닝을 사용할때 에너지 효율이 적절하게 고루 분포되고 있는지, 새어 나가는 곳은 없는지, 고성능 열감지 카메라 등을 통한 세부분석을 통해 Client에게 에너지 효율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기, 가스, 오일 등의 소비를 줄이도록 한다. 

 

 

758783364_hz2agsQb_e3b4851fd2ae3126c35c1625a0410374b0e962c7.png


현재 주정부 및 연방정부 차원에서 친환경 정책의 일환으로 Rebate를 제공하고 있는데 주택소유자의 경우 Windows 교체나 Door, 단열재, 히팅, 에어컨, 환기, 태양열 을 포함한 에너지 업그레이드의 경우 최대 $20,000까지 Rebate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알리고 싶다. 

758783364_r7JmDY6E_57a0e35b4332b47d2363f3d42c2ec7b133a1c1ec.png

 

 

Cellcentric Fuel Cell Canada
Robert Esterer 

필자가 가장 흥미롭게 관심을 가진 기업으로써  Daimler 벤츠와 Volvo 그룹이 50:50의 합작투자 법인으로 만든 Collabolation 기업으로 현재 Class 8 시장의 선도자 위치에 있다.  758783364_ZNDOyHR4_bb60738faee1da1735b0e598bd89314488d9a8a8.png


상용 트럭 부문의 전기 트럭으로 지속가능성 개발에 집중 하고 있고 Zero Carbon Trucking (제로 탄소가스배출 트럭)에 사업이 맞추어져 있다. 현재 전세계 전기 Heavy Duty상용트럭 시장 점유율 20%를 달성하고 있으며 BC주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758783364_SYhuja1y_2d5309055678ddddd26fdbd6e171dc2873b82a47.png

. 758783364_tF2Voews_642504c90bf54eebf9b18ee8249c47c1f41e54c8.png


Sustainability 운영 이행계획 :  곧 새로운 시설을 갖춘 Riverbend 로 사업기지를 이전할 계획이며, 북미주의 Fuel Cells의 실리콘 밸리가 되고자 하는것이 목표이다.

 


IKEA Canada
Christian Reich – Operation Executive

 
758783364_M9iVhK2A_434e5079db063c92727f0bba554c492b7d6e6d9e.png


현재 IKEA Canada는 임직원 모두 Environment, Sustainability, Eco friendly, Circular Economy 순환경제에 대한 인식에 대해 인지하고 앞으로의 지속가능한 발전 및 환경보호의 글로벌 실천 과제에 대해 이행하고 실천하고자 노력하고 있는중임.
 

현재 Renewable Energy를 이용한 제품생산에 많은 집중을 하고 있으며 2025년 까지 딜리버리 트럭의 Zero Emission 을 실천하기 위해 전기 상용트럭으로의 전환을 진행중에 있음.

Circular IKEA 프로그램으로 재생 가능한 목재를 이용하여 다시 새로운 제품 생산에 이용하는 프로그램 및 카펫 & Rug의 소재의 경우 약 10%는 플라스틱 병을 재활용하여 가공한 섬유를 활용하여 제품 생산을 하고 있다.

758783364_Y5kDtovZ_6552cfb09ae813998099e70d493dd739f0d40a77.png 


IKEA Sell Back Program : 이는 IKEA에서 새롭게 도입한 프로그램으로써 사용자들이 제품을 새롭게 바꾸고 싶거나 또는 현재 사용중인 제품을 처분하고자 할때 IKEA에서 이를 재구매하여 고객들에게 새로운 제품 구입시 Credit을 제공해 주거나 또는 사용 가능한 제품의 경우 일정금액을 제공해주는 프로그램으로 Certified IKEA 제품의 Recycle 모델이다. 현재 많은 고객들이 이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고 제품 구매 및 환경보호를 위한 경제적인 소비에 동참하고 있으며 만족도도 상당히 높다. 이를 통한 Circular Hub 및 Circular Economy의 실현이라는목표를 실행중에 있다.

758783364_cnAPvxqk_a4e17114ce93e3abc985d422d19769154b39a7c6.png

 

 

글.  한준태 마케팅 전문 기자
연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 MBA
 

관련 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2,386건 187 페이지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뉴스 제목
밴쿠버 김성곤 이사장 민주평통 밴쿠버협의회 간담회
재외동포재단의 김성곤 이사장은 취임 후 1년 만에 첫 해외 순방대륙으로 북미를 정하고 지난 11일과 12일 양일간 밴쿠버를 방문했다. 김 이사장은 한국의 평화통일에 재외 한인들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 지, 특히 서구권 국가 중 북한과 외교수립이 되어 있는 캐나다에 살고
11-17
밴쿠버 김성곤 이사장 주마간산 첫 해외 순방...밴쿠버 1박 2일 방문
재외동포가 아닌 같은 '한인' 인식 필요성 동의밴쿠버 차세대한인정치인 만남이 주 방문 목적재외동포재단의 김성곤 이사장은 이창준 교육사업부 차장과 김보라 차세대사업부 대리와 함께 지난 11일 밴쿠버를 찾았다.김 이사장은 11일 밴쿠버 도착 후 밴쿠버한인사회
11-17
밴쿠버 연아 마틴 상원 의원 주최, 정병원 총영사 송별 줌미팅
정병원 총영사와 작별 인사서부 캐나다 – 2021 년 11 월 16 일, 연아 마틴 상원 의원은 2018 년부터 서부 캐나다에 대한민국을 대표해 온 후 새로운 부임지로 떠나는 정병원 총영사를 위해 온라인 송별회를 주최했다.행사에는 서부 캐나다의 시, 주, 연
11-17
세계한인 해외여행자에게 꼭 필요한 `재외국민 119응급의료상담 서비스`
단계적 일상 회복 증가 국외 여행사 보호재외국민 질병·부상 등 원격 응급조치 등한국 소방청(청장 신열우)은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해외로 나가는 국민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재외국민 119응급의료상담 서비스’를 적극 이용하여
11-17
캐나다 오징어 게임’속 한국의 놀이, 캐나다를 달궜다!
‘오징어 게임’ 속 한국 전통 놀이 체험 행사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주캐나다한국문화원)‘오징어 게임’ 속 한국 전통 놀이 체험 행사 ‘달고나 뽑기’‘오징어 게임&rsq
11-17
밴쿠버 릴루엣 산사태에 실종됐던 밴쿠버 거주 여성 시체로 발견
펨버튼수색구조대가 지난 15일 몇 대의 차량이 산사태로 쓸려 나간 더피 레이크 로드와 99번 하이웨이 인근 지역에서 구조작업을 펼쳤다. (PembertonSAR 트위터 사진)99번 고속도로 상 수색 작업 중 발견추가 산사태 피해자 및 차량 가능성도BC남부지역에서 폭우와
11-16
밴쿠버 BC남부 지역 곳곳 홍수와 산사태로 끊기고 잠기고
BC주교통기반시설부(BC Transportation and Infrastructure)의 페이스북 사진아보츠포드, 메리트, 나나이모 등주요 도로 산사태 홍수 통행 불가프레이저밸리 지역 이번에 눈 예보지난 주말부터 월요일까지 이어진 폭우에 BC주 남부 곳곳에서 산사태와
11-16
캐나다 한-캐 미술 전문가들, 양국의 근대미술에 대하여 논하다
주캐나다 한국문화원(이하 문화원)과 대구미술관은 '한국의 근대미술: 대구 풍경'의 캐나다 전시를 계기로 11월29일(월) 오후 7:30에 온라인 한-캐 근대미술 심포지엄을 공동주최 한다. 문화원은 근대미술이라는 다소 생경한 주제를 통해서 한국과
11-16
세계한인 한복 교복, 영국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에서 만난다
기증한 한복 교복.(사진=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 한복 교복 기증…박물관, 내년 9월 ‘한류’ 기획전‘한류’ 주제 케이팝 스타 입은 한복, 전통한복 등도 전시한복이 세계 최초이자 최대의 장식예술 박물관인 영국 빅토리
11-16
밴쿠버 한국 국세청, 밴쿠버에서 세무설명회 개최
양도소득·상속·증여세, 비거주자 판정 등12월 6일 오전 11~13시 한인회관에서한국 국세청은 주밴쿠버총영사관, 밴쿠버한인회와 함께 12월 6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까지 한인회관(1320 E. HASTINGS ST. VANCOUVER)에서
11-16
세계한인 '명성황후 시해' 낭인 아닌 일본 국가 차원 범죄 확인
을미사변에 가담한 일본 외교관이 사건 직후 친구에게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편지가 발견됐다는 기사가 실린 16일자 아사히신문. 이영희 기자"명성황후 죽였다, 간단했다" 126년만에 발견된 '을미사변 고백'당시 조선 영사관보(補) 호리구치
11-16
캐나다 위니펙 군함 승무원 서울 인근 해군 기지 방문
주한캐나다대사관은 캐나다 위니펙 군함의 해군 승무원들이 서울 인근의 대한민국 해군 기지를 잠시 방문하고, 한국 해군 순항훈련 2척은 빅토리아를 방문하며 한국-캐나다의 돈독한 우정을 보여줬던 사진을 대사관 페이스북에 올렸다.밴쿠버 중앙일보 
11-15
밴쿠버 산사태에 고립된 메트로밴쿠버-프레이저밸리
BC주교통기반시설부(BC Transportation and Infrastructure)의 페이스북 사진산사태, 홍수에 1번, 3번, 7번 고속도로 폐쇄15일 새벽 현재 BC주 정부 차원 경보 발령 없어BC주교통기반시설부의 SNS에 주말 사이에 각종 산사태와 홍수 사진
11-15
세계한인 한국 영사콜센터, 위챗·라인 상담 오픈, 재외국민보호 사각지대 해소
중국과 아시아 지역 서비스 접근성 높이기 위해향후 신고자 스마트폰 GPS 이용 ‘위치기반 상담’한국 외교부는 해외 어디서든 국민이 보호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일반전화, 무료전화앱(App), 카카오톡에 이어 11월 15일부터는
11-14
세계한인 재외동포재단 내년도 재외동포단체 지원사업 수요조사 실시
12월 7일까지 온라인으로 접수관련 서류 관할 공관 우편 제출재외동포재단은 ‘2022년도 재외동포단체 지원사업 수요조사’를 위해 오는 12월 7일(화)까지 온라인 신청 받는다고 발표했다. 대상 사업은 내년 1월부터 12월 사이에 개최되는
11-14
밴쿠버 밴쿠버총영사관, 12월 10일 차세대 네트워킹의 밤
작년 12월 12일(토)에 온라인으로 개최된 주밴쿠버총영사관의 '2020 한인 차세대 네트워크 행사'를 모습(사진=주밴쿠버총영사관 홈페이지)45세 이하 광역밴쿠버 거주 한인김우남 교수 메타버스 관련 강의주밴쿠버총영사관은 서부 캐나다 지역의 한인 차세대 네
11-14
밴쿠버 캐나다 현충일 행사 엄숙히 거행
11일과 12일 양일간 밴쿠버를 방문한 재외동포재단의 김성곤 이사장이 11일에 평화의 사도에서 열린 한국전 참전 용사를 위한 헌화식에 참석했다. (한준태 마케팅 전문기자)김성곤 재외동포재단 이사장도 참석11월 11일 캐나다의 현충일을 맞아, 버나비의 한국전 참전 용사를
11-11
밴쿠버 민주주의 꽃은 선거...재외 유권자의 신성한 권리이자 의무
11월 한아름마트 현장 신고·신청 접수밴쿠버총영사관은 또 유권자 등록 편의를 위해서 11월 한 달 간 수요일과 목요일에 한인타운인 한인빌리지 한아름마트(H-Mart Coquitlam, 329 North Rd #100, Coquitlam)에서 안내 및 순회접
11-11
밴쿠버 10일 하루 BC주 코로나 사망자 11명
전국 최다, 캐나다 사망자의 3분의 112세 이상 인구의 접종완료률 86.4%BC주가 코로나19 확진자 수나 사망자 수에서 전국에서 최악의 상태를 이어가고 있는데, 이런 원인 중의 하나가 10개 주 중에 백신 접종완료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부분도 차지했다.10일 BC주
11-11
밴쿠버 멈출 수 없는 한국 전통 음악을 향한 사랑의 마음
이종은 24주년 정기 연주회 11월 18일 개최24년 전 서양 클래식 작곡을 전공하고, 이를 한국 전통 악기인 가야금에 접목해 동양과 서양을 잇는 실험적 음악을 선보여 온 밴쿠버의 대표적인 한인 음악가 이종은 작곡가가 코로나19의 어려움 속에서도 24년의 원숙미를 보여
11-11
밴쿠버 민주평통 밴쿠버협의회, 이임 정병원 총영사 환송회
지난 8일 써리의 서울회관에서 가진 민주평통 밴쿠버협의회의 정병원 총영사 환송식에서 정 회장이 정 총영사에게 공로패를 전달했다. (표영태 기자)밴쿠버협의회 18기부터 20기까지 동행정 총영사 새 임지로의 부임 축하 자리제20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이하 민주평통) 밴쿠버
11-11
캐나다 캐나다 현충일 하루 앞서 부산을 향하여 추모행사 한국과 캐나다서 열려
(사진=주캐나다 한국대사관 홈페이지)주 캐나다 대한민국 대사관과 캐나다 보훈부, 한국전 참전용사회의 주관으로 11월10일 캐나다 오타와 시청 밖 기념비에서 부산을 향하여 행사를 개최했다. 한국전쟁참전용사 오타와지부 대표 Bill Black의 사회로 진행된 행사
11-11
밴쿠버 버나비시, 평화의 사도 관리 노력 표명
6.25참전유공자회의 장민우 간사는 8일 버나비시의 마이클 헐리 시장이 평화의 사도를 잘 관리하도록 노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전해왔다. 장 간사는 버나비 시청을 방문해 버나비시 센트럴파크에 위치한 한국전 기념물인 평화의 사도 업그레이드에 대해 회의했다고 밝히고, 이
11-11
세계한인 ‘남색 표지’ 차세대 한국 여권, 다음달 21일부터 발급…보안 강화
일반여권 표지(왼쪽)·개인정보면·앞표지 이면.(사진=외교부)사증면수 확대·주민등록번호 제외…여권번호 체계도 변경12월 21일부터 한국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보안성과 내구성이 강화된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
11-11
밴쿠버 한인신협 세계 한인의 날 기념 유공자 포상 전수
주밴쿠버총영사(정병원)관은 지난 10일 총영사관 대회의실에서 제15회 세계 한인의 날 기념 유공자 포상에서 대통령 표창자가 된 한인신협에 대한 포상 전수식을 가졌다. 정병원 총영사는 축사에서 밴쿠버 한인신협이 지난 30여년간 밴쿠버 한인 대표 금융기관으로 흔들림 없이
11-11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