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언론, 한반도 불안 조장 보도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캐나다 | 캐나다 언론, 한반도 불안 조장 보도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 업데이트 18-01-19 09:50

본문

전쟁 날까 한국 여행 꺼려

캐나다 정부 '한국 정상상태'

 

트럼프 행정부 들어서면서 북핵에 대해 군사작전 언급이 나오고 미국 주도의 밴쿠버 회의를 통해 북한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흐르며 한국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캐나다 언론이 이를 아무 거침없이 보도하면서 캐나다 국민이 한국 방문을 두려워하고 있다.

 

최근 한국인 입양아 관련 활동을 하는 한국인은 올 봄 방학을 기해 입양아 가정과 한국을 방문하는 계획을 세웠지만 많은 캐나다인 입양아 부모들이 한국에 전쟁이 곧 발발할 것 같다며 꺼려하면서 극히 일부 가정만 참여 하겠다고 전했다.

 

최근에 밴쿠버 회의도 미국과 일본의 입김이 크게 작용한 가운데 한반도의 긴장감만 부각시키고 북핵 문제를 위해 강력한 제재를 하자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

한국의 강경화 장관이 평창평화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평화적인 방법으로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불러내 점차적으로 북한으로 하여금 핵을 포기하도록 만들겠다는 의견을 밝혔다. 하지만 한 북한 인도주의적 지원 단체 관계자에 따르면 일본은 이번 회의에 인도주의적인 지원마져도 북한 압박용으로 사용하자고 말했다며 안타까워 했다.

 

이렇듯 캐나다에서 마치 한반도에 당장 전쟁이라도 날 것처럼 미국와 일본이 위기분위기를 조장하고, 캐나다 주류 언론들이 강 장관의 평화적 대화 해법보다 렉스 틸러슨 미 국무부 장관이나 다로 고노 일본 외무성 장관의 발언 내용을 더 비중있게 다루며 캐나다인들은 한국 방문을 두려워하고 있다.

 

그러나 캐나다 연방 외교부가 해외여행 안전정보를 위해 별도의 해외여행 목적지 관련 웹사이트(travel.gc.ca)를 만들었는데 4단계로 나뉘어진 목적지 위험도 레벨에서 한국은 위험이 없다는 최상위 단계인 정상(normal security precautions)이라고 나와 있다.

위험도 레벨을 보면 정상, 주의( high degree of caution)과 여행을 하지 말라고 권유되는 여행자제(Avoid non-essential travel) 그리고 여행금지(Avoid all travel)로 나뉜다.

 

외교부의 한국에 대한 여행 관련 안전문제와 관련한 페이지에서는 평창동계올림픽이 3개 도시에서 열린다고 안내하고 있다. 또 해당 도시를 방문할 때는 미리 숙박, 교통, 입장권을 준비하고, 이 경우에도 신뢰할 수 있는 곳을 통해 하라는 내용이다.

 

안보와 관련해서는 북한이 핵이나 미사일 테스트를 할 때 갑자기 긴장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올렸다. 그리고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해외거주 등록(Registration of Canadians Abroad) 사이트 (https://travel.gc.ca/travelling/registration)에 자신의 소재지를 등록하도록 권장한다.

 

미국과 일본이 한반도 위기를 고조하면서 우연하게 최근 하와이와 일본에서 북핵 미사일이 날라온다는 오보가 잇달아 터져나왔다.

지난 13일 하와이 지역에는 미국 정부로부터 거주자의 휴대폰으로 ‘탄도미사일 위협이 하와이를 향했다. 즉각 대피처를 찾아라. 이것은 연습(상황)이 아니다’ 라는 문자가 와 난리가 났었다. 

또 일본의 공영방송 NHK가 지난 16일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했다는 문자속보를 전송했다가 사과하는 소동이 발생했다.

 

이번 밴쿠버 회의에서도 한 기자가 틸러슨 장관에게 하와이 오보를 지적하며 '미국인이 불안해 하고 살아야 하느냐'는 질문을 던지기도 했다. 틸러슨 장관은 이에 대해 즉답은 피했지만 북한이 핵을 사용하는 오판을 하지 않을 것이고, 군사력보다 경제적인 방법으로 북한에 최대압박을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미국의 소리(VOA)방송은 이번 밴쿠버 회의 전날 만찬에 참석한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이 "미국에는 (한반도 유사) 작전 계획이 있으며, 준비도 하고 있다"고 복수의 미일 정부 관계자를 인용한 보도를 18일(현지시각) 방송했다. 

 

표영태 기자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Total 1,937건 4 페이지
제목
[캐나다] 加 여자 아이스하키 역시 최강
 광운대에 4-0 완승 올림픽 5연패에 도전하는 캐나다 여자 아이스하키 대표팀이  한국 남자 대학팀과의 연습경기에서 세계 최강의 위엄을 제대로 과시했다. 29일 '인디펜던트스포츠뉴스닷컴(ISN닷컴)'에 따르면 캐나다 대표팀은 지난 2...
토론토 중앙일보
01-30
[캐나다] 영주권만 노린 ‘유령이민자’ 증가
캐나다 영주권을 취득을 목적으로 한 외국 갑부들의 일명 ‘유령 이민자’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대책을 요구하는 여론이 높아가고 있다.  지난 4일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법원은 연방정부가 중국계 거부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에 대한 재판을 열었다...
토론토 중앙일보
01-30
[캐나다] 밴쿠버 본사 기업 평균 직원수 65명
본사 수 1위 토론토 697개밴쿠버 239개 3위2016년도에 캐나다에서 여러 개 사무실을 두고 있는 중견 기업 이상의 본사 수는 감소한 반면 직원 수는 증가했다는 통계가 나왔다.연방통계청은 2016년도 연례 본사 서베이(Annual Head Office Su...
표영태
01-30
[캐나다] 토론토 연쇄살인범 사체 숨긴 장소가...
3건 추가 범행 드러나범인은 66세 정원관리사 최근 토론토에서 검거된 연쇄살인범에게 당한 희생자가 더 있는 것으로 경찰 수사 결과 밝혀졌다. 토론토경찰은 29일 2건의 1급살인 혐의로 기소된 부르스 맥아더(McArthur)에게 3건의 살인 혐의가 추가됐다고 밝...
이광호
01-29
[캐나다] 연방 공무원 '블라인드 채용' 결과는...
2017년 6개월간 시범 시행  연방정부가 소수유색계의 취업 차별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이력서에 이름과 국적을 기재하지 않는 일명 ’블라인드 채용’ 시범 운영을 진행한 결과, 이전과 큰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연방정부는 지난해 많은 ...
토론토 중앙일보
01-29
[캐나다] '자살했다'던 캐나다 재벌부부 사망 수사 뒤집…
토론토경찰이 재벌 부부의 죽음과 관련된 초동수사 결과를 뒤집었다. 경찰은 지난해말 토론토 자택에서 숨진채 발견된 제약사 아포텍스(Apotex) 창업주 버나드 셔먼 허니 셔먼 부부의 죽음과 관련된 추가 수사결과를 발표하면서 이들 부부 모두 피살당한 정황이 유력하다고 26...
이광호
01-26
[캐나다] 성희롱 정치인 잇단 낙마
온주 보수당대표이어 연방체육장관까지 캐나다 정치인들이 잇따른 성추문으로 자리에서 물러나고 있다. 미 영화계에서 시작된 성범죄 폭로가 국경 너머 캐나다 정치계에까지 확산되는 모양새다. 부적절한 성 관련 행동으로 자리를 물러나는 정치인은 연방과 주정부를 ...
이광호
01-26
[캐나다] 인간의 자유 미국은 높아지고 캐나다는 하락했다…
프레이저연구소 3년 전 자료 작성청와대문건유출 민간인사찰에도 한국 상승캐나다의 보수성향 민간 연구소가 국가별 인간에 대한 자유도 순위를 발표했다. 그러나 근거 자료가 2014~2015년도로 캐나다를 자유도가 하락한 나라라고 현재형으로 표현해 현실을 왜곡한 듯 보인다.....
표영태
01-26
[캐나다] 대마초 운전 처벌은 어떻게?
연방 처벌안 마련 중소지-흡연 합법화 대비 연방자유당정부는 올여름 대마초 합법화와 관련해 마약을 사용한 뒤 운전하는 행위를 규제하는 처벌법 제정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자유당정부는 이르면 오는 7월 초부터 대마초 소지 및 흡연 행위를 처벌 대상...
토론토 중앙일보
01-25
[캐나다] 전국 평균 주급 988.29달러
전국 0.6% 상승BC 0.3% 하락작년 11월 전국적으로 주급이 전달대비 증가했고, BC주는 유일하게 하락한 주가 됐다.연방통계청이 25일 발표한 지난 11월 주급 통계자료에 따르면 전국 평균 주급은 988.29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달의 982.59달러보다 5.7...
표영태
01-25
[캐나다] 작년 대마초 매출 57억 달러
1인당 1200달러 구매 꼴대마초 합법화를 위한 최종 입법 단계에 들어간 가운데, 각 가정이 매년 점차적으로 마리화나 구입 비용이 증가했다는 통계보고서가 나왔다.연방통계청이 발표한 '마리화나 경제 보고 1661년-2017년'에 따르면 작년에만 15세에서 64세 캐나다인...
표영태
01-25
[캐나다] 캐나다 삶의 질 3년 째 세계 1위
한국 좋은 나라 종합순위 22위  캐나다가 지난 3년간 연속해서 세계에서 가장 좋은 나라 2위를 차지하는 동안 한국은 20위권을 오르내렸다. 미국의 U.S.뉴스와 Y&R, 그리고 와튼 스쿨은 공동으로 2018년도 최고국가 2018(Be...
표영태
01-24
[캐나다] 주캐나다대사관 연구행정원 모집
국방무관부 근무  주캐나다대사관 국방무관부는 무관부에서 근무할 연구행정원에 대한 모집 공고를 냈다. 이번에 모집하는 무관부 연구 행정원 업무는 ▶ 국방 및 국가안보에 관한 정보 및 자료(정부공문, 리포트, 보도자료 등) 수집․조사, ...
밴쿠버 중앙일보
01-24
[캐나다] 트뤼도 총리, '여성·직업·교역' 방점
다보스 포럼 특별 연설   저스탱 트뤼도 연방총리가 스위스 다보스 포럼 총회에 참석해 여성에 대한 성평등과 생산 자동화에 따른 근로자의 직업 불안정 문제에 대해 언급했다. 성평등 관련해, 트뤼도 총리는 현재 노력은 별로 효과를 거두지...
표영태
01-23
[캐나다] 미국 빠진 CPTPP, 아태 교역의 대세되려나
미 탈퇴 전 교역 규모 40%→14% 급감 3월 칠레서 최종 서명키로 캐나다와 일본 등 11개 국가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을 대체할 새로운 국제무역협정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캐나다통상부는 23일 일본 도쿄에서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
이광호
01-23
[캐나다] 한국·일본계 이민자만 증가하는 소득은?
이민자 소득 세대 내려갈수록 차이  지난 2016년 인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색계 이민 2세대가 부모세대보다 높은 소득을 올렸으나 3세대는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인과 일본계 3세는 유색계 그룹중 유일하게 각각 8%와 7%의 ...
토론토 중앙일보
01-23
[캐나다] 유지가능 세계 100대기업에 캐나다 4개 기업…
한국 삼성 SDI, 신한금융, POSCO 3개 다보스 연례 모임을 이용해 전세계 시가 총액 상위 기업을 대상으로 유지가능한 100대 기업(2018 Global 100 Most Sustainable Corporations in the World index)을 발...
표영태
01-23
[캐나다] 캐나다 男근로자 100달러 벌 때 여성은...
남녀 임금격차 여전캐나다의 남녀 임금 격차가 지난 30여 년간 다소 개선됐으나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정규직 여성은 똑같은 일을 하는 남성에 비해 거의 25%나 적은 임금을 받을 것으로 밝혀졌다.&nb...
토론토 중앙일보
01-22
[캐나다] 美 셧다운되면 국경도 폐쇄하나
미 워싱턴DC에 있는 연방 의회도서관 앞에 20일 정부의 셧다운으로 문을 열지 못한다는 안내문 간판이 세워져 있다. [AP] 연방정부 셧다운 사태...'필수'만 업무국립공원·박물관은 폐쇄 국방·우체국 등 정상 업무   미국 연방정부 ...
미주 중앙일보
01-22
[캐나다] 포괄 성장지수, 한국·캐나다 나란히 16, 1…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연차총회가 23일 시작을 앞두고 세계 각 국가의 포괄적 성장지수 (Inclusive Development Index, IDI)를 발표했다.캐나다는 종합순위에서 5.05점으로 17위를 기록했으며 한국은 5.09점으로 16위를 차지했다. 5...
표영태
01-22
[캐나다] 캐나다에서 가장 잘 나가는 브랜드는 무엇?
은행은 TD, 운동화는 나이키진통제는 타이레놀, 비타민은 재미슨 캐나다 소비자는 물건을 구매할 때 가격도 주요 요인이지만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에 더 가중치를 두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입소스 캐나다가 8일 발표한 캐나다 브랜드 신뢰도 조사결과에...
표영태
01-20
[캐나다] 캐나다 방문 한인 26만 명 시대
지난해 캐나다를 방문한 한국인이 26만 명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관광공사가 2017년 말 발표한 '주요국 한국인 출국 통계'에 다르면 10월까지 집계된 캐나다행 출국자가 25만8467명으로 전년 대비 18% 급성장했다. 2016년 11월·12...
이광호
01-19
[캐나다] "세제 먹는 게 유행이라고?"
[사진=International Business Times 캡처]북미 청소년 사이에 퍼져씹고 요리하고... 올해 벌써 40명 병원 행 북미 청소년 사이에 세탁용 세제 먹기가 유행으로 번지고 있다. 급기야 캐나다 보건 당국까지 나서 이를 말리고 나섰다. ...
이광호
01-19
[캐나다] 캐나다 언론, 한반도 불안 조장 보도
전쟁 날까 한국 여행 꺼려캐나다 정부 '한국 정상상태' 트럼프 행정부 들어서면서 북핵에 대해 군사작전 언급이 나오고 미국 주도의 밴쿠버 회의를 통해 북한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흐르며 한국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캐나다 언론이 이를 아무 거침없이 보도...
표영태
01-19
[캐나다] 11월 한인방문객 전년대비 55.5% 급증
연방통계청이 발표한 작년 11월까지 누계 한인 관광객 수는 27만 5834명이었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14.7%나 급증한 수치다.미국을 제외한 주요 10대 유입국 순위에서 한국은 8위를 차지했다.하지만 전년대비 증가율에서는 멕시코의 50.4%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표영태
01-19
게시물 검색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PC 버전으로 보기